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교정상화 60주년 앞두고 만난 한일재계…"새로운 60년 준비를" 2024-10-18 09:25:01
지방 소멸, 기후 위기 등 직면한 문제의 해결은 물론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 시프트를 함께 주도할 협력 방안의 구상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재 양성, 기술 개발, 표준 도입 분야에서의 협력을 구체화하고, 주요 7개국(G7), 주요 20개국(G2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협력 틀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 대선 이후 미중 무역전쟁 심화…한국 벼랑 끝에 몰릴 수도" 2024-10-16 09:42:00
협력이 깊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경제 안보 정책, 제재, 수출 제한 등에 대해 한국·일본과의 협력은 더 긴밀해질 수 있다고 봤다. 샷 선임연구원은 최근 중동 전쟁 격화와 미국 허리케인 여파로 트럼프 지지율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미 대선 정국이 박빙으로 치닫고 있다며 "한국은 다른 중견국과 협력관계를 보다...
'한·아세안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개설 추진…내년 첫 회의 2024-10-14 16:56:24
수립 35주년을 맞아 양자 외교관계가 최고 단계인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CSP)로 격상된 것에 대한 구체적 협력사업으로 제안됐다. 아울러 지난 2022년 11월 한국 정부가 발표한 대(對)아세안 협력 정책인 한·아세안 연대 구상의 경제 분야 후속 조치이기도 하다. 이 대화체는 산업부와 아세안 사무국이 공...
[손승우의 지식재산 통찰] 韓·아프리카 경제협력, 지식재산으로 확대해야 2024-10-13 17:21:05
젊은 노동력까지 갖춘 잠재력을 가졌다. 2000년대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5%를 기록했고, 빠른 도시화로 소비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세계는 아프리카를 놓고 각축 중이다. 유럽연합(EU)은 오랜 관계와 지리적 이점을 기반으로 아프리카 무역의 26%를 차지하는 최대 파트너다. 중국은 대규모 원조를 앞세워 2030년까지 유럽을...
한·싱가포르, '공급망 파트너십'…바이오·에너지 협력 강화 2024-10-08 13:12:49
'전략적동반자관계' 수립에 합의했으며, 오는 10일 라오스에서 열리는 아세안 정상회의에서는 우리나라와 아세안 간 '포괄적전략적동반자관계'를 수립할 예정이다. 두 정상은 또 양국 간 인적·물적 교류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지난해 양국의 상호 방문객 숫자가 90만명을 넘어...
한중 통상장관회의…안정적 공급망 관리방안 등 논의 2024-09-27 20:00:01
이 밖에도 양측은 세계무역기구(WTO),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DEPA), 한중일 FTA 등 다자 통상 현안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양·다자 간 협력 소통을 지속하기로 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인니, '日주도' CPTPP 가입 신청…"경제개혁·시장개방 목적" 2024-09-26 11:16:49
경제개혁·시장개방 목적" 영국 이어 13번째 가입국 노려…"섬유·식음료·전기장비 수출 기회"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네시아가 일본 주도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공식 가입 신청했다. 2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안타라 통신...
대만, 日후쿠시마 식품 수입규제 추가 해제…모든 식품 수입 2024-09-25 20:48:11
대만 정부 발표에 대해 "(후쿠시마 사고) 재해지 부흥을 뒷받침하는 긍정적인 움직임"이라고 환영했다. 대만은 2022년 2월 후쿠시마 일대 식품 수입을 허용했는데 이를 두고 대만이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가입하기 위해 일본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sungjinpark@yna.co.kr...
통상본부장, 아세안 경제장관회의 참석…정상회의 의제 논의 2024-09-22 11:00:01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 아세안+3(한일중) 경제장관회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장관회의 등 아세안 관련 경제장관회의에 잇따라 참석했다. EAS 경제장관회의에서는 공급망,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등 신통상 이슈와 관련한 EAS 차원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이어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에서는 ▲ 한·...
"한·GCC FTA 활용해 중동 수출 다변화·신산업 진출 노려야" 2024-09-10 17:41:08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하며 경제협력 수준을 높인 바 있다. GCC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등 중동 6개국으로 구성됐다. 주제 발표에서 강문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GCC 수출은 자동차, 부품, 기계류 등 특정 품목 의존도가 높다"면서 "한·G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