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신라면세점, '라인페이 대만' 간편결제 시스템 도입 2024-07-08 10:50:42
면세점은 라인페이 대만 결제 시스템 도입을 기념해 오는 9월 30일까지 결제 프로모션과 멤버십 이벤트를 하기로 했다. 라인페이 대만으로 결제하는 고객에게는 시내점(서울·제주점)은 구매 금액의 15%, 인천공항점은 구매 금액의 10%를 각각 라인 포인트로 지급한다. 라인페이에 등록된 씨티비씨(CTBC) 라인페이 카드,...
롯데면세점 도쿄 긴자점 직구상품 롯데온서 만난다 2024-07-01 06:00:03
전자상거래 플랫폼 롯데온은 '롯데면세점 긴자 일본 직구몰'을 입점시키고 해외 직접구매(직구)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1일 밝혔다. 롯데면세점 긴자 일본 직구몰은 도쿄 최대 규모의 종합 시내면세점인 롯데면세점 도쿄 긴자점이 운영하는 온라인몰이다. 이번 입점으로 롯데온에서도 일본 직구 수요가 높은 식품,...
달라진 외국인 쇼핑…시내 면세점 사라진다 2024-06-27 17:22:06
서울 시내엔 13개의 면세점이 있었다. 공항이 아니라 시내에 면세점이 10개가 넘는 도시는 세계적으로 서울이 유일했다. 수만 많은 게 아니라 규모도 대부분 백화점 못지않게 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몰려와 화장품과 명품을 쓸어 담았다. ‘황금알 낳는 거위’에 비유됐던 시내 면세점은 요즘 생존을 걱정할 처지다....
롯데면세점, 김포·김해·제주공항 '온라인 면세 서비스' 2024-06-27 08:43:50
쇼핑 인프라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면세점은 현재 국내에서 공항면세점 3개(김포공항점·김해공항점·제주공항점)와 시내면세점 4개(명동본점·월드타워점·부산점·제주점) 및 제주항공 기내면세점을 운영 중이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포·김해·제주공항, 온라인 면세 쇼핑 가능 2024-06-26 18:38:20
롯데면세점과 협업해 김포·김해·제주공항에서 공항면세점 최초로 ‘KAC 공항 온라인 면세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KAC 공항 온라인 면세서비스는 모바일 앱 환경에 친숙한 젊은 세대의 소비경향을 반영했다. 오프라인 매장으로만 운영해 온 공항면세점에 온라인 플랫폼을 더해 면세쇼핑의 고객 편의를 한층...
제주 면세점 '에·루·샤' 줄줄이 철수…카지노는 개별 관광객 몰려 불야성 2024-06-17 18:29:05
면세점 큰손’이던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 비중이 급감하자 제주 시내면세점에서는 ‘에·루·샤’(에르메스 샤넬 루이비통) 등 해외 명품 브랜드가 줄줄이 철수하고 있다. 반면 호텔·카지노 업계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이다. 17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신라면세점 제주점 에르메스 매장이 이달 말 영업을 종료한다....
기내 판매로 버티는 면세업계 2024-06-16 18:22:24
컸다. 면세점업계 관계자는 “기내 면세점은 여행에서 돌아올 때 미처 사지 못한 기념품이나 들고 다니기 어려운 주류 등을 사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시내 면세점과 출국장 면세점에 견줘 중국인 단체 관광객 의존도가 낮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해외여행을 떠났다가 돌아오는 내국인이 주 타깃인 입국장 면세점도...
면세업 불황 속 기내면세, 코로나 전 94% 회복…입국장도 성장 2024-06-16 07:35:00
회복세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면세점 전체 매출은 13조7천586억원으로 2019년 24조8천586억원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그쳤다. 기내 면세의 경우 주류나 선물용 상품이 주로 판매되는 만큼 고환율 영향을 덜 받는다고 면세업계는 강조한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기내에서는 여행 기간에 사지 못한 선물이나...
유커 떠난 자리…맛집·미술관으로 바뀌는 시내면세점 2024-06-09 18:34:58
시내면세점은 유독 한국에서 발전했다. 중국인 덕분이었다. 2013년 이후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한국에 몰려와 화장품 등 면세품을 쓸어 담아 갔다. ‘별에서 온 그대’ 같은 한국 드라마가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끈 영향이었다. 면세점들 ‘역할’도 있었다. 중국인 관광객을 보내주는 대가로 여행사에 ‘송객 수수료’란...
백화점 보다 올리브영…외국인이 꽂힌 'K-로드숍' 2024-06-06 13:32:09
외국인이 48.4%로 전체 1위였다. 이어 백화점(35.9%), 대형 쇼핑몰(35.6%), 시내 면세점(30.1%), 대형마트(28.5%)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로드숍은 43.6%에서 4.8%포인트 높아졌고 백화점은 39.4%에서 3.5%포인트 낮아졌다. 지난 3월 로드숍 쇼핑 선호도가 50.2%로 월간 기준으로 처음 50%를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