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내 첫 수장형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문열었다(종합) 2018-12-26 17:21:07
데카르트' 등 명작이 한데 놓여 있었다. 이곳은 행인들도 일부 작품을 창밖에서 보는 '보이는 수장고' 성격도 띤다. 큐레이터가 적극 개입하는 일반적인 전시와는 달리, 개방형 수장고에서는 관객이 좌대와 선반에 놓인 작품들을 이끌리는 대로 감상한다. 전시를 위한 특별한 장식이 없는 만큼, 작품을 '날...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개관…"국내 첫 수장형 미술관" 2018-12-26 10:19:23
총 5천100여점이 배치된다. 현재 '개방 수장고'에서는 관람객이 안으로 들어가 백남준 '데카르트' 서도호 '바닥' 이불 '사이보그 W5' 니키 드 생팔 '검은 나나' 김복진 '미륵불' 김종영 '작품 58-8' 송영수 '생의 형태' 권진규 '선자' 등을...
[해외교육-프랑스]①모든 교과목의 기본은 모국어 2018-12-02 10:00:24
기자 = 데카르트, 볼테르, 루소, 사르트르, 데리다, 라캉 등 수많은 사상가와 철학자들을 길러낸 프랑스. 프랑스 교육의 밑바탕에는 '국어'에 대한 존중이 자리하고 있다. 모든 과목의 기본은 국어라는 것이 프랑스 교육계의 확고한 신념이다. 지난 9월 발표된 2018년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에 따르면...
[안현실 칼럼] 기업인의 '역발상'을 믿어보라 2018-10-04 18:53:26
게 없는 시대다. 문서적 학습과 이론이 얼마나 허망한지, 르네 데카르트처럼 ‘끊임없는 회의(懷疑)’로 의심하고 또 의심해도 부족할 판이다. 기업인은 “불확실성을 절감한다”고 토로한다. 오직 권력을 가진 정치인·관료의 인식만 요지부동이다.지난 6월 다우지수 구성 종목에서 퇴출당하는...
우린 왜 스마트폰 속 내 사진에 집착할까 2018-09-28 06:05:00
계몽사상가 르네 데카르트의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가 '나는 셀피한다, 고로 존재한다'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신랄한 비판 끝에서 가상 세계에서 잃어버린 주체(책임감 있는 자유로운 존재)의 회복을 역설한다. 무엇보다 현실과 가상세계를 통합함으로써 가상성의 현실성을 지켜낼...
[책마을] 수학 공부에서 삶의 지혜를 얻었다 2018-08-30 18:22:51
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르키메데스, 데카르트, 오일러 등이 남긴 고전을 번역했고 유클리드의 《원론》을 강독했다. 저자는 자신에게 수학은 ‘삶의 지혜를 가르쳐준 마력을 지닌 학문’이었다고 소개한다. 책을 통해 수학적 사유 방식과 문제를 해결해 가는 힘을 공유한다. 수학에 대한 책답게 숫자가 꽤...
[신간]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2018-08-03 11:29:56
과정이라고 본다. 어릴 적부터 병약하고 의심이 많던 데카르트는 그 의심을 통해 근대적 사유의 주체인 '나'를 탄생시켰다. 스피노자는 개인에게 이기적으로 살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데카르트의 '나'를 현대적 개인으로 빚어냈으며, 칸트는 스피노자의 개인에 도덕적 확신을 입혔다. 헤겔은 개인을 인류의...
[신간] 공자의 인식론과 역학·박정희 대 박정희 2018-07-06 11:54:33
생각에서 자아를 도출하는 데카르트의 격사치지(格思致知)와 상반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19세기 최한기를 예외로 치면 극동 유가전통에서 2천500년 동안 인식론에 대한 일반적 논의가 전무했다"며 "유학자들은 그동안 공자의 인식론적 명제를 모두 실천철학적 명제로 오독했는데, 이러한 전통적 해석은 모두 혁파해야...
메타넷글로벌 사장에 조상욱 前 한영회계법인 본부장 2018-05-20 17:40:57
컨설팅을 시작했다. 이후 데카르트시스템즈코리아 한국지사장과 딜로이트컨설팅 전무, at커니코리아 부사장을 거쳐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ey 컨설팅본부장을 맡았다. 메타넷글로벌은 프로세스 혁신(pi) 및 글로벌 통합시스템 구축 컨설팅을 하는 업체다. 2016년 12월 메타넷이 액센츄어의 한국 법인을 인수해 사명을...
[김홍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37) 흄의 철학(상): 회의론 2018-04-16 09:01:55
자아를 ‘지각의 다발’이라고 표현했다. 데카르트가 ‘생각하는 나’는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한 존재라고 말했던 것과 사뭇 다른 관점이다.그러나 흄처럼 각자 경험에 기초한 지식만을 중요시하면, 가령 오랜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수학의 관념같이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지식의 근거를 설명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