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크라 침공] IAEA "러 포격에 원자물리학 실험실 파괴"(종합) 2022-03-08 01:05:22
하르키우(하리코프) 물리학·기술연구소의 중성자 발생 장치가 러시아의 공격 중에 파괴됐다고 알렸다. 그는 이 연구소가 시카고 외곽에 있는 미국 아르곤 국립 실험실과 협력해 지어진 시설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방사성 물질 재고가 적어 방사능 누출 감지는 안 됐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 4일...
[우크라 침공] 천연가스·반도체 소재 등 러 맞불제재 주의보 2022-03-02 15:44:25
호주 싱크탱크 전략정책연구소(ASPI)는 "러시아는 알루미늄과 니켈, 티타늄, 팔라듐 등 첨단기술 영역 핵심 소재의 주요 수출국이며, 우크라이나는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희소가스의 최대 수출국"이라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는 반도체 생산에 쓰이는 네온과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등 희소 가스의 주요 공급 국가로, 특히...
"이제는 전기비행기 경쟁이다"…롤스로이스·벤츠도 뛰어들어 2021-11-26 17:43:23
아르곤국립연구소 교통연구센터에 따르면 전기비행기 상용화를 위해선 리튬이온 배터리 기준 ㎏당 최소 1000와트시(Wh) 출력을 내야 한다. 현재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가 ㎏당 265Wh인 점을 감안하면 4배 이상 성능을 높여야 한다는 뜻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2차전지 개발이 각국에서 활발한 것도...
'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기술' 한미연구보고서 양국 공식 승인 2021-09-01 20:23:06
미국 아이다호연구소, 아르곤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지난 10여년간 연구한 파이로프로세싱과 SFR의 기술적 타당성, 경제성, 실현 가능성의 등의 내용이 담겼다. JFCS 운영위에는 미국 국무부, 에너지부, 핵안보청이 참여했으며 우리나라는 과기정통부, 외교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참여했다. JFCS 보고서 승인으로...
[단독] 한국 핵연료 재활용 기술, 미국서 승인 2021-09-01 17:43:03
아이다호연구소, 아르곤연구소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지난 10여 년간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JFCS 보고서를 지난달 최종 승인했다. JFCS 운영위는 미 국무부, 에너지부, 핵안보청과 한국 과기정통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참여한다. JFCS 보고서는 파이로-SFR의 기술적 타당성, 경제적 실현...
뉴욕증시, 정상화 기대로 3일째 상승…반도체지수 0.81%↑ 2021-08-26 07:22:47
오른 3372.55로 마감됐다. 엔비디아가 미국 에너지부 아르곤 국립 연구소의 가장 큰 GPU 기반 슈퍼컴퓨터가 자사의 컴퓨팅 플랫폼에서 실행될 것이라고 밝히면서다. 여기에 TSMC가 칩 수요 증가에 16나노급 칩의 가격을 10~20% 인상할 계획을 발표한 점과 마이크로칩테크가 2대1로 주식 분할을 발표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과학과 놀자]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은 전자기파 에너지…세상을 밝히는 빛, 물질과 우주의 신비도 알려준다 2021-08-16 09:00:11
연구소(CERN)와 우리나라의 중이온 가속기 사업에서도 이런 희귀동위원소 분석을 물질의 생성 원리를 밝히는 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후 핵연료가 얼마나 연소하였는지 확인할 때도 우라늄238과 우라늄235의 미세한 전자 에너지 준위 차이를 이용해 조성비율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연소 정도로...
SK이노베이션, 국제학술대회서 탄소 감축 기술 소개 2021-07-25 09:26:33
연구기관인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로부터 친환경성을 검증 받았다. 광산이나 염호에서 리튬을 추출할 때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각각 약 72%, 37% 줄일 수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리튬 회수 기술로 자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배터리 원소재를 확보해 나갈...
'꿈의 현미경' 입자 가속기, 반도체·신약 초격차에 필수 2021-07-23 17:56:38
1.1㎞다. 미 스탠퍼드대와 아르곤연구소가 이 가속기의 성능을 공인했다. 양성자가속기는 수소 원자에서 양성자를 꺼내 가속한 뒤 표적(다른 원자핵)과 충돌시켜 생성되는 2차 입자(뮤온 등)를 연구하는 장비다. 양성자를 초당 13만㎞ 속도로 발사한다. 2012년 미국과 일본에 이어 경주 건천읍에 세계 세 번째로 들어섰다....
국내 첫 소형원자로 연구소 착공 2021-07-21 18:37:31
등 분원들도 기존 인프라가 포화 상태다. 문무대왕 과학연구소 설립으로 고온가스로(VHTR), 용융염원자로(MSR), 소듐냉각고속로(SFR) 등 개발에 속도가 붙게 됐다. 원자력연은 삼성중공업과 선박용 MSR을, 현대엔지니어링과는 캐나다 수출용 VHTR을 개발하고 있다. 고준위 핵폐기물(폐연료봉)을 재처리하는 파이로프로세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