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생산 호조에도 내수 '냉골'…소매판매 3년째 감소 '역대 최장'(종합2보) 2025-02-03 11:09:32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 부분은 괜찮은데 지출이 따라가지 못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기재부 측은 "18조원의 경기 보강 패키지, 재정 신속집행 등 주요 정책과제를 속도감있게 추진하고 추가적인 민생 지원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며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대응을...
생산 '호조'·내수 '냉골'…소매판매 3년째 감소 '역대 최장'(종합) 2025-02-03 09:11:53
감소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로 작년 9월 이후 넉 달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39.1%) 등에서 늘어 9.9% 늘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건축(5.9%) 등에서 증가하며 전달보다 1.3% 늘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같았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상하이 증시, 中 증시 5일 개장…트럼프 관세 여파 주목 2025-02-02 18:16:15
주목된다. 장기 휴장 전 중국 증시는 시들했다. 각종 경제 선행지수가 하락한 데다 휴무를 앞둔 불안감에 매도세가 이어졌다. 게다가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전후해 미·중 무역전쟁 우려가 확산하면서 올 1월에만 상하이종합지수는 3.01% 하락했다. 일단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덜 가고 덜 담는다"…월별 구매단가↓ 2025-02-02 11:54:10
고물가 장기화에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소비자들이 장을 보는 횟수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가성비' 제품을 위주로 소비하는 가운데 장바구니 무게도 가벼워졌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쌀을 포함한 곡물의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2.63으로 전년(99.34) 대비 3.3% 올라 코로나19가 한창이던...
금감원, 저축은행·상호금융 현장점검…충당금 적립 강화 주문 2025-02-02 06:03:04
요구해 왔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2금융권의 부실 지표는 기록적으로 악화했다. 작년 3분기 기준 저축은행 79곳 중 36곳(45.6%)의 연체율이 10%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17.7%)보다 대폭 증가한 것이다.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20% 넘어선 저축은행도 4곳에 달했다.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내수 자영업 가구 사업소득 최대폭 감소…지갑도 닫았다 2025-01-29 07:41:00
대표적인 자영업 업종들로 이들의 사업소득 부진은 최근 장기화하는 내수 부진과 관련이 깊다. 작년 1∼11월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줄면서 2003년(-3.1%)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서비스 생산도 전년(3.4%)의 절반도 안 되는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 부진 영향으로...
불황 직격탄 맞은 식품주…해외 매출이 희비 가른다 2025-01-27 14:17:53
원인 중 하나는 내수 경기 부진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기준 2003년(-3.1%) 이후 21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고환율도 부담이다. 수입해오는 팜유, 소맥 등 원재료 값이 증가해 수익성이 악화한 것이다. 24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내수 부진에 식품株 우울…올 코스피 5% 오를 때 4%↓ 2025-01-26 16:44:35
식품주가 휘청이는 주요 원인은 내수 경기 부진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2003년 같은 기간(-3.1%) 후 21년 만의 최대 낙폭이다. 고환율도 부담이다. 팜유, 소맥 등 원재료값이 상승하며 수익성이 나빠진 것이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
작년 서울 아파트 9억원 초과 거래 절반 넘었다…역대 처음 2025-01-26 09:32:09
저금리 장기화와 2020년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의 부작용으로 전셋값과 아파트값이 동반 상승해 2020년에는 9억원 초과 계약 비중이 31.6%로 증가했고, 2021년에는 44.3%로 늘었다. 그러다 2022년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거래 절벽이 심화하고 아파트값도 급락하며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38.8%로...
대출금리 드디어 떨어지나...5개월 만에 하락 전환 2025-01-24 15:51:53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작년 12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72%로 전월(4.79%)보다 0.07%p 낮아졌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4.30→4.25%)와 일반 신용대출 금리(6.17→6.15%)가 각 0.05%p, 0.02%p 하락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은행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