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금광맥에 자라는 풀이 있다고?…자연과 교감하는 감수성 배우기 2017-09-06 09:27:29
짐작하기, 쐐기풀과 질경이로 사람 흔적 찾기, 벼락을 잘 맞는 나무와 안 맞는 나무 구분하기, 한곳에 모여있는 네잎클로버의 의미, 계절 따라 변하는 순록의 눈 색깔 등등. 저자인 20년 경력의 영국 탐험가 트리스탄 굴리는 손수 '자연 내비게이션'이라 명명한 이런 수백 가지의 지식과 기술들을 소중한 보물처럼...
아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착한 뷰티 아이템 2017-08-22 20:06:00
`질경이 데일리 에코아 워시`로 Y존 청결 유지 여성의 외음부 Y존은 각종 오염 물질뿐 아니라 수면 부족이나 스트레스 등 단순한 컨디션 저하로 인해서도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예민한 외음부 Y존을 깨끗하고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여성청결제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바다, 워터파크, 계곡...
[책마을] 숲 해설가 최성용 씨 "아파트 화단·보도블록…도시 곳곳이 생태 현장이죠" 2017-08-03 19:59:27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보도블록 사이에서도 질경이는 피어납니다. 이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게 되고, 그들의 생명력에 감동을 느낀다면 아파트 단지의 화단이나 출퇴근 길도 다르게 보일 수 있지 않을까요.”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신간] 답사의 맛!·풍경으로 본 동아시아 정원의 미 2017-08-03 10:45:03
개망초와 질경이, 길가 벚나무에서 꽃가루 경단을 만드는 꿀벌 등 도시의 다양한 생명과 그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계절별로 소개했다. 저자는 바삐 움직이는 삶 속에서도 잠시만 멈추고 주변을 둘러보면,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다양한 생명을 만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동아시아. 348쪽. 1만8천 원. ▲ 나쁜 짓들의 역사...
[게시판] 과천과학관·생물자원관, 동·식물 세밀화 특별전 2017-07-18 12:00:35
동·식물 세밀화 특별전을 연다. 전시에서는 질경이, 점박이꽃무지, 갯가재 등 국내 생물 30여 종을 정밀하게 그린 채색화를 볼 수 있으며 동·식물 표본을 관찰하고 그려볼 수 있는 체험교실도 마련됐다. 전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center.go.kr)에서 볼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아내 위해 만들었더니 소비자들도 알아주더라"…여성청결제 질경이 만든 하우동천 2017-05-31 14:34:54
착안해 질경이를 개발했다.질경이는 물에 녹여 사용하는 알약 형태로 만들어졌다. 그전까지 여성청결제는 법적으로 ‘외음부 세정액’으로 분류돼 액상 형태여야 했지만 2010년 법이 바뀌면서 제형에 대한 규제가 풀린 덕택이었다. 고체 형태로 만든 이유는 휴대성 때문이었다.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해외여행을...
"아내 위해 만든 여성청결제…미국·중국·일본서도 '여심' 잡을 것" 2017-05-17 17:40:06
질경이' 개발…온라인서 입소문 타고 성장 홈쇼핑서 33차례 완판 기록…"생리 티슈 등 여성용품 확대" [ 임락근 기자 ] 최원석 하우동천 대표(사진)가 여성청결제를 개발해야겠다고 결심한 건 아내 때문이었다. 질염으로 고생하는 아내를 도우려고 질염에 대해 알아보다가 여성에게 흔한 질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한경·네이버가 함께 만드는 FARM] 잡초요리 전도사 '시인 농부' 2017-04-20 20:26:40
부부토끼풀·질경이·민들레…뒷마당 풀로 만든 진수성찬 [ 고은이 기자 ] 8년 전, 부부는 낡고 오래된 한옥으로 이사를 했다. 앞마당과 뒤뜰엔 잡초가 자랐다. 성기고 억센 잡초와 친해지는 일은 쉽지 않았다. 우리 모두가 잡초 같은 신세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로소 잡초를 들여다보게 됐다. 뜯어먹고, 연구하게 됐다....
작은 씨앗에 숨겨진 놀라운 약리효과…특허 출원 활발 2017-04-16 12:00:08
씨앗, 헛개나무 씨앗, 질경이 씨앗 등 모두 119종에 달했다. 대부분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씨앗 유래 화합물, 씨앗 유래 화합물의 추출 방법 등 형태로 출원됐다. 포도 씨앗이 45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추 씨앗(26건), 홍화 씨앗(25건), 새삼 씨앗(25건), 율무 씨앗(20건) 등의 순이었다. 질환별로는 비만,...
"조상 지혜 활용한다"…할미꽃 뿌리로 해충 퇴치 2017-04-11 12:00:12
삽주·질경이·참취·익모초 등 식물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한 사례들이다. 연구진은 최소 70∼80년 전부터 삽주, 질경이, 삼취를 나물 등으로 먹거나 배탈이 나거나 체했을 때 이용한 사실을 알아냈다. 더위를 먹거나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익모초를 사용했다. 파리나 모기 등 해충을 쫓아낼때에는 할미꽃 뿌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