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과학과 놀자] 열핵 추진 로켓 만들면 유인 화성탐사 가능해진다 2022-04-11 10:00:22
목표 고도인 700㎞에 도달하고, 위성 모사체 분리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며 필자는 크게 감동했다. 대한민국 고유 기술만으로 우주여행을 하는 날이 머지않았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특히 올해는 누리호 2차 발사와 달궤도선 발사라는 대규모 이벤트가 연달아 예정돼 있다. 또 2030년 달착륙선을 쏘아올리고자 누리호 엔진의...
역시 '행성사냥꾼'… 테스가 찾은 태양계 밖 세계 5천개 돌파 2022-01-24 10:58:38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행성 탐사 위성 '테스'(TESS)가 찾아낸 태양계 밖 다른 세계가 5천개를 넘어선 것으로 발표됐다. 이는 전체 외계행성 후보(8천414개)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이다. 아직 '후보' 꼬리표를 떼지는 못했지만 1989년 첫 외계행성의 존재가 확인된 이후 지금까지 찾아낸 외계행성이...
목성급 외계 행성 도는 지구 2.6배 슈퍼 달 후보 관측 2022-01-14 15:13:08
= 목성 크기의 외계행성을 도는 슈퍼 달(위성) 후보가 두 번째로 관측돼 학계에 보고됐다. 실제 달인 것으로 확인되면 태양계 밖에도 행성을 도는 달이 존재하며, 크든 작든 달이 행성계의 일부라는 점을 확인시켜주는 것이 될 것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지난 2018년 발견된 첫 외계 달 후보가 아직 후보 딱지를 떼지 못하고...
[취재수첩] '뉴 스페이스' 성공의 조건 2021-12-21 17:21:55
생태계 조성이 명분. 협의회는 산업 정책, 발사체, 위성, 에너지, 모빌리티 5개 분과를 구성해 70여 명의 전문가를 위촉했다. 이날 행사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KT샛, AP위성 등 우주 관련 주요 기업 및 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 취지는 좋았다. 문제는 콘텐츠의 질이다. 기업 관계자들이 행사...
우주 '숙제' 해결할 차세대 웹 망원경 닷새 뒤 마침내 우주로 2021-12-19 08:00:03
웹 망원경은 분광기로 외계행성의 대기를 분석해 어떤 성분을 가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태양계 내에서는 행성과 위성은 물론 카이퍼벨트 천체와 혜성, 소행성 등의 표면과 대기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다. 이는 다른 별에 지구와 같은 행성이 존재하는지, 태양계는 다른 행성계와 얼마나 비슷한지 등에 대한 답을 줄...
[전영범의 별 헤는 밤] 어지러운 밤하늘 2021-12-15 17:27:16
대의 위성이 넓게 떼를 지어 지나는 궤적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환상을 주지만, 천문학자에겐 현실적인 피해를 준다. 우리나라에서 외계행성 탐사를 위해 운영 중인 KMTNet(한국중력렌즈망원경네트워크) 망원경의 관측 영상에 많은 인공위성 궤적이 계속해서 찍힌다고 생각해 보라. 이들 인공위성 궤적은 관측 영상...
인류 멸종 막을 행성방어 실험 우주선 내일 낮 발사 2021-11-23 15:56:48
의미를 갖고있다. 태양계를 탐사하고 외계 생명체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번 실험은 인류를 잠재적 멸종 위험에서 구할 방안을 찾는다는 점에서 우주개발 역사에서 한 획을 긋는 것으로 지적됐다. ◇ 첫 충돌 실험 목표는 = DART 우주선은 무게 620㎏에 소형차 크기로, 내년 9월 말께 축구경기장 크기의 소행성...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발사 '기대 만발' 2021-11-19 13:44:11
외계행성 대기 관측 목표 우여곡절 끝에 30여년만에 현실화…우주배치 '고비'도 난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허블우주망원경보다 100배나 더 성능이 뛰어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발사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차세대 망원경을 통해 이뤄질 새로운 발견에 대한 기대감이 만발하고 있다....
100억 달러 들인 차세대 망원경 우주공간서 '고비' 300번 넘겨야 2021-11-08 14:27:45
발사 사흘 뒤에는 기둥을 세워 주경과 기타 장비를 위성 본체(spacecraft bus)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태양 방패막과 주경을 전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 기둥은 위성 본체의 진동과 전도열로부터 망원경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태양 방패막은 발사 닷새 뒤에 전개된다. 우선 발사과정에서 태양 방패막을 보호한 ...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은 '유로파' 대기서 수증기 상존 확인 2021-10-15 10:56:25
연구팀은 같은 방법을 활용해 최근 목성의 최대 위성으로 수성보다 큰 '가니메데'(Ganimede) 대기에서도 수증기를 찾아냈다. 연구팀은 유로파의 수증기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상존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수증기가 유로파의 궤도 진행 방향에서 뒤쪽에서만 발견된 이유까지 규명하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