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부 "IAEA, 도쿄전력 오염수 측정 능력 높은 수준으로 평가" 2024-01-31 13:15:28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IAEA가 30일 오염수 및 해양환경에 대한 확증 모니터링 보고서와 오염수 방류 이후 IAEA 모니터링 태스크포스(TF)의 첫 방일 미션 보고서를 공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확증 모니터링은 일본의 방사성핵종 검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오염수와 환경 샘플을 교차 검증하는 것으로 이번에는 오염수 샘...
해수부 선정 2월의 수산물에 '꼬막·대게·홍게' 2024-01-31 11:00:02
있다. 해수부는 2월 '이달의 해양생물'로는 참돌고래(Delphinus delphis)를 선정했다. 참돌고래는 몸길이가 최대 2.7m, 체중은 최대 160㎏에 이르며 날렵한 체형에 몸쪽에 황토색과 회흑색의 모래시계 무늬가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참돌고래는 고래류 중 가장 번성한 종으로 최대 수천 마리까지 큰 무리를 지어...
[고침] 경제(작년 일본 어패류 수입, 후쿠시마 원전사고…) 2024-01-28 14:20:43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시작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어패류 수입액은 1억5천191만달러로 전년 대비 12.8% 줄었다. 이는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한 이듬해인 2012년(-33.3%) 이후 1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어패류 수입액은...
작년 일본 어패류 수입,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최대폭 감소 2024-01-28 06:01:03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시작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어패류 수입액은 1억5천191만달러로 전년 대비 12.8% 줄었다. 이는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한 이듬해인 2012년(-33.3%) 이후 1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어패류 수입액은...
제이제이앤컴퍼니스, 낙동강 어도(Fishway) 수중 생태환경 분석 시스템 구축 완료 2024-01-15 10:36:27
NET(신기술인증_제 해양수산신기술-2022-0009호) 등의 다양한 인증을 확보했다. 전정호 대표는 “본 기술은 함안보 어도의 수중 환경과 어도가 어류에 끼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혁신적인 도움이 될 것이며, 지속가능한 물과 해양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을 고도화 할 것”이라면서 “우리가 연구하는...
동물용 의약품 잔류물질 관리 강화…"허용 약품만 사용" 2023-12-28 10:45:17
내달부터 강화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동물용 의약품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LS·Positive List System)가 내달 1일 시행된다고 28일 밝혔다. PLS는 축·수산물 등에 잔류 또는 기준을 초과해서는 안 되는 물질을 중심으로 관리하는 '네거티브' 방식이 아니라 잔류가 허용되는...
내년 수산물 안전성 조사 2만1천건…올해보다 11%↑ 2023-12-25 11:00:06
기자 = 해양수산부가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수산물 생산·공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내년에 올해보다 11% 많은 2만1천건의 수산물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다. 조사항목도 사용금지 물질 등 7종을 추가해 195개로 확대한다. 해수부는 이러한 내용의 2024년도 수산물 안전성 조사 추진계획을 수립했다고 25일...
[서울대학교기술지주 스타트업 CEO] 해양 발전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해양엔지니어링 기업 ‘제이제이앤컴퍼니스’ 2023-12-22 01:03:53
수중카메라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어류의 생체정보를 분석한다. 어체 표면에 발현되는 특징을 기반으로 생장일, 크기, 질량을 예측한다. 행동을 통해 활동성을 분석할 수 있고, 외형과 행동으로 일부 질병을 판명하고 어류의 생체정보와 센서를 통한 다양한 수질 정보를 통해 어류의 성장 상태와 생존 적합성을 ...
"해외 아닙니다"…울릉도 바다에 무슨 일이 2023-11-21 12:44:59
등 아열대성 어류가 대거 새로 발견되기도 했다. 이밖에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용치놀래기와 놀래기 등이 많이 관찰됐다. 울릉도 해양생태계 변화 주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8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은 26도로, 위성을 이용한 표층수온 관측을 시작한...
어쩌다 온통 진분홍색…"접근 금지" 2023-11-11 08:37:23
미국 어류·야생동물관리국(USFWS)이 밝혔다. USFWS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대형 연못의 수면이 온통 진분홍색을 띠고 있다. USFWS는 하와이주 수자원부·보건부와 협력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당국이 물 샘플을 채취, 하와이대학교(UH)에 분석을 의뢰해 받은 예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