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본부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선정기업] 나노탄소 신소재인 그래핀을 연구·개발하는 스타트업 ‘머티리얼즈디자인랩’ 2024-02-14 23:46:56
기자] 머티리얼즈디자인랩은 나노탄소 신소재인 그래핀을 연구·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경희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인 이제욱 대표와 삼성엔지니어링 PM 출신인 이재영 이사가 만든 회사다.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는 그래핀은 2010년 노벨상을 받은 이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래핀...
우주 패권 중국으로 넘어가나…"美가 지고 있다" 이야기까지 [강경주의 IT카페] 2024-01-28 10:35:32
커질수록 수율이 높아진다. 질화갈륨(GaN)과 같은 신소재를 사용하는 특수 반도체를 시험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지상에선 밀도 차가 커 합성하기 힘든 소재도 우주의 무중력 상태에선 완벽하게 합성할 수 있다. 바이오·신약 분야도 마찬가지다. 중력 때문에 만들기 어려운 '결정'도 우주에선 훨씬 잘 생성된다...
뼈에 붙이는 반창고 나왔다…국내 연구진 신소재 개발 2024-01-25 23:31:09
있는 '뼈 반창고' 같은 역할을 하는 신소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로써 뼈 재생 속도를 더 올릴 수 있게 됐다. 25일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은 전남대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장호 교수팀과 함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의 고유한 골 형성 능력을 활용,...
금 간 뼈, 반창고로 붙인다…신소재 개발 2024-01-25 16:33:01
신소재를 국내 연구팀에서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전남대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장호 교수팀과 함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의 고유한 골 형성 능력을 활용해 압력을 가하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는 압전(壓電) 생체 모방 지지체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고춘홍 이브자리 대표, KAIST와 협약 위해 10억원어치 개인주식 기부 2024-01-25 15:28:04
교수, 예술융합센터 석현정 센터장,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등이 참석했다. 양측은 공동 연구 외에도 KAIST 학부생의 이브자리 인턴십 기회 제공, 이브자리 연구원의 KAIST 파견 등 산학협력을 통한 인적 교류도 활발히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 체결과 함께 이브자리의 창업주인 고춘홍 이브자리 공동 대표이사는...
'소프트 인공망막' 국내서 개발…부작용 줄인 시력 회복 2024-01-19 16:57:18
교수, 박장웅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실명 환자들의 시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안전성 높은 액체 금속 기반의 소프트 인공망막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개발한 소프트 인공망막은 생체 적합성이 높은 액체 금속으로 제작했다. 사용한 액체 금속은 망막조직과 유사한 부드러운 소재로, 손상을 최소화했으며...
아주대학교, '취업률 2년 연속해 2위 기록' 2024-01-19 16:37:34
공학과(82.1%), 전자공학과(81.9%), 첨단신소재공학과(78.4%), 환경안전공학과(76.9%), 사회학과(77.8%)의 취업률이 높았다. 아울러 취업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인 유지취업률은 90.2%(4차, 12월 기준)를 기록해 4년제 일반 대학 평균 81%를 10%포인트 가까이 웃돌았다. 강주영 아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장은 “아주대의...
대학 총장도 '이과 약진'…서울 주요대 10곳 중 4명 2024-01-14 21:19:47
금속공학과 출신으로 성균관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교수다. 2026년까지 임기가 연장된 박상규 중앙대 총장도 통계학과 출신 교수다. 미국 뉴욕주립대 의과대학에서 생물통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공계 출신 총장의 약진은 대학 역사를 돌아봤을 때 이례적인 현상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10개 대학의 역대 총장은...
[CES 현장] '혁신 중 혁신'은 인공지능…AI 활용에 시선집중(종합) 2024-01-08 22:55:00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이상민 중앙대 화학신소재공학과 교수가 공동창업한 '바른바이오'는 미세 전기 자극 기술을 이용해 운동효율을 높이고, 피로 누적은 줄인 레깅스를 선보였다. 로보틱스 기업 위로보틱스는 보행보조로봇 '윔'을, 이기욱 중앙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창업한 휴로틱스는...
[CES 현장] '혁신 중 혁신'은 인공지능…CTA "AI, 세상을 이끌어간다" 2024-01-08 15:00:18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이상민 중앙대 화학신소재공학과 교수가 공동창업한 '바른바이오'는 미세 전기 자극 기술을 이용해 운동효율을 높이고, 피로 누적은 줄인 레깅스를 선보였다. 로보틱스 기업 위로보틱스는 보행보조로봇 '윔'을, 이기욱 중앙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창업한 휴로보틱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