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통상임금 논란' 다시 불지핀 대법원 2020-01-23 16:26:32
이후 최저임금 시간급 계산 때 분모엔 소정근로시간만 넣어야 한다고 일관되게 판단해왔는데, 고용부는 대법원 판결이 잘못됐고 ‘분모와 분자의 기준이 같아야 한다’며 개정을 강행했다. 이후 논란이 계속되자 4개월 만에 재입법예고를 통해 분자와 분모에서 각각 약정 유급휴일에 해당하는 임금과 시간은...
大法 "시간급 통상임금 산정 실제 근로시간으로 계산해야" 2020-01-22 17:41:31
‘시간급 통상임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총 근로시간은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가산하지 않고 실제 근로한 시간만큼만 반영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실제 근로시간을 반영하면 시간급 통상임금이 많아져 사측보다 근로자에게 유리해진다. 기업들이 ‘제2차 통상임금 줄소송’에 휘말릴 수...
日, 최대 年 720시간 연장근로 허용…최저임금도 지역별·업종별 차등화 2019-08-05 17:40:30
근로시간이 아니라 성과에 따라 임금을 받는 ‘탈(脫)시간급’ 제도를 도입했다. 의사, 애널리스트 등 연수입 1000만엔(약 1억1474만원) 이상 일부 전문직을 노동시간 규제 대상에서 뺐다.지역·업종을 구분하지 않는 한국의 최저임금 제도와도 차이점이 많다. 일본은 물가와 소득수준 등의 지표를 바탕...
내년 최저임금 8590원 확정고시…2.87% 인상 2019-08-05 09:30:01
고용노동부는 5일 2020년도 적용 최저임금을 8590원(이하 시간급 기준)으로 확정 고시했다. 올해 최저임금 8350원에서 2.87% 인상, 금액으로는 240원 올랐다. 내년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주40시간 근무시(유급 주휴 포함, 월 209시간 기준) 179만5310원으로 업종별 구분 없이 전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된다.현...
[시론] 근로시간 단축, 시장의 합의·계약에 맡겨야 2019-07-31 18:24:32
않은 근로자들은 원하는 만큼 근무하고 시간급을 받는다. 그런데도 평균근로시간이 한국보다 짧다는 것은 근로시간 단축이 법적 강제가 아니라 근로자와 기업의 선택 결과로 이뤄지며, 그래야 총노동투입량의 감소 없이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주 52시간 이상 일하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정부가 일을 ...
헌재 '최저임금 위헌 여부' 13일 공개변론 2019-06-10 16:36:59
서울 재동 헌재 청사 대심판정에서 최저임금액 시간급을 2018년 7530원(전년 대비 16.4% 인상), 2019년 8530원(10.9% 인상)으로 정한 고용노동부 고시에 대한 헌법소원 사건의 공개변론을 연다고 10일 밝혔다.대구에 있는 사단법인인 전국중소기업·중소상공인협회(전중협)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헌법이...
법원 "명절 상여금, 성과급도 통상임금"…기업 부담 '눈덩이' 될 판 2019-05-24 17:35:21
확정된 임금을 일한 시간에 따라(고정성) 지급하는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등이다. 연장근로수당은 통상임금의 1.5배 이상이다.■고정성통상임금은 연장근로수당 등의 기준임금이므로 연장근로 등을 하기 전에 미리 확정돼 있어야 한다는 요건. 일한 시간에 비례해 받는 임금이라도 ‘재직자에게만 지급’ ...
[백광엽의 논점과 관점] '포용'이라는 이름의 '차별' 정책 2019-02-12 18:24:00
읽어야 할 정책은 예타 면제만이 아니다. ‘시간급 1만원’을 향해 질주 중인 최저임금제도 마찬가지다. 저임금 노동자를 위한다며 밀어붙였지만 대량 해고 사태를 부르고 말았다. “조금 덜 받더라도 일하고 싶다”는 약자들의 절박한 호소를 외면하고, 최저임금 인상을 빌미로 자신들의 임금을...
소상공인 64% "주휴수당 지급하지 않고 있다" 2019-01-23 14:52:00
고려할 때 2019년 주휴수당을 포함한 희망 시간급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6천∼7천원(48.5%), 7천∼8천원(41.6%)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8천∼9천원은 8.8%, 9천∼1만원은 0.6%, 1만원 이상은 0.5%에 불과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일하는 방식 개혁해 생산성 높이자"…日 정부 '노동시장 禁忌' 깼다 2019-01-22 17:45:53
탈시간급 제도 도입 등이다.한국의 노동개혁은 소득 증가와 일자리 창출에 방점을 찍고 있는 데 비해 일본은 노동생산성 향상이 확고한 목표라는 점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한국 노동정책이 소득 증대를 통한 수요 확대를 노리는 데 비해 일본은 노동 효율성과 생산성 증가라는 공급 혁신을 겨냥하고 있다.규제의 강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