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013 서울시 문화지도] 문화공간 양극화…종로 158 vs 중랑 2, 동대문·동작은 공연장 '0' 2013-07-12 17:06:04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발표 공간으로 활용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며 “공공 문화공간을 지역 주민들의 예술 욕구를 해소하는 창구로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선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도 “해외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지역 문화시설은 주민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한경과 맛있는 만남] 정우현 MPK그룹 회장 "내 꿈은 피자로 세계 1등 하는 것…'꾼' 으로 살고 싶어요" 2013-07-11 17:02:48
기존 매장과 다르게 미피하우스의 예술적 테마에 어울리는 다양한 예술작품들로 실내를 꾸며 식사를 하며 작품을 즐길 수 있다.담백한 맛의 토마토 파스타인 토마토페스카토레 파스타, 고소한 크림의 풍미가 크랩의 식감과 어우러진 크랩 크림파스타가 대표적인 인기 메뉴다. 가격은 신선한 해산물 샐러드가 8900원, 파스타...
[책마을] 리더를 위한 책 2013-07-11 16:55:20
(장진한 지음, 행담출판, 334쪽, 1만5000원) 예술 그림을 보는 즐거움서용선 정종미 박성태 서용 김선두 등 중견화가 5인의 작업실과 전시회에서 문학평론가인 저자가 겪은 이야기를 담았다. (이윤옥 지음, 학고재, 304쪽, 2만3000원)마이너리티 클래식클래식 음악사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거장 49명을 골라 그들의 삶과...
6월 취업자 전년比 36만명 증가…8개월來 최대(종합2보) 2013-07-10 09:49:48
사업 등 정부 복지 정책의 영향이 커 지속 가능성에는 여전히 의문 부호가 찍혀 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ƌ월 고용동향'을 보면 취업자는 2천547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만명 늘었다. 증가 인원은 지난해 10월(39만6천명)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많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 1월...
[인사] EV한영 ; 국토교통부 ; 외교부 등 2013-07-09 17:13:10
제동환▷문화예술협력과장 남기욱▷영사서비스과장 오진희▷동아시아경제외교과장 서민정▷북미유럽연합경제외교과장 안세령▷북핵협상과장 이태우▷국립외교원 외교역량평가과장 상승만▷국립외교원 총무과장 정대수▷국립외교원 직무연수과장 허정애◎내정▷아세안협력과장 배병수▷유라시아과장 박기창▷유엔과장 임갑...
미술시장 年 5천억 육박…장기침체 대책 세워야 2013-07-09 17:10:21
매력적인 콘텐츠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최근 국내 미술시장 규모를 연 4722억원(2011년)으로 집계했다. 이 중 갤러리현대, 국제갤러리, 가나아트갤러리 등 화랑 371곳의 판매액이 2963억원으로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공공기관의 작품구입(983억원), 건축물미술작품 설치(835억원),...
[진화하는 기업 사회공헌] 환경·안전·나눔…사회공헌 가치가 핵심 경영전략 2013-07-08 15:35:00
대기업 최초로 ‘통합 예술 집단치료’라는 나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학교폭력이나 학대 등으로 상처 받은 어린이들을 위해 미술, 무용, 연극 등을 통해 정서적 치유를 돕는 새로운 사회공헌활동이다. 올해 2000명 등 3년간 총 1만명의 어린이들에게 치료를 해줄 방침이다. 기업 사회공헌, 복지정책 틈새를 메우다...
[진화하는 기업 사회공헌] 현대중공업, 울산에 암센터·예술회관 건립…70여개 中企와 美박람회 참가 2013-07-08 15:30:11
현대예술관은 1000석 규모의 공연장과 미술관, 영화관, 레저시설을 갖춘 복합 문화센터로 하루 1만2000여명의 시민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현대예술관은 2002년부터 문화 소외계층을 위해 찾아가는 음악회를 열고 있다. 저소득층 장애인들이 무료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문화 나눔 행사’도 지원하고...
서비스산업 활성화위해 세제ㆍ금융 차별 없앤다(종합) 2013-07-04 09:54:48
콘텐츠펀드 9천억 추가조성정부, 서비스산업 정책 1단계 추진방향 발표 정부가 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해제조업에 비해 열악한 세제·금융지원·제도 운영상 차별을 없애기로 했다. 현재 매출액에 따라 정해진 서비스업종 중소기업 분류 기준을 제조업 수준으로조정하고 제조업과 전기·도시가스·수도 등 공공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