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 옆 거대한 산소구름 2023-09-17 13:33:54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 옆 우주공간에 활처럼 휜 거대한 푸른빛 플라즈마 구름(사진)이 처음 발견됐다. 17일(현지시간) 영국 그리니치천문대는 ‘올해의 천문 사진가’ 공모전 대상에 안드로메다 은하(M31)의 새로운 모습을 담은 ‘뜻밖의 안드로메다’를 선정했다. 이 사진은 3명의 아마추어 천문 사진가가...
"UFO 실체 규명, AI 기술도 동원하겠다"…NASA의 포부 2023-09-15 09:44:05
생명체가 지구에 도달하려면 수십억 광년까지는 아니더라도 수백만 광년을 지나와야 할 것”이라며 “대부분 발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UAP는 레이더나 사진 등을 통해 포착됐지만, 그 정체가 식별되지 않은 비행물체를 총칭하는 용어다. 미 정부와 의회 등은 ‘외계 우주선’으로 인식되는 UFO가...
수십광년 밖 외계 행성에 바다 존재 가능성…"생명 징후도" 2023-09-12 11:59:54
광년 떨어진 사자자리 '슈퍼지구' 발견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외계 행성에 물로 이뤄진 바다와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포착됐다고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으로 지구에서 120광년 떨어진 사자자리의...
[사이테크+] 가장 가까운 블랙홀은?…"히아데스성단에 블랙홀 존재 가능성" 2023-09-11 09:42:59
블랙홀 존재 가능성" 국제연구팀 "최근접 블랙홀의 10분의 1거리인 150광년 밖에 블랙홀 있는 듯"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은 어디에 있을까?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로 알려진 1천560광년 밖 '가이아 BH1'(Gaia BH1)보다 훨씬 가까운 '히아데스성단'(Hyades...
'사건의 지평선' 국제 연구팀…블랙홀 비밀, 하나둘씩 푼다 2023-09-08 17:53:18
공개한 블랙홀이다.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무게는 태양 질량의 65억 배에 달한다. 제트는 블랙홀 주변에서 강하게 분출되는 기체와 액체 폭풍을 말한다. 천문학자들은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제트 형성에 자기장이 깊게 관여할 것이라고 추측해왔다. 그동안 제트의 자기장 강도는 제트의 밀도가 높은 블랙홀...
제임스웹 망원경에 '별의 화려한 죽음' 포착 2023-08-04 15:15:40
2천600광년 밖 고리성운 고해상도 촬영 "항성 생애주기·우주물질 등 더 깊이 이해"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우주를 향한 '인류의 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이번에는 별의 죽음을 어느 때보다 선명하게 포착했다.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지구에서 2천600 광년 떨어진 거문고자리에 있는...
[사이테크+] 5천광년 밖 목성급 행성 탄생현장 포착…"먼지 덩어리 형성 중" 2023-07-26 09:18:12
5천광년 밖 목성급 행성 탄생현장 포착…"먼지 덩어리 형성 중" 칠레 연구팀 "'중력 불안정'에 의한 거대 행성 형성 과정 첫 관측"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지구에서 5천광년 떨어져 있는 외뿔소자리(Monoceros)의 어린 별(V760 Mon) 주위에서 수축하면서 목성 크기의 거대 행성을 형성할 수 있는 큰 먼지...
"장주기 쌍성 궤도운동서 뉴턴역학 붕괴 발견…새 중력론 검증" 2023-07-25 12:16:15
650광년 이내 2만6천500여 개 장주기 쌍성 데이터를 분석했다. 쌍성이 겪는 중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속도를 두 별 사이 거리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뉴턴역학에서 예측되는 가속도와 비교했다. 그 결과 거리가 1천 AU 이내일 때는 쌍성 궤도 운동의 중력 가속도가 뉴턴역학과 일치하지만, 2천 AU 이상에서는 뉴턴역학의...
[사이테크+] "37광년 밖에서 목성보다 작고 모닥불보다 차가운 별 확인" 2023-07-14 08:43:11
[사이테크+] "37광년 밖에서 목성보다 작고 모닥불보다 차가운 별 확인" 호주 연구팀 "목성 0.65~0.95배, 425℃ 갈색왜성…전파 방출 미스터리"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목성보다 작고 표면 온도가 모닥불보다 낮으면서도 전파를 방출하고 있는 과냉각 갈색왜성(ultracool brown dwarf)이 확인됐다. 호주 시드니대...
"인류의 눈 바꿨다" 제임스웹 1주년…'별의 탄생' 사진 공개 2023-07-13 12:06:08
39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로 오피우치'(Rho Ophiuchi) 구름 복합체(cloud complex)를 촬영한 것이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형성 지역인 로 오피우치의 지름은 0.5광년(약 4.7조㎞)에 달한다고 영국 BBC 방송은 전했다. 사진에는 이미 완전히 형성됐거나 아직 형성 중인 별 50여개가 포착됐다. 제일 어두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