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그래픽]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남녀 임금 격차 2024-03-07 09:27:05
[그래픽]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남녀 임금 격차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7일 서울시가 성평등 기본조례에 따라 홈페이지에 공시한 본청과 서울시립대, 26개 투자출연기관과 19개 민간 위탁기관의 2022년 성별 임금격차 자료에 따르면 여성 비율이 낮고 교대근무직이나 기술전문직이 많은 기관, 여성의 근속 기간이...
"남성이 신청하면 눈치 보여"…아빠들 '육아휴직' 겁내는 이유 2024-03-06 16:39:12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우선 과제로는 '남녀가 함께 육아를 분담하는 사업장 구성원의 인식 변화'(71.2%), '승진·해고 등 인사상 불이익과 차별 금지'(70.5%), '임금 삭감 없는 육아휴직 급여 지급'(67.4%) 등이 꼽혔다. 최근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육아휴직자...
있어도 못쓰는 男육아휴직..."불이익 걱정" 2024-03-06 16:02:54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남녀가 함께 육아를 분담하는 사업장 구성원의 인식 변화'(71.2%), '승진·해고 등 인사상 불이익과 차별 금지'(70.5%), '임금 삭감 없는 육아휴직 급여 지급'(67.4%) 등이 꼽혔다. 민주노동연구원은 "육아휴직 사용 격차는...
[특파원 칼럼] 최저임금 차등화 성공하려면 2024-03-05 17:57:57
줄였다. 최저임금 제도를 현재의 방식으로 개편한 1978년 이후 첫 제도 개선이다. 등급을 줄임으로써 지역 간 격차를 축소하겠다는 의도다. 후생노동성 관계자는 “매년 인상 폭이 대도시인 A지역에서 지방인 D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도농 격차가 확대되는 원인이 됐다”고 말했다. 2023~2024년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與 "아빠도 한달 출산휴가"…野 "셋째 낳으면 1억 지급" 2024-01-18 18:25:40
격차 및 대기업·중소기업 격차가 있다”며 “격차 해소가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공약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일·가정 양립을 위한 기업 지원이다. 육아 시기에 유연근무를 할 수 있도록 기업별로 시차근무, 재택근무, 근로시간 단축, 혼합형(하이브리드) 유연근무, 아이돌봄 서비스 등을...
[서화동 칼럼] 구멍 숭숭 뚫린 채 선진국일 순 없다 2024-01-02 18:09:05
비롯해 노인빈곤율(40.4%), OECD 평균의 3배에 가까운 남녀 임금 격차(31.1%), 행복지수, 가계부채 증가율, 미세먼지 농도, 사교육비 지출률과 자녀 양육비, 낙태율, 직장인 출퇴근 시간 등등. OECD 국가 중 여덟 번째로 높은 재난사고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0.21명)도 우울한 성적이다. 각종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여성 시간당 임금, 올라도 남성 70% 수준 2023-12-27 06:55:52
70.0% 수준으로 집계됐다. 남성 임금 대비 전체 여성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수준은 2012년 64.8%, 2017년 65.9%, 2021년 69.8%로 꾸준히 좁혀지고 있다. 여성 전체 근로자의 월 임금은 2012년 181만5천원에서 지난해 268만3천원으로 86만8천원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남성 전체 근로자는 297만4천원에서 지난해...
[다산칼럼] 여성친화적 정책이 신성장동력이다 2023-12-24 17:34:29
머물러 있다. 일본은 13위다. OECD 평균은 62.9%다. 남녀 격차는 15.9%포인트로 나타났다. 남녀 임금 격차도 여전하다. 소위 결혼·임신·출산에 따른 ‘결혼 페널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정규직 남녀 임금 격차는 수년째 한국이 1위다.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조사한 젠더 격차는 무려 11년간 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
포스트 코로나19…'걱정' 다시 늘고 쉴 때는 '멍때리기' 2023-12-15 12:00:02
점차 감소 추세다. 반면 지난해 걱정을 경험한 비율은 남녀 각각 32.0%, 35.2%로 전년보다 모두 4%p 상승하면서 팬데믹 초기 수준으로 회귀했다. 걱정의 정서는 엔데믹 이후에도 빠르게 개선되지 않는 경제적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이후 일시적으로 줄어든 임금 등은 다소 회복됐지만 영업시간 감...
[다산칼럼] 잠재성장률 추락이 주는 경고 2023-11-20 17:48:30
성장률을 끌어올리려면 여성 고용률을 제고해야 한다. 남녀 간 성 격차도 최소화돼야 한다. 2022년 세계경제포럼(WEF)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성 격차지수는 99위, 남녀 임금평등지수는 98위, 경제 참여·기회 부문은 115위로 나타났다. 직장 내 남녀 소득 격차가 광범위하게 이뤄진다. 결혼·임신·출산에 따른 결혼 페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