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over Story - part.5] 펨토바이오메드, 나노 유리 주사기로 유전물질·항원 T세포에 삽입 2021-02-23 09:32:02
유전자를 조작하는 대신 mRNA나 플라스미드DNA를 세포질에 삽입하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며 “세포질에 mRNA나 플라스미드DNA를 넣으면 세포핵 유전자를 조작한 CAR-T 치료제와 달리 시간이 지나면서 유전물질의 농도가 낮아진다는 특성을 살려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B세포 항암백신 개발에도 도전한다...
제넥신 "변이 차단 가능한 백신…해외 공략" 2021-02-15 17:22:23
했다. 그는 “mRNA의 경우 약물을 세포질 안에 전달하기 위해 지질나노입자를 쓰는데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며 “DNA 백신은 이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다”고 했다. ASCO서 자궁경부암 백신 결과 발표우 사장은 기존 신약 후보물질의 경우 베스트 인 클래스(계열 내...
암세포의 불안정한 염색체가 암의 공격성 키운다 2020-12-30 17:31:10
암세포의 불안정한 염색체가 암의 공격성 키운다 염색체 엉성하면 세포질 DNA 조각 늘어 '염증 환경' 조성 암세포 표면서 '면역 조절' 단백질 발견…저널 '캔서 디스커버리'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과학자들은 암세포가 유전적 혼란을 확산한다고 생각한다. 암세포가 분열할 때 DNA...
UNIST, 루게릭병 억제하는 새 유전자 경로 찾았다 2020-12-30 12:21:31
핵-세포질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통로다. 임 교수는 "세포 내 RAN 단백질의 분포가 핵-세포질 간 물질 수송에 중요하다고는 알려져 있었지만, 그 분자생물학적 조절 기전이 자세히 알려지지는 않았다"며 "이번 연구로 기존에 연관성이 알려지지 않았던 두 유전자가 세포 내 RAN 단백질의 분포를 조절하는 유전자...
나이 들면 잠 잘 안오는 이유, 수학으로 밝혔다 2020-11-09 13:00:03
사이클이 불안정해진다. 세포질 혼탁은 비만, 치매, 노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있다. 결국 비만이나 노화가 '12시간-12시간' 생체시계를 '11시간-10시간' '13시간-12시간' 등으로 무작위하게 바꾼다는 것이다. 김재경 교수는 "세포질 혼탁이 발생하면 인산화 스위치가 작동을 멈춰...
칸젠, `바르는 보톡스`로 코스메슈티컬 시장 진출 2020-10-27 12:05:35
때문이다. 하지만 칸젠은 세포질을 투과해 보톡스를 전달하는 혁신적인 CPP(Cell Penetrating Peptide,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와 기반기술을 자체 개발해 피부 투과 능력과 보톡스 효능 평가까지 마치고 특허 출원한 상태다. 칸젠은 A타입에 추가해 혈청형 A, B, E, F타입의 가능성을 가진 혈청형미확정 균주를 보유하고...
칸젠, ‘바르는 보톡스’로 코스메슈티컬 시장 출사표 2020-10-27 11:33:28
자체만으로는 피부를 투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칸젠은 세포질을 투과해 보톡스를 전달하는 혁신적인 CPP(Cell Penetrating Peptide,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와 기반기술을 자체 개발해 피부 투과 능력과 보톡스 효능 평가까지 마치고 특허 출원한 상태다. 칸젠은 독과점 구조로 고착화된 세계 보톡스 시장에 도전하...
[커버스토리-part.3 Hot Company]올릭스 "asiRNA 이용해 다양한 질환 신약 개발에 도전" 2020-10-12 08:21:01
mRNA를 분해한 뒤에도 세포 속에 남아 세포핵에서 세포질로 이동한 또 다른 mRNA를 분해할 수 있다. 이 대표는 “siRNA가 입구에서 mRNA가 나오는 대로 잘라내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망막세포, 간세포처럼 세포 분화가 일어나지 않는 세포에선 이 문지기의 효력이 2~6개월간 유지된다....
[커버스토리-part.3 Hot Company]올리패스 "진통제 시장 게임체인저 될 것" 2020-10-12 08:20:03
ASO는 세포핵 속에 있는 ‘전구체 mRNA’(pre-mRNA)나 세포질에 있는 mRNA와 결합해 선택적으로 특정 엑손을 제거한다. RNAi 방식은 단백질 생성을 억제 하는 방식이어서 미발현된 단백질을 활성화 하는 데는 쓰일 수 없다. 이 때문에 ASO가 적용할 수 있는 질병 영역이 더 넓다. 그러나 두 방식 모두 난제가 있다. 치료...
뇌 '혈뇌 장벽' 지키는 성상세포, 수면 조절도 관여한다 2020-09-28 16:39:36
내 저장고에서 칼슘이 세포질로 빠져나오면 다른 성상세포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 연구는 미국 워싱턴 의대의 마커스 프랭크 의생명과학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고, 논문은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최근 실렸다. 28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지금까지 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