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같은 채권단 신세…다른 길 걷는 아시아나·HMM 2024-12-30 08:00:00
지정학적 리스크로 해상운임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데다, 운임을 달러로 정산하는 해운업 특성상 달러값 급등도 호재로 작용해 당분간 호실적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HMM과 같이 채권단 관리 체제 하에 있던 아시아나항공은 전혀 다른 상황이죠? <기자>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3일 채권단인 산업은행 및...
'강달러=수출호재' 공식 깨져…원/달러 환율 급등에 산업계 '비상' 2024-12-26 14:53:01
기업들도 고환율 기조가 해상운임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이러한 수혜는 유가 상승에 따라 반감될 수도 있다. 원화 가치 하락이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가 부정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수입 비용 상승에 따른 비용 효과 영향이다. 산업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원화의 실질 가치를...
또 꿈틀대는 해상운임…내년 1분기가 정점 2024-12-24 17:43:52
고운임이 지속되다 이후로는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유럽과 중국 등지에서 경기 침체 조짐이 관측되며 내년 글로벌 물동량 증가폭이 크지 않을거란 이유에서입니다. 또, 과거 발주한 선박들이 운항을 시작하며 전세계 선복량도 올해보다 5.5% 가량 늘어날 거란 관측입니다. 물류업계에서는 1년 단위...
"내년 해상 운임 더 오를 것"…삼중고에 신음하는 산업계 2024-12-23 17:47:26
급등으로 원가 부담이 늘어나는 데다 해상 운임까지 떨어질 기미가 없어서다. 한 가전기업 고위 임원은 “중국산 제품과 경쟁해야 하는 터라 원가가 불어나도 이를 상품가에 반영하기가 어렵다”며 “내년에도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많게는 수천억원을 손해 볼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23일 한국무역협회가 화주·포...
"수출기업·물류업계 74%, 내년 해상운임 상승 기조 전망" 2024-12-23 13:42:45
내년 해상운임 상승 기조 전망" 무협 설문조사 결과…중동사태 장기화·中 밀어내기 물량 등 영향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 반군이 가자지구 전쟁 이후 지난해 11월 홍해에서 서방 상선을 공격하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해온 해상운임이 내년에도 상승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기고] 트럼프 2기의 해상물류 전략 2024-12-22 17:09:41
해상 물동량에서 미국의 비중은 5% 정도이고, 미국과 중국 사이의 해상 물동량은 1.4%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파급 효과가 작은 것은 아니다. 미국으로 들어가는 물동량은 거의 컨테이너로 운송되는 공산품이고 미국에서 수출하는 화물은 곡물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벌크화물이다. 따라서 컨테이너 화물은 컨테이너선이,...
경남, 섬주민 취약층 해상교통비 무료 2024-12-16 19:01:46
경상남도는 내년 3월부터 ‘섬주민 해상교통운임 무료화 지원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섬주민 중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75세 이상 어르신은 해상교통수단인 여객선과 도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지원 대상은 6개 시·군(창원 통영 사천 거제 남해 하동) 53개 섬 주민 2191명이다. 연간 10만 명 정도가 혜택을...
트럼프 2기, 관세리스크·항만파업 우려로 운임상승 전망 2024-12-13 09:04:11
밀어내기 선적(Front Loading) 증가로 운임의 추가상승 여지가 큰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10년간 해상운임은 코로나 기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정상화가 이루어지는 듯 했으나 올해 초 홍해 사태로 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는 선박이 늘어나고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운임강세가...
"트럼프 2기 출범 후 관세리스크로 운임상승 전망" 2024-12-12 14:00:01
선적 증가로 운임의 추가 상승 여지가 큰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10년간 해상운임은 코로나19 기간 최고치를 기록한 후, 올해 초 홍해 사태로 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는 선박이 늘어나고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운임 강세가 지속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항만노조의 파업 가능성과 트럼프...
작년 운수업 매출 2.5% 감소…해상운임 하락 영향 2024-12-12 12:00:09
작년 운수업 매출 2.5% 감소…해상운임 하락 영향 퀵서비스 등 중심으로 기업체·종사자는 늘어…통계청 2023년 운수업 조사 결과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지난해 해상 운임 하락 영향으로 운수업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3년 운수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운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