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분기 영업익 70%↓…반도체 한파에 삼성전자 또 어닝쇼크 2023-01-06 08:54:44
플래시 고정거래가격도 4.14달러로 3.73% 떨어졌다. 하반기 들어 2분기 연속 어닝쇼크를 기록했지만, 상반기 호실적을 기록한 덕분에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연 매출 300조 원을 돌파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은 301조7700억 원, 영업이익은 43조 37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7.93%...
1월 6일 미증시 특징주 [글로벌 시황&이슈] 2023-01-06 08:05:39
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에 주력하는 웨스턴디지털은 일본의 기옥시아와 M&A 논의를 재개했다고 전해졌는데요. 키옥시아는 도시바메모리의 낸드 플래시 사업부를 분사하여 설립한 회사입니다. (코인베이스) 코웬은 코인베이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수준으로 낮췄는데요. FTX 파산 이후 암호화폐 업체들이 당국의...
가상자산 '마켓메이킹'에 대한 오해와 진실…"합리적 규제 필요" [블록체인 Web 3.0 리포트] 2023-01-04 16:23:12
종종 발생하는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 주문 오류나 매물 호가 붕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세 급등락 사태)' 등 사고들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레 투자자들이 지금보다 더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도 구축될 수 있을겁니다. <[블록체인 Web 3.0 리포트]는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삼성 '효율화' 화두로 내실강화에 집중 2023-01-02 16:15:15
수 없다고 보는 분위기다. D램·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도 2023년 2분기엔 영업손실이 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가 내놓은 해법은 설비 효율화 작업과 라인 전환 등을 통한 긴축 경영인 것으로 알려졌다. D램 업황은 2023년 하반기부터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새해에는 현상을...
SK하이닉스 실적전망 다시 '하향'…"4분기 손실폭 1조원 이상" 2022-12-20 14:14:59
플래시 영역에서 영업손실 1조4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전사 실적의 감소폭이 재차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신영증권은 같은날 SK하이닉스에 대한 '어렵다'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영업손실 1조 3000억원의 추정치를 내놓았다. 서승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강도 높은...
자신만만했던 SK하이닉스…'세계 2위' 타이틀 日에 내줬다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2-11-27 09:54:10
SK하이닉스 4분기 적자전환 전망 나와낸드플래시 불황에 솔리다임의 불시착까지 겹치면서 SK하이닉스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증권업계에선 올 4분기에 적자로 전환하고, 내년에도 적자를 이어갈 것이란 부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에 2,440대로 하락…환율 14.1원 올라(종합) 2022-11-17 17:11:23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이 D램과 낸드플래시 공급량을 줄이고 설비 투자도 추가로 축소하겠다고 밝히는 등 업황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증시를 주도하는 반도체 종목들의 주가가 하락해 지수에 부담을 더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업 재고가 빠르게 증가하고, 앞당겨진 소비로 인해 11∼12월 소비는...
SK하이닉스 실적 우려에…'9만 닉스' 턱걸이 2022-10-20 17:40:25
대비 61.3% 하락한 수치로 증권사 컨센서스(애프앤가이드 기준 추정 평균치)인 2조2436억원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올해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수요를 초과하면 연말 기준 재고가 사상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의 추가 가격 인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위민...
삼성전자 영업이익 20% 이상 감소 전망…동학개미들 '긴장' [정지은의 산업노트] 2022-10-05 14:00:03
D램, 낸드플래시 가격도 하락했다. D램 고정가격은 7월 2.88달러, 8~9월에는 2.85달러에 그쳤다. 5~6월 3.37달러보다 낮은 수준이다. 증권가에선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발표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통상 실적 발표 직전까지는 호실적 기대감에 주가가 오르다가, 직후 하락하는 모습을...
삼성전자 "4분기 반도체 매출 1위 뺏길 수 있다" 2022-09-30 17:45:45
PC용 범용 D램 고정거래가격은 9월 2.85달러, 낸드플래시 가격은 4.30달러를 기록했다. 전고점을 찍은 지난해 7월(D램 4.10달러, 낸드플래시 4.81달러) 대비 각각 30.5%, 10.6% 하락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가전과 스마트폰, TV 등의 판매 감소로 DX(디바이스경험) 부문 실적 감소가 예상되는 점도 컨센서스 하향에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