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이초 학부모 누리꾼 고소...현직 교사 소환조사 2023-12-30 09:49:25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이른바 서이초 '연필 사건' 학부모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의 글을 올린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이 학부모가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건 관련, 지난달 기준 총 40건을 확인해 13명의 신원을 특정했다. 이 중 다른 경찰서 관내 주소지를 둔 10명에 대해서는 사건을 이첩하고,...
조희연 "서울의 봄 단체관람에 대한 고발은 교권 침해" 2023-12-25 14:01:11
서이초 사태에서 주로 교사의 교육권, 혹은 이른바 교권을 일부 학부모의 과도한 민원 등의 공격적 행위를 통해서 교육활동 일반이 위협받는 것을 의미했다"며 "그러나 이번 사태에서 나타난 것처럼,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과도한 개입과 공격적 행위까지 교권침해의 유형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간제교사 사망' 학부모 협박 사실로…아빠가 울며 한 말 2023-12-15 16:04:34
6개월을 보내고 서이초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서 도움을 청하고 여기까지 왔다"며 "아직 심리적 충격은 상당하지만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인은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해당 학교에서 2학년 담임교사로 근무했다. 그리고 올해 1월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했다. 고인의 부친이 지난...
숨진 기간제 교사…학부모 폭언·협박 있었다 2023-12-15 14:37:53
24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서초구 서이초 교사 사망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는 자리를 찾아 진상 규명을 강력히 요구했다. 아버지는 고인이 평소 과도한 업무에 시달린 데다, 학교폭력 사건과 관련해 학부모의 폭언 등을 견뎌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 공익제보센터는 고인의 사망에 대한 자체 감사에...
1500건 '문자폭탄'…초등교사 사망 뒤엔 '학부모 폭언' 있었다 2023-12-15 14:02:13
지난 7월 서울시교육청 서이초 교사 사망 관련 기자회견 도중 딸의 죽음에 대한 진상 규명을 해달라며 절규했던 남성의 딸이다. 유족은 고인이 상명대부속초에서 기간제교사로 재직하며 담임업무 과중과 학교폭력 관련 학부모들의 항의성 민원으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증이 발병해 사망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콩밥 먹게할 것"…기간제 교사 사망 '학부모 폭언' 드러났다 2023-12-15 10:30:03
서이초 교사 사망사건 교직 3단체와 공동기자회견’ 현장에서 고인의 사망원인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유가족은 “고인이 재직 당시 담임업무 과중과 학폭 관련 학부모들의 항의성 민원으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증이 발병해 사망에 이르렀다”며 진상규명과 함께 고인의 명예회복을 요구했다. 특히 작년 6월...
매주 교사 만난 이주호 장관, 학생·학부모도 함께 만난다 2023-12-10 18:01:00
서울 서이초 사태 이후 교사들과 매주 가져온 정례 간담회를 학부모와 학생까지 확대해 이어가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 부총리가 주재하던 ‘부총리-현장교원 주례 간담회’의 명칭을 ‘함께 차담회’로 바꿔 학생, 학부모와 만남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논의 주제와 참석자는 최근 개통한 교육부의 온라인 소통...
경기도의회, 학생인권조례 폐지 조례안 입법 예고 2023-12-06 16:40:17
의무를 규정한 학생인권조례 개정안을 마련했다. 서이초 교사의 사망사건을 계기로 '교권과 학습권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추진해왔다. 학생인권조례는 2010년 경기도교육청이 처음 제정한 뒤 17개 시도 중 서울을 비롯한 7개 교육청이 시행해왔다. 성별·종교·가족 형태·성별 정체성·성적 ...
중학생 10명 중 4명 "희망 직업 없다"…초등학생 1위 '운동선수' 2023-11-26 12:38:18
서이초 교사 사망 사전 이전 설문조사라는 것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은 초등학생 20.7%, 중학생 41%, 고등학생 25.5%에 달했다. 특히 중학생은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희망 직업이 없는 이유로는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직 잘 몰라서’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강영연...
"남의 집 귀한 딸인데요?"…교사에 대드는 여고생 논란 2023-11-22 07:32:07
이 개정안은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을 계기로 불붙은 '교권 보호' 법안의 일환이다. 국회는 지난 9월에도 교원의 정당한 교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교권 회복 4법'(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교원지위법), 초·중등교육법, 유아교육법, 교육기본법)을 통과시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