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지방 미분양 사태에...당정 "한시적 DSR 완화 검토" 2025-02-04 18:01:37
시행되는 미분양해소 맞춤형 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임대주택법, 종부세법, 지방세법 시행령 등 미분양 해소를 지원하기 위한 후속 법령 개정안들도 조속히 입법을 추진한다"며 "적체된 미분양을 직접 회수하는 비수도권 미분양 매입 부동산투자회사(CR리츠)도 상반기 중 본격...
당정, 지방 DSR 한시 완화 추진 2025-02-04 17:56:41
미분양 주택 구입 시 세제상 1가구 1주택 특례 사업을 유지하고, 사업자 원시 취득세 50% 감면 등 올해부터 시행되는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 맞춤형 지원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지방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조사한 뒤 규제 완화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여권에서는 결국 여당의...
진현환 국토차관 "민간 건설사, 분양물량 차질없이 공급해야" 2025-02-04 16:27:28
상황이 어렵다면서 정비사업 활성화,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한 금융·세제지원과 규제 완화를 건의했다. 진 차관은 "올해 공공에서는 역대 최대 수준 공공주택 물량인 25만2천가구를 공급하고, 정비사업 등 공급 기반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민간에서 분양...
[속보] 與 "비수도권 미분양 DSR 한시 완화 요청"…금융위 '검토' 2025-02-04 15:28:46
[속보] 與 "비수도권 미분양 DSR 한시 완화 요청"…금융위 '검토'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시장 침체에 지난해 지방 분양 비중 또 감소…2010년 이래 최저 2025-02-04 06:00:06
말 예정된 분양 물량은 수도권이 59%, 지방은 41%로 집계됐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올 2월 분양도 수도권은 전년 동월 대비 공급량이 2배 늘어나지만 지방은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할 전망"이라며 "지방 미분양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으면서 건설사들이 분양을 미루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ucid@yna.co.kr (끝)...
건설사 하루 2곳씩 폐업…또 '4월 위기설' 2025-02-03 17:37:01
경우 미분양으로 남게 됩니다. 이미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위험 수위인 6만가구를 웃돌고 있고, 건설사 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준공 후 미분양은 4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결국 건설업계에 닥친 보릿고개는 업체 규모를 막론하고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지식산업센터…전매제한 규제에 '술렁' 2025-02-03 17:12:15
업계에서는 대규모 미분양과 공실로 착공조차 못 하는 사업지가 수두룩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입법 폭거’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11명 의원은 지난달 31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을 발의했다. 법안은 지식산업센터...
'상가 공실' 공포…서울 한복판도 11차례 유찰 2025-02-03 17:10:42
문제로 꼽힌다. 대규모 택지지구에 상가 미분양과 공실이 많은데도 공급이 이어지고 있다. 강은현 법무법인 명도 경매연구소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비 패턴이 온라인 주문 방식으로 바뀌었는데 과거 기준에 맞춰 상가를 과잉 공급하고 있다”며 “수도권 외곽 신도시뿐 아니라 서울 한복판 대단지 아파트 상가도 공실...
3억짜리가 3000만원 됐다 …서울 한복판 상가도 '찬밥신세' 2025-02-03 15:47:45
문제로 꼽힌다. 대규모 택지지구에 상가 미분양과 공실이 많은데도 공급이 이어지고 있다. 강은현 법무법인 명도 경매연구소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비 패턴이 온라인 주문 방식으로 바뀌었는데 과거 기준에 맞춰 상가를 과잉 공급하고 있다”며 “수도권 외곽 신도시뿐 아니라 서울 한복판 대단지 아파트 상가도 공실...
자고나면 집값 '뚝뚝'…송도국제도시의 '비명' 2025-02-02 17:23:34
착공이 늦어져 실망 매물이 늘었다.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 2만2553가구여서 공급 과잉이 해소되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망 매물이 더 나오면 가격 하락 폭도 커질 것”이라며 “분양 시장에서도 당분간 미분양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