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지난해 11월 수출 증가율, 1%대 '뚝'..."올해 지속 둔화될 것" 2025-01-08 13:43:31
및 정밀기기(-12.5%) 품목의 수출은 축소됐다. 송 부장은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등 IT 품목은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는 만큼 수출은 증가율이 둔화되겠지만, 증가세는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은 올해 연간 경상수지는 당초 전망치인 9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 부장은 "산업통상자원부의 통관...
[마켓칼럼] "美 쌍둥이 수지 적자에…올해 환율 안정될 것" 2025-01-06 10:54:39
추세에 있으며,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이 하이테크 산업으로 변화되면서 가격 탄력성도 낮아졌다는 것이다.올해 글로벌 교역 전망은 밝지 못해…슈퍼 달러 제어 요인을 미국에서 찾아야 할 수도한국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인 반도체를 생각해보면 이런 점이 잘 드러난다. 한국 반도체가 그동안 글로벌 시장에서 잘 팔렸던...
작년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격차 52억달러…21년 만에 최소 2025-01-06 07:00:05
교역 구조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간 한국은 부품·소재 등 중간재를 중국으로 수출하고, 중국이 이를 완제품으로 만들어 세계 시장에 내놓으면서 한국도 중국 경제의 성장 과실을 함께 누려왔다. 실제로 대중 수출은 중국이 WTO에 가입한 지 10년 만인 2010년 처음으로 1천억달러를 넘어섰고, 2015년 한중 FTA까지...
베트남, 3년 연속 중국·미국 이어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 2025-01-06 06:00:11
양국 교역 규모는 30년 이상 지난 현재 150배 넘게 커졌고, 교역 품목 또한 직물, 의류 등 노동 집약 상품에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진화했다. 특히 2014년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양국 교역 규모는 300억달러대에서 800억달러 규모로 2.5배 이상 성장했다. 2014년 당시 베트남은...
[2025경제] '트럼프 2기' 대응 新대외경제전략…무역금융 360조 지원 2025-01-02 10:40:45
품목과 서비스는 국내 공장 신·증설 시 외국인투자 및 지방투자 보조금 지원을 확대하고, 공급망 위기 시 경제·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수급 안정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핵심광물 관련 사업 발굴 등에 필요한 대출, 투자, 보증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공급망 자금 500억원을 활용해 민관이...
"내년 韓 수출, 中·아세안 소폭 증가, 북미·EU 현상유지 전망" 2024-12-27 06:00:02
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는 AI, 반도체 관련 고부가 품목과 무선통신기기, 선박, 바이오헬스 및 K-콘텐츠 기반의 화장품 등 소비재 수출이 소폭 증가(3∼10%)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자동차, 철강 제품, 디스플레이, 가전 등 기존 주력 제품은 소폭 감소(0∼10%)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첨단산업과 IT 품목 외...
"필리핀 수출 車관세 즉시 철폐"…31일 한·필 FTA 발효 2024-12-26 06:00:04
필리핀 수출과 관련해서는 자동차가 대표적 수혜 품목이다. 필리핀은 현재 한국산 자동차에 5%의 관세를 부과하는데, FTA가 발효되면 내연기관 승용차와 화물차 모두 즉시 관세가 철폐된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 대상 관세는 5년에 걸쳐 폐지된다. 한국 측은 필리핀의 관심 품목인 바나나 관세를 현재의 30%...
'엔데믹' 작년 北경제 4년만에 플러스 성장…중국 교역 급증 2024-12-20 12:00:00
최대 수출 품목은 '조제우모와 솜털 및 그 제품'으로 전체의 51.6%에 달했다. 가발·신발·모자 등의 경공업 품목으로, 2022년 1천170만달러에서 지난해 1억6천766만달러로 무려 1,332% 증가했다. 최대 수입품목은 '광물성연료, 광물유'로 18.4%를 차지했다. 최대 교역국은 중국으로 비중이 98.3%였다....
"트럼프2기, 협상 난도 더 높다…대책마련 시급" 2024-12-16 14:00:00
품목의 수출을 통제하는 수출통제의 무기화 가능성에 대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폴 공 미 싱크탱크 루거센터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2기 통상정책 및 기업 대응전략에 대한 발표를 통해 "미국과 경제·안보 교류가 많은 한국과 같은 나라들에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은 각국 정부가 앞다퉈 미국으로...
고환율에 11월 수입물가 상승…계엄으로 이달 더 뛸 수도 2024-12-13 09:09:07
등이 수출 물가를 끌어올렸다. 세부 품목 가운데 경유(4.4%), 폴리프로필렌수지(3.0%), 알루미늄판(4.5%) 등의 가격이 많이 올랐다. 이 팀장은 "환율이 오른 가운데 석탄·석유제품 등을 위주로 수출 가격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11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출물량지수(116.83)와 수출금액지수(131.16)는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