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수액제 쓰인 중국업체 포도당 원료 사용 중지 조치 2023-03-24 15:23:24
수액제 쓰인 중국업체 포도당 원료 사용 중지 조치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중국 제약사 '산둥 티안리'가 제조한 포도당 원료의 국내 사용을 중지하도록 조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이 포도당을 포함한 영양 수액제를 투여한 환자는 원료에 적은 양으로 잔류하는...
JW중외제약, 3분기 영업이익 127억원…전년比 48% 증가 2022-11-09 16:04:21
영양수액제 ‘엔커버’가 전년 동기 대비 25.4% 늘어난 74억원, 고용량 철분주사제 ‘페린젝트’가 18.6% 증가한 51억원, 류머티즘관절염 치료제 ‘악템라’가 5.7% 성장한 56억원, 혈우병치료제 ‘헴리브라’가 27.3% 늘어난 14억원을 기록했다. 일반의약품 매출은132억원을 기록했다. 인공눈물 ‘프렌즈 아이드롭’이...
JW중외제약, 국내 최초 200㎖ 종합영양수액 출시 2022-10-17 11:46:54
종합영양수액제 생산설비다. JW중외제약은 위너프페리주의 우수한 제품력을 기반으로 시장 수요 변화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강화해 국내 영양수액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소용량 3체임버 TPN에 대한 수요가 풍부한 점을 반영해 200㎖ 대 TPN을 출시했다"며 "수액제 시장의 리더로서 앞으로도...
JW생명과학, 소용량 수액제 생산라인 가동 2022-10-11 17:41:33
늘었다. 기초·영양·지질수액은 6개 라인을 가동해 연간 최대 1억834만 개를 생산할 수 있다. 하나의 용기를 2~3개 체임버로 구분해 담는 TPN, 플라스틱 용기 수액까지 포함하면 연간 생산량은 1억8000만 개로 증가한다. JW생명과학 당진공장은 국내 수액 소비량의 40%를 담당하며, TPN 점유율은 50%가 넘는다. 당진공장의...
JW생명과학 "당진 수액공장 영양수액제 3라인 증설" 2022-10-11 10:18:16
JW생명과학 "당진 수액공장 영양수액제 3라인 증설" 종합영양수액제 연간생산량 1천400만개로 37% 증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JW중외제약[001060] 계열사인 JW생명과학[234080]은 충남 당진 생산단지 수액공장에 종합영양수액제(TPN) 생산설비 'TPN 3라인' 증설을 완료하고 생산에 들어간다고 11일...
JW생명과학, 국내 첫 전용량 종합영양수액제 자동화 라인 가동 2022-10-11 09:33:26
수 있는 전용량 종합영양수액제 생산설비다. 약액충전, 멸균, 포장 등 공정이 자동화 시스템으로 시간당 1,000개(연간 330만개) 생산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전체 용량의 종합영양수액제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생산라인을 구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JW생명과학은 `TPN 3라인`을 이달 중 선보일 국내 첫 소용량...
JW생명과학, 전용량 종합영양수액제 자동화 생산시설 가동 2022-10-11 09:28:05
있는 전용량 종합영양수액제 생산설비란 설명이다. 약액충전 멸균 포장 등 공정에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했고, 시간당 1000개(연간 330만개) 생산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전체 용량의 종합영양수액제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시설을 구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JW생명과학은 TPN 3라인을 이달 중 선보일 국내 첫...
“HK이노엔, 하반기 ‘케이캡’ 안정적 성장 이어갈 것” 2022-10-05 08:32:37
증가가 기대된다”고 했다. 수액제 부문에선 내년부터 생산설비 가동률이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기초수액제 및 영양수액제 설비 재정비 과정에서 생산 차질이 약간 발생해, 현재 가동률은 50~60% 수준”이라며 “내년부턴 재정비 이후 가동률이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나...
JW중외제약, 2분기 영업이익 103억원…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 2022-08-10 16:49:51
이밖에 고용량 철분 주사제 '페린젝트'가 24.4% 늘어난 52억원, 경장 영양수액제 '앤커버'가 20.0% 성장한 62억원, 고지혈증치료제 '리바로'가 8.7% 증가한 183억원의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일반의약품 부문 매출은 올해 2분기 1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3% 증가했다. 인공눈물 '프렌즈...
"JW중외제약, 주요 품목 성장으로 실적개선 기대" 2022-05-23 09:51:10
10%와 42.2% 늘었다. 고지혈증치료제 ‘리바로’, 영양수액제 ‘엔커버’, 류머티즘관절염치료제인 ‘악템라’ 등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10월에 출시한 리바로젯의 1분기 매출은 47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매출은 6820억원을 예상했다. 주요 제품의 매출 증가와 악성재고 손실처리 완료 등에 전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