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욕증시, 예상밖 물가 상승에 하락…다우지수 0.5%↓(종합) 2025-02-13 06:52:33
및 제약 업종은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의 언급에 강세를 보였다. 미 자동차 제조사인 GM이 2.12% 올랐고, 제약업체 일라이릴리(0.92%)도 상승세를 보였다. 에너지 업체 셰브런은 대규모 직원 감축과 함께 비용절감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소식에 1.61% 하락했다. 미 약국체인 CVS는...
[단독] SK에코플랜트, 2兆 친환경 자회사 통매각 추진 2025-02-12 15:22:00
기업 SK테스를 제외한 국내 친환경 계열사 전체가 매각 대상이다. 희망 매각가는 1조원 중후반에서 2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11월 리뉴어스를 어펄마캐피털로부터 1조500억원에 인수했다. 이듬해부터 2022년까진 대원그린에너지, 새한환경, 디디에스 등 폐기물 소각 및 매립 자회사 8곳을 8256억...
대만, TSMC 전기요금 10% 인상할듯…"대만 전체 전력 중 9%사용" 2025-02-12 11:34:43
발표한 '2023년 지속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TSMC의 에너지 소비량은 247억7천500만㎾h로 2022년에 비해 10% 넘게 증가했다. 이는 대만 전체 전력 소비량의 8.96%, 대만 전체 공업 부문 전력 소비량 중에서는 16.2%를 차지한다. 자유시보는 반도체업계에서 대만 정부가 올해부터 TSMC와 UMC 등 전력 사용이...
"GM·포드 등, 전기차 세액공제 '단계적 폐지' 로비" 2025-02-12 10:32:22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IRA는 완성차와 배터리를 대상으로 ▲ 구매자 대상 전기차 세액공제 ▲ 투자 세액공제 ▲ 첨단 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등 크게 3가지 혜택을 부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그린 뉴딜은 '녹색 사기', 전기차 우대 정책은 '전기차 의무화'라고 규정하며 이런...
한국 AI칩, 메타 품으로?…애플은 중국서 돌파구 [글로벌마켓 A/S] 2025-02-12 07:55:03
달 사이 0.07%포인트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식품과 에너지를 뺀 핵심 물가는 12월 0.23%에서 크게 뛸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 뉴욕 증시는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최근 상승세를 일부 되돌렸다. 엔비디아와 아마존 등 주요 기술주들이 약보합에 그쳤으나 애플은 2.18%로 크게 반등했다. 애플은 이날 중국 알리바바와...
에너지ETF 랠리..."관세·딥시크 우려로 M7 고평가" 2025-02-12 07:05:14
고르기 장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대상 확대 전망에 상승했던 금속 선물들도 소폭 후퇴. - 비트코인 : 75일 동안 9만 1천 달러 ~ 10만 2천 달러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현재 9만 5천 달러 수준. 이더리움은 2500달러 수준. - 뉴욕 증시 3대 지수 혼조세, 3대 지수 추종 ETF도 혼조세. XLY 임의소비재 ETF가 1% 내려...
트럼프 '상호관세'발표 앞둔 아시아국가들 대응책은 2025-02-11 23:36:08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대미 관세 인하와 미국산 에너지 및 방위장비 구매 논의 여러 조사 기관의 추산에 따르면, 인도는 상호 관세에 가장 취약할 수 있다. 미국이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보다 미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MUFG은행의 웬에 따르면, 인도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현재 3%에서 15%...
'터질게 터졌다'...한국도 트럼프발 관세 폭탄 [데일리 아시아] 2025-02-11 17:59:25
에너지 수입을 확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정면대응보다 피해를 줄이는 데 온 힘을 쏟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한미 동맹이 굳건한데다 한미 FTA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있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습니다. 부동산 기업가 출신의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간 일대일 소통을...
농식품장관 "식품업계, 가격 인상요인 최소화해야"(종합) 2025-02-11 16:56:24
미국 신정부 출범과 공급망 불안, 에너지 비용 증가 등 대내외 환경 변화로 인해 물가 불확실성은 더 커진 상황이다. 송 장관은 최근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과 관련해 "민생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민생 안정과 내수 회복의 기본은 물가 안정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식품업계 대표와 임원들은...
"지난해 中 겨냥 사이버 공격 1천300건 넘어" 2025-02-11 15:40:28
북미 등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격 대상이 된 14개 주요 부문 중 가장 영향을 크게 받은 곳은 정부 기관, 교육, 과학 연구, 국방과 군수, 교통으로 나타났다. 민감한 데이터를 훔치거나 전략적 사보타주(파괴 공작)를 감행하기 위한 사이버 공격이 주를 이뤘다. 예컨대 중국 외교 기관을 겨냥한 APT 조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