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생-글] 5월 금융통화회의,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되나? 2016-05-13 10:32:05
아우르는 것이 중요하다. Q > 새로운 금통위 위원, 오늘 첫 회의 참석 새로운 금통위 위원들이 금일 금통위 회의에 처음으로 참석하게 된다. 금통위 위원들은 피셔 방식에 따라 최적통제준칙을 활용하는 통화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통화정책 관할범위 측면에서 빅 브라더 논쟁이 정리되어야 하며, 시장과의 소통을...
[생-글] 4월 금융통화회의, 한국은행의 선택은? 2016-04-19 09:28:37
고금리` 정책금리의 적정금리를 테일러 준칙으로 산출할 시 성장과 물가의 정책가중치에 따라 격차가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테일러 준칙에 따른 적정금리를 통화정책의 잣대로 삼는 각국의 중앙은행이 많지 않다. 적정금리를 산출하는 것 보다 최적통제준칙에 따른 금리경로를 중시해야 한다. Q > 韓 지난 해 GDP 2.7%,...
[생-글] 3월 금융통화회의, 한국은행의 선택은? 2016-03-10 09:28:33
테일러 준칙에 의거해 산출한 적정금리는 0.93%-1.34%이다. 그렇다면 현재 국내의 정책금리는 높은 수준인 것이다. 하지만 적정금리 산출 시 성장 혹은 물가 중 정책가중치에 따라 격차가 발생하며, 성장 측면에 가중치를 설정할 때 적정금리는 높게 나온다. 이는 시장에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최적통제준칙에 따른...
[생-글] 가열되는 추가 금리인하 논쟁, 韓 은행 선택은? 2016-02-16 09:20:22
국내는 통화정책 대전환기를 위해 모니터링을 수시로 진행해야 한다. 연 8회 축소론이 언급되고 있는 금통위는 당분간 12회를 유지해야 하며, 물가안정과 경제성장에 책무를 가진 한은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테일러 준칙 보다 최적통제 준칙이 활용되어야 하며, 통화정책 관할 범위에서 빅 브라더 논쟁이 해결되어야...
미국 경기 `재둔화`와 `대침체` 우려에 따른 주요 금융현안에 대한 매파와 비둘기파 간 논쟁 2016-02-15 07:31:36
`최적통제준칙(optimal control rule)`에 따라 장기간 초저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반박한다. 오히려 매파들이 적정금리 산출모델로 삼고 있는 `테일러 준칙`이나 `수정된 테일러 준칙(Modified Taylor Rule or Balanced Approach Rule)`은 정책금리가 금융위기 이후처럼 제로(0) 수준에 제약돼 있는 상황에서는...
[생-글] 올해 첫 美 FOMC 회의 … 금리 인상 경로 전망 2016-01-26 09:46:26
고용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적정금리는 최적통제준칙을 사용하며, 감독권을 중앙은행에 집중시켜야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Q > 美 금리인상 속도 전망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횟수를 예상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된다. Fed의 목적은 금융시장 및 경기의 안정이기 때문에 재닛 옐런 의장의 `최적통제준칙`...
올해 통화정책 정리와 내년 정책금리 전망 2015-12-10 15:06:20
때문에 대전환기에 알맞은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며 물가안정 및 경제성장에 대해 책무를 가져야 한다. 또한 금융통화회의는 연 12회 체제를 유지해야 하며 적정금리는 피셔방식의 테일러 준칙 보다 최적통제준칙을 추구해야 한다. 통화정책 관할범위 측면에서는 중앙은행에 감독권을 일원화시켜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267편. `악마와의 키스`를 재선택하는 각국 중앙은행…`유동성 장세` 재현되나? 2015-11-02 13:41:26
‘최적통제준칙(optimal control rule)에서는 물가안정보다 고용창출을 더 중시한다. 최적통제준칙이란 양대 책무로부터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정책금리 경로를 산출해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준칙에 따르면 고용창출에 도움될 경우 물가가 목표치를 일시적으로 벗어나도 괜찮다는 입장이다. 전통적으로...
9월 FOMC 결과, 美 금리인상 경로 전망 2015-09-18 13:10:29
속도는 최적통제준칙 결정 이번에 미국이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이후 경기상황을 토대로 인상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시나리오이다. 금리인상에 토대가 되는 장기완전고용 실업률 및 장기적 전망 등의 반영으로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졌지만 설왕설래하는 발언을 통해 10월 혹은 11월의 기자회견을 언급하고...
종전 금리인상에서 배우는 증시 영향 2015-09-16 16:47:24
있다. 하지만 과거에는 화폐수량설 및 테일러준칙으로 평가했으며 현재는 최적통제준칙(정점 3%)에 의해 금리인상 경로를 설정한다. Q > 美 Fed 통화정책 최대 목적, 경기안정 금리상승과 인하의 목적은 경기안정이다. 하지만 그동안 진행되었던 열두 차례의 금리인상은 경기안정에 실패했다. 첫 금리인상 이후 3년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