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공공' 목적 아니면 부지 손도 못 대…2년 전 문닫은 초교, 주차장으로 방치 2025-02-02 17:34:05
지방자치단체인 광진구는 청년 복지시설 설립을 주장하고 있다. 최근 서울교육청이 청년을 위한 행복 기숙사를 짓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아직 광진구와 합의되지 않아 이마저도 진행 여부가 불투명하다. 적극적인 매각과 임대를 위해 용도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행법은 공공 목적 활용에 초점을...
딥시크, 미국·대만 이어 일본도…"이용 삼가야" 2025-02-02 11:01:14
정부는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처를 내렸다. 대만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유한회사? 주식회사?…고려아연 분쟁 승패 가를 가처분 소송 쟁점은 2025-02-02 06:30:01
공공기관에 등록된 서류에 따르면 SMC는 자본금이 출자지분이 아닌 주식으로 구성돼 있고, 총 5억5천183만1천931주의 보통주를 발행해 한국 상법상 유한회사와는 확연히 구분된다고 설명했다. 상법상 주식회사에만 의무화된 이사회를 SMC 역시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SMC가 주식회사라는 근거의 일부로 내세웠다....
"국가 안보 위협"…대만, 딥시크 이용 '금지령' 2025-02-01 11:10:36
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만 정부의 딥시크 AI 사용 금지 조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에게 적용된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금지...
대만, '안보 우려'로 딥시크 이용금지…주요국도 유사 움직임 2025-02-01 10:50:05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만 정부의 딥시크 AI 사용 금지 조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에게 적용된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금지...
주총 결의 전면 무효 vs 법 규정 부합…영풍·고려아연 법정다툼 본격화 2025-01-31 16:46:30
없다는 설명이다. SMC가 유한회사라는 주장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고려아연 측은 밝혔다. 호주 공공기관에 등록된 SMC의 공식 명칭은 'SUN METALS CORPORATION PTY LTD'로, 'PTY LTD'란 호주 회사법상 회사 유형이 'Proprietary Company, Limited By Shares'라고 명시돼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설 연휴에 아프면 이렇게 이용하세요…"경증은 동네 병원부터" 2025-01-25 14:00:03
당일에는 응급의료기관 412곳, 병원 340곳, 보건소를 비롯한 공공보건기관 등 총 2619곳이 문을 열 예정이다. 정부는 전국 413곳의 응급의료기관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 각 지방자치단체 소속 담당관을 지정해 집중 모니터링을 추진한다. 응급실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발열클리닉도 기존 115곳에서 135곳으로...
美 기업들 'DEI 폐기' 순응 분위기지만…코스트코는 달랐다 2025-01-24 12:54:09
정책 재검토 요구안은 '공공정책연구전국센터'(NCPPR)라는 보수단체가 마련해 제출한 것이다. NCPPR은 애플, 의류업체 리바이스, 제약업체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 투자업체 버크셔해서웨이, 금융업체 골드만삭스, JP모건체이스 등에도 유사한 요구를 하고 있다. 이 중 골드만삭스와 JP모건체이스의 CEO들은...
"직장 동료가 구속돼서 결근"…서부지법 폭동 2030 운명은? [법알못] 2025-01-22 11:06:49
설명했다. 재직 중인 기업이 민간이냐 공공기관이냐에 따라서도 징계 수위가 달라질 수도 있다.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재직 중일 경우 불구속 상태여도 민간 기업보다 더 엄한 징계를 받을 수 있다. 품위 유지 혹은 정치 중립의 의무에 위배될 수 있어서다. 형사 처벌이 나올 경우, 회사에서 정한 취업규칙 규정에 따라서...
문자 대신 카톡 알림하더니…정부·지자체 年 40억 절감 2025-01-20 17:30:52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이 ‘카카오톡 알림톡’ 서비스를 도입해 연간 40억원가량의 예산을 절감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카카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혁신 리포트 2024’를 20일 공개했다. 카카오톡을 활용해 이용자가 행정 절차에서 겪던 불편을 해소하고, 각 부처가 예산을 아낀 사례를 모았다.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