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 곰팡이 유래 농약 항균 소재 발굴" 2023-03-16 15:35:23
이 물질의 세균성 식물병 방제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톨루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특허를 출원했다. 최완현 해양생물자원관장은 "해양미생물이 식품, 의약품, 화장품뿐 아니라 농업 분야에서도 유용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샘표, 농업과학원과 장류 미생물 자원 보존 MOU 2023-03-15 09:40:34
샘표, 농업과학원과 장류 미생물 자원 보존 MOU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샘표[007540]는 국립농업과학원과 산업 미생물 자원을 중복 보존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5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샘표는 보유한 미생물 자원을 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은행에 이중 보관할 수 있게 됐다. 샘표는 장류의 맛과 향,...
소 트림에 세금 물린다고?…'특별한' 소고기 만드는 나라 2023-02-25 07:00:31
DSM이 개발했다. 소의 위장에 있는 미생물이 효소와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호주축산공사에 따르면 나프코의 파이브 파운더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네 개의 소고기 브랜드가 탄소중립 인증을 받았다. 호주 내에서도 탄소중립을 위한 사료 첨가제 개발이 활발하다. 홍조류를 활용해 메탄 저감 첨가제를 개발한 스타트업...
젖소 없이 만든 우유·치즈, 美 스며들었다…슈퍼 5000곳서 팔려 2023-02-20 18:27:51
‘미생물 발효 단백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젖소에서 추출한 단백질 생성 유전자를 미생물에 넣고 유기화합물을 발효시켜 가루 형태의 인공 유청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 인공 유청 단백질로 우유와 치즈,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유제품을 생산한다. 맛은 진짜 우유 제품과 거의 같다. 기자가 인터뷰하기 위해...
농식품부, `그린바이오` 5년내 10조원 규모로 키운다 2023-02-16 13:56:56
통해 농업 및 식품산업이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린바이오 산업은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 등을 적용, 농업 및 전·후방산업 전반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이다. 주요 분야로는 종자, 동물용 의약품, 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 소재 등을...
5년내 '그린바이오' 산업 10조원 규모로 키운다 2023-02-16 12:00:25
연구시설 등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또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 등의 데이터 공개를 확대하고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부터 유용 미생물 은행, 기능성 원료 은행 등을 활용해 기업이 원하는 기능성 원료나 미생물 균주 등 소재를 분양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수요 창출을 위해 그린바이오 제...
"기후변화 탓 항생제 안 통하는 슈퍼박테리아 확산" 2023-02-08 10:28:46
상승이 박테리아 증가율과 미생물 간 항생제 내성 유전체의 확산율을 높이는 등 환경 변화가 여러 경로로 약제 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데이비드 그레이엄 영국 뉴캐슬대 교수는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 새로운 내성의 진전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밀크플레이션'에 3만t 수입…그 많은 멸균우유는 어디로? 2023-02-02 17:31:39
‘농업전망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료값 상승 등으로 원유 생산가가 뛰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멸균우유 수입량은 3만3000t에 달했다. 전년보다 42%나 늘어난 양이다. 수입 멸균우유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마시는 살균우유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유를 가열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한 뒤 포장한다. 유통기한이...
'1리터에 1500원' 그 많던 수입 멸균우유는 어디로 갔나 [양지윤의 왓츠in장바구니] 2023-02-02 16:11:46
농업전망 2023'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사료값 상승 등으로 원유 생산가가 뛰면서 밀크플레이션이 촉발되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수입 멸균우유의 지난해 수입량은 3만3000톤에 달한다. 전년도 대비 42%나 늘었다. 수입 멸균우유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살균우유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유를 가열해 모든 미생물이...
경기도, 친환경유기농업 재배면적 확대 위해 '19곳에 친환경 벼 복합생태농업 실천단지' 조성 2023-01-25 15:15:39
등 농업부산물 재순환·재활용 ▲친환경 상토, 왕우렁이, 토양미생물, 논두렁 제초 등 토양 양분 및 환경관리 ▲논 둠벙 조성, 수생생물(물방개·메기·새우 등) 구입 등 생물다양성 회복 ▲친환경 재배 소득 보전 등을 지원한다. 시·군 생산자단체별로 둠벙(임시로 용수를 가두어 두는 물 저장고)을 조성해 벼와 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