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기업 '행동대장' 노릇 자처한 트럼프…"비관세장벽도 몽땅 관세로 해결" [글로벌 관세전쟁] 2025-02-14 16:59:11
주요 20개국(G20)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추진해 온 글로벌 최저한세 계획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취임 직후 선언한 것도 마찬가지로 빅테크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것이다. 미국 자동차 수출을 가로막는 각국의 인증제도나 환경관련 규제도 트럼프의 타깃이다. 특히 유럽의 까다로운 환경규제는 상호관세 부과의 근거가...
2차전지 섹터, 실적 바닥 지났다...본격 회복은 언제 2025-02-14 16:36:02
전기차 판매 증가율은 중국 13%, 유럽 상위 7 개국 39%, 미국 25.2%로 유럽과 미국이 중국의 전기차 판매 증가를 처음으로 넘어섬. - 특히 유럽에서는 테슬라 판매가 급감했음에도 상위 업체의 전기차 판매율이 39%로 높게 나타남. - 미국의 1월 전기차 판매 성장률은 25%이며, 테슬라의 판매 비중은 11.6%로 여전히 높음....
다음 주 주목할 일정…"미 증시 휴장·두산에너빌 실적" 2025-02-14 16:11:48
회의록 공개가 예정되어 있으며 목요일에는 중국 월간 스마트폰 출하량 발표, 삼성생명 실적 발표가 금요일에는 한국 2월 1일~20일 수출입 데이터 동향 발표, 미국 1월 주택착공건수·건축허가 및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지수·인플레이션 지수 발표가 있다. 다양한 일정 속에서 다음 주는 반도체, 2차 전지, 화장품 등의...
코스피 2,600선 터치..K-온디바이스 개발 소식에 관련주↑ 2025-02-14 15:40:38
홍콩 항셍지수는 2.3% 상승했으나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오전 대비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습니다. 한편 정부가 K-온디바이스 반도체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관련주인 가온칩스와 제주반도체가 각각 5%, 보합세로 마감했습니다. 또 휴젤의 호실적 발표로 미용기기주인 파마리서치도 5% 상승했습니다. 앞서 지난 13일 정부는...
외국인 수급 변화 주목, 코스피 코스닥 단단한 흐름 계속되나 2025-02-14 15:26:35
팔고 싼 중국, 우리나라로 수급이 오는 흐름들이 글로벌에 나타나고 있어 시장 전체적으로는 나쁘지 않은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 코스닥은 제약바이오와 로봇주들의 선전, 미용 의료기기 섹터들의 약진 속에 코스피보다 더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 반도체 레거시 업종들이 하단부에서 강하게 올라오고 있으며,...
'반도체 뺏길라' 대만 고위급 안보회의…"대미 투자·구매 확대" 2025-02-14 15:25:00
"중국의 과잉 생산으로 인한 반덤핑과 불공정 경쟁으로 세계 경제 질서가 파괴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우리는 인공지능(AI)과 첨단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대만과 미국의 전략적 경제 협력 동반자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만은 세계 최고의 반도체 강국으로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반도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투자 기회?…"전문가 의견 대립" 2025-02-14 15:22:59
입장이다. 또한, 재건 사업 대부분은 러시아와 중국이 담당하게 되어 서방 국가들의 참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 종목이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반면, 다른 전문가는 SG 주식을 트레이딩 관점에서 매수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재건 테마 전반적으로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
'대미흑자 급증' 누려온 동남아, 트럼프 상호관세 공세에 긴장 2025-02-14 15:10:37
최대 경제국인 인도네시아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대미 흑자 규모가 연 100억 달러(약 14조4천억원) 수준으로 다른 주요 동남아 국가보다 작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미 수출 위축 가능성을 고려해 미국 외 시장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는 지난달 6일 브릭스(BRICS) 정회원국으로 공식 가입했다....
LG전자, 러시아 사업 다시 시동거나...중국 기업들 ‘촉각’ 2025-02-14 14:59:22
응원하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최대 경제매체 코메르상트는 “수많은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이 행사에 참석했지만, 축사는 노영남 LG전자 러시아 법인장이 진행했다”고 언급했다. 이번 미디어 파사드는 중국산으로 알려졌다. LG전자가 이 행사에서 B2B 사업의 경쟁력을 언급한 것은 추후 관련 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달라지는 반도체...미국과 중국 사이 낀 삼성전자·하이닉스 2025-02-14 14:58:29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과 중국 모두에 투자하고 있어 양국 간 갈등 상황에서 눈치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D램과 낸드 플래시 분야에서는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에 직면해 있는데, 이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을 첨단 공정으로 바꾸는 등 중국 업체의 추격을 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