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정은 노력 잘 안다" 냉면 비방에도 北 감싼 문 대통령 2020-06-15 15:42:29
남북 사이에 이미 1972년의 7.4 남북공동성명과 1992년의 남북기본합의서가 있었지만 두 정상이 직접 만나 대화함으로써 비로소 실질적인 남북 협력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산가족들이 상봉했고, 남북 철도와 도로가 연결되었으며,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고, 개성공단이 가동되었습니다. 평화가 커졌고, 평화가 경제라는...
[전문] 文 "북한 긴장 조성 안돼…9·19선언 엄숙한 약속" 2020-06-15 15:23:38
남북공동성명과 1992년의 남북기본합의서가 있었으나 두 정상이 직접 만나 대화함으로써 비로소 실질적 남북 협력이 시작됐습니다. 이산가족이 상봉하고, 남북 철도와 도로가 연결됐으며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고 개성공단이 가동됐습니다. 평화가 커졌고 평화가 경제라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6·15 선언...
통신 단절·'對敵 사업'은 침묵하더니, 대북전단 살포엔 엄정 대처한다는 靑 2020-06-11 19:04:50
따른 남북조절위 공동발표문,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 제1장 이행 부속합의서 및 2004년 6·4 합의서 등 남북 간 합의에 따라 중지하기로 한 행위”라며 “남북교류협력법, 공유수면법, 항공안전법 등 국내 관련법을 위반하는 것일 뿐 아니라 남북 합의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오래전부터 대북 전단...
[종합] 靑 "대북전단 살포 철저히 단속…엄정 대응할 것" 2020-06-11 18:16:53
공동 발표문,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 제1장 부속합의서, 2004년 6·4 합의서 등에 따라 중지키로 했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는 이 같은 일련의 합의에 따라 정부가 오래전부터 대북 전단 및 물품 등의 살포를 일절 중지했고, 북측도 2018년 판문점선언 이후 대남 전단 살포를 중지했다고 전했다. 또한 김...
靑 "대북전단 살포 깊은 유감"…엄정 대응 방침 [입장문] 2020-06-11 17:44:32
따른 남북조절위 공동발표문`,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 제1장 이행 부속합의서` 및 2004년 `6.4 합의서` 등 남북간 합의에 따라 중지키로 한 행위입니다. 우리 정부는 오래전부터 대북 전단 및 물품 등의 살포를 일체 중지하였고, 북측도 2018년 `판문점선언` 이후 대남 전단 살포를 중지하였습니다. 이러한 남북 합의 및...
청와대 "대북전단 살포는 위법, 엄정대응 나설 것" 2020-06-11 17:23:06
남북기본합의서' 및 2004년 '6·4 합의서' 등 남북간 합의에 따라 중지키로 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러며서 "우리 정부는 오래전부터 대북 전단과 물품 등의 살포를 일체 중지했고 북측도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대남 전단 살포를 중지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일부 민간단체의 대북전달...
北 또 `전화선 단절`…김여정, 군사합의 파기 엄포 2020-06-09 12:25:06
대응했다. 이후 남북 간에 설치됐던 연락통로 40여 회선이 모두 끊어졌다가 1년 11개월만인 지난 2018년 1월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시로 복원됐다. 뒤이어 군 통신선도 복구됐다. 박근혜 정부 취임 직후인 2013년 3월에도 북한의 일방적 선언으로 판문점 연락이 중단됐다가 3달 만에 복원된 적이 있다. 당시 북한은...
남북기본합의서 서명 주역…정원식 前 국무총리 별세 2020-04-12 18:58:27
업적으로는 남북기본합의서 서명이 꼽힌다. 정 전 총리는 1991∼1992년 남북고위급회담 한국 측 수석대표로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을 면담하기도 했다. 1991년 12월 11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린 5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는 ‘남북화해’와 ‘불가침’, ‘교류협력’ 등을 골자로 한...
'격동의 시대'를 살았던 보수원로, 정원식 전 국무총리 별세 2020-04-12 13:33:33
된 남북기본합의서이다. 그 해 국제회의에 참석해 남북기본합의서 채택에 참여했다.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인 김영삼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제14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정권 인수를 담당했다. 2000년 이후에는 서울대학교의 명예교수로 교단에 섰다. 2002년 '2002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조직위원회...
[시론] 對北 '낭만적 비핵화 외교'는 끝내야 2020-01-08 19:00:42
대립구도가 허물어졌다. 남북한 관계도 급격한 변화를 맞았다. 공산주의 붕괴로 위기를 맞은 김일성이 남북대화에 매달렸다. 노태우 대통령도 북방정책의 성과를 바탕으로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했다. 양측은 1990년 9월부터 총리를 수석대표로 하는 고위급회담을 여덟 차례 개최했다. 1991년 12월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