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와이 마우이 산불 피해자들 소송 '5조5천억원 배상' 합의 2024-08-04 03:54:15
발생한 대규모 산불 피해자들이 지역 전력망 관리업체와 행정 당국 등을 상대로 낸 소송이 약 40억달러 규모의 배상금 지급으로 결론나게 됐다. 3일(현지시간) 하와이주(州) 정부에 따르면 이 소송의 피고인 전력망 관리업체 하와이안 일렉트릭과 주 정부, 마우이 카운티 등은 개인 및 집단 소송을 대리하는 원고 측 대표...
'첫 월급 992만원' 이준석…"돈은 방송할 때 더 벌었다" 2024-07-29 10:45:03
707만9000원, 관리업무수당 63만7190원, 상여금 1557만5780원, 명절휴가비 849만5880원, 입법활동비 313만6000원, 특별활동비 78만4000원이다. 이 밖에도 의원들에게는 실제 차량 보유 여부와 무관하게 매월 유류비와 유지비를 각각 월 110만원, 35만8000원도 별도로 지급하고 있다. 상임위원장을 맡거나 교섭단체 대표를...
"매일 싸움만 하는데"…이준석 국회의원 월급 공개에 '술렁' [이슈+] 2024-07-27 13:00:06
707만9000원, 관리업무수당 63만7190원, 상여금 1557만5780원, 명절휴가비 849만5880원, 입법활동비 313만6000원, 특별활동비 78만4000원이다. 이 밖에도 의원들에게는 실제 차량 보유 여부와 무관하게 매월 유류비와 유지비를 각각 월 110만원, 35만8000원도 별도로 지급하고 있다. 상임위원장을 맡거나 교섭단체 대표를...
아파트 관리업체 우리관리…공동주택 특화 ERP 선보인다 2024-07-25 17:15:50
아파트 관리업체인 우리관리가 공동주택 관리에 특화한 종합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을 선보인다. 우리관리는 NHN두레이와 손잡고 공동주택 ERP 자회사 엔마스터를 설립했다고 25일 밝혔다. 윤성현 우리관리 전무가 엔마스터 대표를 맡는다. ERP는 영업관리, 구매관리, 예산관리 등 관리가 필요한 회사의 모든 자원을...
반려견 유치원 다섯 곳 중 두 곳, 중도 해지때 '환불 불가' 2024-07-25 12:00:09
조사됐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동물위탁관리업자는 동물에 관한 사항을 표시·광고할 때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등록한 영업등록번호와 거래금액을 함께 표시해야 한다. 소비자원과 서울시는 지난 4월 25일부터 5월 2일까지 최근 2년간 반려견 유치원을 이용한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도 시행했다. 그 결과...
우리관리, NHN두레이와 손잡고 ERP 자회사 ‘엔마스터’ 설립 2024-07-25 11:00:04
관리업체인 우리관리가 NHN두레이와 손잡고 공동주택 ERP(전사적 자원관리) 자회사 ‘N마스터’를 설립했다. 윤성현 우리관리 전무가 엔마스터 대표를 맡는다. ERP란 영업관리, 구매관리, 예산관리 등 관리가 필요한 회사의 모든 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엔마스터는 1400여개에 달하는 우리관리 사업장의...
'SM 시세조종 유죄' 판결땐…카카오뱅크 잃을 수도 2024-07-23 17:53:06
신청한 마이데이터사업(본인신용정보관리업)과 비금융신용평가업(전문개인신용평가업) 허가도 적격성 문제로 심사가 보류된 상태다. 카카오 법인이 벌금형 이상 형을 확정받는 최악의 상황 땐 카카오가 카카오뱅크 대주주 지위를 내려놔야 한다. 카카오는 카카오뱅크 지분 27.1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인터넷은행 특례법상...
'카뱅' 주인 바뀔 수도…김범수發 초유의 사태 '발칵' [정지은의 산업노트] 2024-07-23 15:45:06
신청한 마이데이터사업(본인신용정보관리업)와 비금융신용평가업(전문개인신용평가업) 허가도 적격성 문제로 심사가 보류 중이다. 신용정보법엔 대주주가 금융관계법률을 위반해 벌금형 이상에 상당하는 처벌받은 사실이 없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카카오 대주주 지위 잃을 수도카카오 법인이 벌금형 이상 형을 확정받는...
'주민등록' 받은 개·고양이 329만마리…40대 女가 가장 많아 2024-07-23 11:00:04
위탁관리업(4820개소·23.4%)과 동물판매업(3154개소·15.3%), 동물 생산업(2011개소·9.8%), 동물운송업(1477개소·7.2%) 등이 뒤를 이었다. 동물 장묘업은 전국에 74개소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에 27곳, 경남에 9곳, 전북에 7곳, 전북에 5곳이 각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대전, 제주는 동물 장묘시설이 한...
작년 반려견·반려묘 27만마리 등록…329만마리로 늘어 2024-07-23 11:00:03
관리업이 4천820곳(23.4%), 판매업(15.3%) 등이었다. 이중 동물 장묘업(74곳)과 운송업(1천477곳)은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동물 장묘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로 27곳이었고 경남이 9곳, 경북 7곳 순이었다. 장묘시설이 없는 지역은 서울, 대전, 제주였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