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주요 ESG 콘퍼런스 및 포럼 2025-02-04 06:00:55
2022년 역대 최저치인 52%에서 69%로 상승했다. 보수 세력의 반발로 기업의 다양성·형평성 및 포용성(DE&I) 정책이 우선순위에서 밀려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외 ESG 이벤트 일정] 2025년 2월 환경부, 배출권거래제도 개편...
LG전자, ESG 평가에서 경영 개선 답안 찾는다 2025-02-04 06:00:43
보수 평가에 연동된다. ESG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극대화하며,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LG전자는 ESG 전 영역에 걸쳐 모든 평가 항목에 종합적으로 대응하면서도 환경 부문에서는 기후변화 전략, 에너지, 폐기물 및 오염물질, 수자원, 제품 책임을, 사회 부문에서는 노동 관행, 인권, 공급망...
EU, 중소기업 부담 줄인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 내놔 2025-02-04 06:00:01
수자원, 자원 사용과 순환경제 및 폐기물 관리 순이다. 생물다양성의 경우 생물다양성 민감 지역에 위치하거나 그 근처에 있는 소유, 임대 또는 관리하는 부지의 개수와 면적을 헥타르 단위로 공개하도록 권장한다. 수자원의 경우 총 물 취수량을 공개하고, 특히 높은 물 스트레스 지역에 위치한 부지에서 취수한 물의 양을...
MBC, 오요안나 '직장내 괴롭힘' 이어 홍준표 편집 불만에 '시끌' [이슈+] 2025-02-03 21:41:01
관리해 왔고, 정규직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직장 내 괴롭힘에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는 이런 고용 형태를 '불법 프리랜서 계약'이라고 칭했다. 문제는 MBC가 해당 사안에 대해 "고인이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자신의 고충을 담당부서(경영지원국 인사팀 인사상담실,...
"개방형 지열 시스템이라야 유지보수 가능"…지열 신공법 주도하는 GGK 2025-02-03 17:42:14
유지보수가 쉽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홍성술 GGK 대표(사진)는 “수직 밀폐형 방식은 지열 공 안에 설치되는 PE파이프가 변형되거나 이음부가 자주 파손되지만, 땅속에 묻혀 있어 식별이 어렵고 하자 보수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개방형 시스템은 부동액 대신 지하수가 순환해 온도 차를 전달해...
지열로 건물 냉난방했더니 에너지효율 '1등급' 2025-02-03 17:34:14
자주 파손되지만, 땅속에 묻혀 있어 하자 보수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건설 신기술’로 지정된 GGK의 개방형 시스템은 나라키움정책연수원 등 185개 공공건물 신축에 적용 중이다. GGK는 유일하게 ‘에너지 생산 현황 패널’도 설치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당일, 월 누적 생산량(㎉)을 전기 단위(㎾)로...
건물유지관리 전문 박람회 '건물유지관리산업전' 스마트빌딩 특별관 개최 2025-02-03 16:35:53
유지·관리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유지보수 및 관리 솔루션을 집중 조명한다. 참가 기업들은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시설 점검 시스템, 에너지 효율 최적화 솔루션,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친환경 청소·위생 관리 기술 등을 공개하며, 건물 유지관리의 미래를 한눈에...
올해 첫 IPO 대어 LG CNS…그룹 차원 부양책 기대 2025-02-03 06:00:48
보수 관리 측면이 강해 삼성SDS와 기업 가치를 비교하는 게 합리적인데, 삼성SDS보다 공모가가 다소 높게 산정됐다”고 평가했다. LG CNS는 삼성SDS보다 매출 규모는 작지만, 영업이익률 측면에선 다른 비교 기업들보다 좋은 실적을 냈다. 2023년 영업이익률은 8.3%, 2024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7.9%다. 5~6%대인...
세스코, 2025 식품안전교육 개강…현장형 식품안전전문가 양성 2025-01-31 11:32:24
수 있다. 위생용품 위생교육은 위생용품 관리법 제9조에 의한 법정의무교육으로 ‘신규/보수과정’으로 구성되어 온오프라인 모두 언제든지 수강할 수 있다. 식품전문교육은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도 진행한다. 식품표시법규, 위해요소분석 작성 실무, 식품위생 관련 법규 개론, 해충방어와 이물제어, 식품 품질...
경남도, 상반기에만 예산 13조 푼다 2025-01-30 17:36:44
지원한다. 조선해양 신산업으로 꼽히는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산업을 육성하고 미래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도 유도한다. 자동차산업은 미래차 선도기업 및 기술을 발굴하는 등 미래차 전환을 지원한다. 도내 방산분야 신규 사업이 정부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인공지능(AI), 로봇, 드론 산업의 육성 기반도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