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메디치家가 미켈란젤로를 양자로 삼은 것은… [고두현의 문화살롱] 2023-05-09 18:16:45
시간예술을 아우르는 21세기형 ‘르네상스 광장’이다. 어디에서 무슨 공연이 열리는지, 수준은 얼마나 높은지, 어떤 얘기가 숨겨져 있는지 날마다 새 소식을 접할 수 있다. 조수미 이자람 김연수 등 내로라하는 문화예술인 100명의 칼럼도 만날 수 있다. ‘경제와 문화의 가교’ ‘조화와 융합의 축제’라는 근본 가치까지...
'빨간 마후라' 한운사를 아시나요? 2023-05-02 13:06:19
'나비의 여행' 등을 썼다. 그가 한국문학사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문공부 장관 시절 월북 및 납북 문학 예술인에 대한 해금(解禁) 조치를 단행했다. 그간 남한에서 출판이 금지돼있던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박태원의 소설 과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등이 그렇게 다시 독자를 만나게 됐다....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아르떼가 문을 엽니다 2023-04-30 18:21:17
스페인어로 ‘예술’을 뜻하는 아르떼는 예술인과 애호가, 비평가들이 한데 모여 정보와 의견을 나누는 ‘예술 놀이터’입니다. 아르떼는 주요 공연과 전시, 신간 서적 등을 소개하고 평가하는 ‘리뷰의 허브’를 지향합니다. 성악가 조수미, 소리꾼 이자람, 소설가 김연수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인 100여 명이 쓰는...
"김 부장 너는 내가 반드시"…헌책에 남겨진 붉은 글씨 2023-03-02 14:14:48
수시로 재배치합니다. 이곳은 은평구 사는 예술인들 사이에서 제법 유명합니다. 싱어송라이터 김목인 등이 이곳에서 공연을 하고, 금정연 작가도 단골이라고 하네요. 에 나오는 모자장수를 닮은 윤 대표의 별명은 ‘책 탐정’. 절판됐더라도 책을 찾는 애틋한 사연을 들려주면 전국을 뒤져 책을 구해주기 때문이죠. 물론 시...
설날의 유래를 아시나요? 2023-01-20 16:18:03
‘이야기의 보고’다. 원조 SF(공상과학) 문학이라고도 볼 수 있다. 서동요, 단군 설화, 연오랑 세오녀 설화 등이 모두 이 책에 담겨 있다. 그렇다 보니 오늘날 여러 예술인에게 창작의 영감을 주기도 한다. 최근 넷플릭스에 공개된 영화 ‘외계+인’은 현재와 고려시대를 넘나들며 로봇, 도술, 외계인이 총출동하는 색다른...
"딱 제 스타일"…납작만두 떡볶이 국물에 '찍먹'한 김건희 여사 2023-01-11 15:57:27
김 여사를 보기 위해 시민 수백여명이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뤘다. 김 여사가 새해 들어 단독으로 공개 행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김 여사는 지난 9일엔 청와대에서 근대문학 특별전을 관람했다. 연초부터 2일 신년 인사회 참석, 4일 문화예술인 신년 인사회·음악회 참석, 8일 세계적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
'전시기획자' 출신 김건희, 靑 특별전 찾아 "귀중하다" 호평 2023-01-10 07:57:20
뒤를 따라간다. 우리의 근대 문학 유산은 그 당시의 시대 정신을 담고 있기에 소중하다"고 평가했다. 김 여사는 "근대 문학 유산이 많이 소실돼 안타깝지만 (이번 전시에서) 역사적, 사회적으로 귀중한 자료를 만나볼 수 있어 다행"이라며 "문인과 예술인들이 어떤 생각을 공유하고 우정을 키우며 성장했는지를 볼 수 있는...
[사설] 명품 콘텐츠와 고급 인프라 투자로 문화강국 만들자 2023-01-05 17:52:55
예술인 신년 인사회’에서다. 맞는 말이다. 지금 세계는 K컬처(한국문화)에 열광하고 있다. K팝은 물론 영화, 드라마, 클래식, 미술, 문학, 만화 등 문화예술의 거의 전 장르에서 해외 소비자의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새해 벽두부터 국내외에서 어둡고 우울한 경제 뉴스가 쏟아지고 있지만 K컬처는 예외다. K팝 가수들의...
[데스크 칼럼] K팝만으론 '문화강국' 못 된다 2022-11-23 17:39:53
게 이유였다. 클래식 음악, 미술, 문학 등 ‘뿌리’(순수예술)가 약해 ‘열매’(대중문화)는 언제든 시들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자타가 공인하는 ‘IT(정보기술)·반도체 강국’이지만 기초과학이 약한 탓에 ‘과학 강국’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과 똑같다는 얘기였다. 듣고 보니 그랬다. 대중문화에서 거둔 성과와...
6·25 피란문단 꽃핀 대구 문학성지 57곳, 8개 테마 대구 문학로드로 '재탄생' 2022-10-04 17:02:43
문화예술인의 사교장으로 유명했던 백조다방 등을 포함한다. 하청호 관장은 “내년에는 ‘피란문단 선술집 길’ ‘7080 문청길’ 등을 추가해 외국어 해설을 포함한 안내자료를 보완하고, 개별 거점에 QR 코드를 부착해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 홀로 문학로드 탐방도 가능토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문학로드의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