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려아연 "임시주총서 '소수주주 보호 명분화' 반대한 건 MBK" 2025-02-13 13:26:25
내용을 지인들에게 전달해 지인들이 해당 정보를 활용한 주식 매매로 수억원을 챙기게 했다는 혐의를 금융당국이 조사하고 있다는 언론보도를 인용했다. 그러면서 “MBK가 고려아연의 트로이카 드라이브 등 신사업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나섰다는 과거 의혹 제기와 오버랩된다”...
경기도, 전국 최초로 오는 6월부터 '경기도 정비사업 온누리시스템' 운영 2025-02-13 13:15:01
추진 시 조합의 불투명한 회계처리, 정보공개 지연 등에 따른 불신과 분쟁을 막기 위한 것으로 투명하고 신속한 정비사업 운영, 조합원의 알권리 보장으로 정비사업 기간을 앞당기는 효과가 있다. 도는 앞서 통합업무처리 전산화 시스템 구축을 2023년 12월부터 추진했고, 지난해 2~3월 명칭 공모를 통해 ‘경기도 정비사업...
크롬 등 '자동로그인'시 정보탈취 우려…"강화된 암호방식 적용" 2025-02-13 12:00:29
정보와 암호화 키는 분리해 저장하도록 했다. 또 추가 인증수단을 설정한 이용자가 전체의 10% 미만이라는 점을 감안해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이용자도 계정 보안 기능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개인정보위는 "이용자 로그인 시 OTP 등 추가인증 수단을 적극 활용해달라"며 "이번 조치로...
동일 방식으로 1년 만에 또 해킹당한 해피포인트...과징금 부과 2025-02-13 12:00:15
응답값을 이용자에게 회신하는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이름, 아이디, 성별, 생년, 해피포인트 카드번호 등 7585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했다. 일부 이용자의 해피포인트를 무단 사용하는 2차 피해도 발생했다. 다음 해인 2023년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동일 방식의 해킹 공격을 또다시 겪었다....
“당근에서 집 팔 때 집주인 인증 도입” 의무는 아냐 2025-02-13 11:24:38
등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을 이용한 거래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 간 직거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다만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 실명인증이 강제가 아닌 권고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점은 한계다. 직거래 플랫폼을 활용하면 거래를 빠르게 성사할 수 있고 중개 수수료를 아낄 수 있지만 매수자를...
수십억 아파트도 '당근'에…정부, 집주인 실명인증 권고 2025-02-13 11:00:01
당근마켓 등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을 이용한 거래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 간 직거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진 데 따른 조치다. 직거래 플랫폼을 활용하면 거래를 빠르게 성사할 수 있고, 중개 수수료를 아낄 수 있지만 매수자를 사고나 사기 위험에서 보호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다.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美 고물가 우려 속 관련 주요 종목 하락 [美증시 특징주] 2025-02-13 07:52:46
우려가 촉발되며, 고객정보 플랫폼인 세일즈포스의 주가를 낮췄는데요, 장 초반에는 이렇게 하락폭이 눈에 띄었지만 장 후반에는 강보합권까지 반등했습니다. 하지만 전일 사우디아라비아에 5억 달러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아마존웹서비스와의 파트너십의 결과물인, 고객 관리 플랫폼, 하이퍼포스도 현지에서 사용할...
애플, 헬스케어 강화…포괄적 '건강 연구' 프로그램 개시 2025-02-13 04:26:18
헬스 스터디'는 리서치 앱에 통합돼 이용자가 동의할 경우 건강 정보가 제공돼 연구에 활용된다. 애플은 이와 함께 아이폰에서만 이용 가능한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TV+(플러스)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조만간 애플TV+의 안드로이드용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일본서도 딥시크 이용 금지 확산…도요타·소프트뱅크 '차단' 2025-02-12 19:53:14
도요타자동차는 정보 안전 관점에서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딥시크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도 사내에서 딥시크에 접속하는 것을 규제하고, 업무용 단말기에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는 것을 막고 있다. 미쓰비시중공업은 직원이 딥시크 사용을 요청해도 허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딥시크 이용을 금지한...
'딥시크, 바이두도 아냐'...알리바바와 손잡은 애플 [데일리 아시아] 2025-02-12 17:59:01
데이터보호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 중국당국의 규제 때문입니다. 중국에서 AI 기능을 제공하려면 로컬 서버를 설치하고 중국 AI 기업과 협력해야 합니다. 애플 입장에서 서버 설치 추가 비용과 상대적으로 낮은 AI 기술에도 불구하고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중국 AI를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애플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