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중소제조업·서비스업 생산 동반 부진" 2025-01-24 09:06:18
"중소제조업·서비스업 생산 동반 부진" 'KOSI 중소기업 동향' 분석…창업기업도 12% 줄어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경기 부진 여파로 작년 11월 중소제조업·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액이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KOSI 중소기업 동향' 1월호에 따르면 작년 11월...
崔대행 "바이오, 경제 도약의 새 동력원…대전환 전략 추진" 2025-01-23 16:00:04
'공공 바이오 파운드리'를 구축하고 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1조원 이상 민관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내놨다. 최 권한대행은 "우리는 과거 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 경제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성공적으로 열었다"며 "경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새로운 경제 동력원으로 바이오산업 육성이 절실하다"고...
작년 韓경제 성장률 2% 턱걸이…계엄충격 등에 4분기 0.1% 그쳐(종합) 2025-01-23 11:11:18
성장률을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5%p 깎아내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0.1%)과 서비스업(0.3%)이 성장했지만, 농림어업(-3.9%)과 전기·가스·수도업(-2.9%), 건설업(-3.5%)은 뒷걸음쳤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6%로 실질 GDP 성장률(0.1%)을 웃돌았다. shk999@yna.co....
韓경제 '계엄 쇼크'에 휘청...2% 성장 턱걸이 2025-01-23 08:16:48
위주로 0.5% 늘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 호조로 1.6% 성장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동반 부진으로 3.2% 추락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을 중심으로 0.3% 늘었고, 수입은 자동차·원유 위주로 0.1% 줄었다. 4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설비투자(0.2%p)였고,...
작년 韓경제 성장률 2% 턱걸이…계엄충격 등에 4분기 0.1% 그쳐 2025-01-23 08:00:00
성장률을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5%p 깎아내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0.1%)과 서비스업(0.3%)이 성장했지만, 농림어업(-3.9%)과 전기·가스·수도업(-2.9%), 건설업(-3.5%)은 뒷걸음쳤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6%로 실질 GDP 성장률(0.1%)을 웃돌았다. shk999@yna.co....
"바닥 뚫고 지하있었다"...'팬데믹'때 수준 2025-01-23 06:45:03
갤럭시S25 출시 기대도 있었다"고 말했다. 비제조업 전망에 대해선 "설 연휴를 앞두고 도소매 쪽이 개선됐다"며 "1월에 워낙 저조해 약간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 기업경기실사지수(BSI) 흐름을 보면, 1월 제조업 실적은 화학물질·제품, 전기장비, 1차 금속 등의 개선이 눈에 띈다. 비제조업은 건설업,...
1월 기업 체감경기 더 악화…두 달째 팬데믹 이후 최악 2025-01-23 06:00:08
비제조업 전망에 대해선 "설 연휴를 앞두고 도소매 쪽이 개선됐다"며 "1월에 워낙 저조해 약간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 기업경기실사지수(BSI) 흐름을 보면, 1월 제조업 실적은 화학물질·제품, 전기장비, 1차 금속 등의 개선이 두드러졌다. 비제조업은 건설업, 정보통신업, 운수창고업 등을 중심으로 실적이...
산업부, 뿌리산업 신년인사회…"내달 발전전략 발표" 2025-01-23 06:00:04
열고 제조업의 바탕을 이루는 뿌리산업 관련 6대 조합 이사장과 임원 등이 모여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신년회에는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을 비롯해 업계에서 금형조합, 용접조합, 표면처리조합, 금속열처리조합 각 이사장과 주물공업조합 전무이사, 단조조합 전무이사 등이 참석했으며...
기업 체감경기 석 달 연속 하락…"부동산 경기 둔화 여파" 2025-01-23 06:00:00
비제조업 CBSI는 83.6으로 전월에 비해 3.9포인트 하락했다. 채산성(-1.9p), 매출(-1.1p) 등이 주요 하락 요인이다. 세부 항목별로는 제조업 중 합성수지, 화장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면서 화학물질·제품의 신규수주가 14포인트 확대됐다. 또 케이블 업체 해외 신규 수주 증가로 전기 장비 업황 지수도 10포인트...
2월 기업경기 '한파 지속'..대책 시급 2025-01-22 10:07:14
통신장비(105.3)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한경협은 지난해 반도체 수출 호조가 올해 초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기준선 100에 걸친 의약품(100.0) 비금속 소재 및 제품(100.0)과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100.0)를 제외한 금속, 석유정제, 섬유, 목재, 식음료 등 5개 업종은 업황 악화가 전망된다. 특히 최근 중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