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박순애 "만5세 입학, 학부모 의견 들어 점진 시행" 2022-08-01 17:35:16
이날 학제개편안에 대해 전국 유·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1만662명 중 94.7%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5.3%에 그쳤다. 유아 학부모들이 모이는 인터넷 맘카페와 단톡방에서는 결사반대를 외치는 글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다. 경기 안양의 맞벌이 부모...
[포토] 피켓들고 거리로 나선 학부모들 2022-08-01 16:07:54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을 비롯한 30여 개 교원·학부모 단체는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만 5세 초등학교 조기입학 학제개편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솔 한경디지털랩 기자
[포토] 피켓들고 거리로 나선 학부모들 2022-08-01 16:04:32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을 비롯한 30여 개 교원·학부모 단체는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만 5세 초등학교 조기입학 학제개편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솔 한경디지털랩 기자
[포토] 만 5세 초등취학 반대한다 2022-08-01 16:00:48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을 비롯한 30여 개 교원·학부모 단체는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만 5세 초등학교 조기입학 학제개편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솔 한경디지털랩 기자
[포토] 만5세 초등학교 조기입학 반대 기자회견 2022-08-01 15:55:24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을 비롯한 30여 개 교원·학부모 단체는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만 5세 초등학교 조기입학 학제개편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솔 한경디지털랩 기자
[한경라씨로] 교육주가 강세인 2가지 이유 2022-08-01 14:25:04
동안 일일 평균 확진자는 꾸준하게 1만여명을 넘어서고 있어 비대면 수업이 재논의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5세로 낮춘다는 교육부의 발표가 있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지난 29일 새 정부 업무계획에서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현재보다 1년 낮추는 학제 개편안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경닷컴...
'만 5세 초등 입학' 논란에…한덕수 "학부모 등 의견 반영하라" 2022-08-01 12:46:32
한덕수 국무총리가 1일 초등학교 취학연령 개편안과 관련해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의 의견을 경청해 정책에 반영하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아이마다 발달 정도가 다르고 가정과 학교의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해야한다"며 "국민이 불안해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경기 전교조 "5세 유아 초등 수업 요구는 아동학대" 2022-08-01 10:55:08
담은 학제개편안 발표에 앞서 교육 당사자들과 토론이나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 놀고 건강하고 행복해야 하는 유아의 권리를 고려하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학제개편안은 그 어떤 교육정책보다 밀실에서 급조한 것으로 학교 교육 현장을 전혀 모르고 내놓은 탁상행정의 전형적인 표본이자...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 논란…민주당 "철회하라" 2022-07-31 22:18:19
만 5세(한국나이 7세)로 낮추는 정부의 학제개편안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초등학교 입학 연령 하향은 전 국민 `패싱`"이라며 "대통령은 일방적인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강 의원은 "이 정책은 정부에서 30년 전부터...
[데스크 칼럼] 전현직 대통령의 상반된 업무 방식 2022-07-31 18:06:58
만 6세인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5세로 낮추는 학제 개편안은 대통령 공약에도 없었다. 1949년 교육법 제정 이후 76년 만에 대한민국의 학제를 바꾸는 정책이 난데없이 등장한 배경을 설명해주는 이도 없다. 일각에선 ‘최소 100만 표는 날아갈 사안’인데 너무 성급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정책은 절차적 정당성과 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