704건뉴스가 검색 되었습니다.

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살신성인 (殺身成仁) 2022-03-21 10:00:21

    ▶한자풀이 殺: 죽일 살 身: 몸 신 成: 이룰 성 仁: 어질 인 자신의 몸을 죽여 인(仁)을 이루다 자기를 희생해 옳은 도리를 행함 - 《논어(論語)》 유가(儒家)를 관통하는 핵심어는 인(仁)이다. 인은 효(孝) 충(忠) 지(智) 용(勇) 예(禮) 공(恭) 등을 포괄하는 완전한 덕이다. 유교의 근본으로, 쉽게 이룰 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連理枝 (연리지) 2022-03-14 10:00:07

    ▶한자풀이 連: 이을 연 理: 이치 리 枝: 나뭇가지 지 나무가 맞닿아 하나가 됨 애뜻한 남녀의 정을 이름 - 백거이의 시 《장한가》 양귀비(楊貴妃)는 당나라 현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권세를 누린 인물이다. 그는 안사의 난으로 도주 중 자결 아닌 자결로 비극적 종말을 맞았다. 경국지색(傾國之色)은 나라를 위태롭게 할...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落花流水 (낙화유수) 2022-03-07 10:00:25

    ▶한자풀이 落: 떨어질 낙 花: 꽃 화 流: 흐를 유 水: 물 수 힘이나 세력이 쇠퇴해 간다는 의미 남녀 간의 애틋한 그리움도 비유 - 고변의 시 《방은자불우》 하나의 고사성어가 여러 뜻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낙화유수(落花流水)가 그 사례다. 뜻 그대로는 ‘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의미로 가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風樹之歎 (풍수지탄) 2022-02-28 10:00:14

    ▶한자풀이 風: 바람 풍 樹: 나무 수 之: 갈 지 歎: 탄식할 탄 바람이 그치지 않음을 나무가 탄식함 부모가 돌아가셔 효를 할 수 없음 -《한시외전(韓詩外傳)》 공자가 슬피 우는 고어(皐魚)에게 그 까닭을 물었다. 고어가 답했다. “제게는 세 가지 한(恨)이 있습니다. 첫째는 집을 떠났다가 고향에 돌아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肝膽相照 (간담상조) 2022-02-21 10:02:13

    ▶한자풀이 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칠 조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이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귐 - 《유종원의 묘비명》 당나라 헌종 때의 일이다. 유종원은 유주를 관할하는 자사로 좌천된 뒤 내직으로 복직하지 못하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때 그와 절친인 유우석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敎學相長 (교학상장) 2022-02-14 10:00:17

    ▶한자풀이 敎: 가르칠 교 學: 배울 학 相: 서로 상 長: 성장할 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가 성장한다는 뜻 -《예기(禮記)》 중국의 오경(五經)은 유교의 대표적 다섯 개 경서로, 공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해 존중되는 《역경(易經)》 《서경(書經)》 《시경(詩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群鷄一鶴 (군계일학) 2022-02-07 10:00:09

    ▶한자풀이 群: 무리 군 鷄: 닭 계 一: 하나 일 鶴: 학 학 닭의 무리 중에 있는 한 마리 학 많은 사람 중에 뛰어난 사람 -《진서(晋書)》 역사적으로 시대가 혼란스러우면 속세를 떠나 산으로 숨는 선비가 많았다. 중국 위진(魏晉)시대에도 그런 선비들이 있었는데 죽림칠현(竹林七賢)이 대표적이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結草報恩 (결초보은) 2022-01-24 10:00:26

    ▶ 한자풀이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음 - 《춘추좌씨전》 춘추시대 진나라(晉)의 대부 위무(魏武)에게는 첩이 한 명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병으로 몸져누웠는데, 아들 위과(魏顆)에게 당부했다. “내가 죽으면 저 여자를 다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麥秀之嘆 (맥수지탄) 2022-01-17 10:00:20

    ▶ 한자풀이 麥: 보리 맥 秀: 빼어날 수 之: 어조사 지 嘆: 탄식할 탄 보리가 무성하게 자란 것을 탄식함 나라가 망한 것을 슬퍼한다는 의미 -《사기》 중국 은(殷)나라의 임금 주왕(紂王)은 정치는 팽개친 채 술과 여자에 빠져 산 폭군이었다. 당시 주왕에게 극구 간한 충신이 있었는데, 미자(微子) 기자(箕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鷄鳴狗盜 (계명구도) 2022-01-10 10:00:10

    ▶ 한자풀이 鷄: 닭 계 鳴: 울 명 狗: 개 구 盜: 훔칠 도 닭의 울음소리와 개 도둑이란 뜻으로 하찮은 재주도 쓸모가 있음을 의미 - 《사기(史記》 전국시대 귀족들은 저마다 세력을 키우려고 인재를 모았다. 특히 임금에 버금가는 권력과 부(富)를 쥐고 수많은 유세객과 선비를 모아 영향력을 행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