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월드컵공원 개장 14년…동식물 종류 2.7배 늘었다 2017-06-09 06:00:10
가운데에는 서울시 보호종인 참통발·긴병꽃풀과 일년생 기생식물 '야고'도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천연기념물 황조롱이·붉은배새매를 포함한 조류 75종, 멸종위기종 맹꽁이 등 양서·파충류, 유리창나비·자실잠자리 등 곤충 483종 등이 확인됐다. 이 밖에도 버섯 63종과 거미류 93종이 공원 내에서...
용추계곡 산림 파괴 논란…시-환경단체 해법 찾을까 2017-06-08 16:28:20
1급수 지표종인 버들치, 가재 등과 양서파충류인 도롱뇽 등의 서식지가 파괴됐다고 밝혔다. 또 산사태 우려를 이유로 사방댐 건설 등 불필요한 토목공사를 진행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용추계곡 하류 지역에는 35만t 규모 용추저수지가 있어 댐 추가는 의미가 없다는 게 환경단체 설명이다. 또 댐 건설 시 소류력(물의...
[뉴스래빗] 환경의 날‥한반도 멸종위기 1급 동물들 2017-06-05 15:47:38
수달, 스라소니, 여우, 표범, 호랑이죠. 이어 조류 12종, 양서파충류 2종, 어류 9종, 곤충류 4종, 무척추동물 4종, 육상식물은 9종입니다.멸종 원인은 다양하지만 단연 인간이 제일 큰 문제입니다. 늑대의 경우를 보죠. 늑대는 일제강점기 때, 해로운 동물로 분류 돼 3000마리 가까이 학살됐습니다. 1950년대 이후에는 쥐 ...
수락산에서 생물다양성 탐사 '바이오블리츠' 2017-05-18 06:00:06
동북아식물연구소 정종덕 박사, 곤충분야 농림축산검역본부 이흥식 박사, 양서파충류 분야 인천대학교 이상철 박사, 조류분야 삼육대학교 정훈 교수, 국립수목원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참가 신청은 19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의 공원 홈페이지(http://parks.seoul.go.kr)에서 선착순으로 받는다. merciel@yna.co.kr (끝)...
국립공원 생태통로 이용하는 야생동물 매년 증가했다 2017-05-14 12:00:17
양서류 5종, 파충류 4종이다. 포유류가 1만 5천2회로 96.4%의 비중을 차지했다. 포유류 중 고라니의 이용 횟수가 5천247건으로 가장 많았다. 조류는 541회(3.5%), 양서·파충류는 25회(0.1%)였다.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는 반달가슴곰·수달·산양·매가 있다. Ⅱ급으로는 하늘다람쥐·삵·담비...
곤충부터 새까지 먹는 '때까치' 남산공원에 터 잡았다 2017-05-08 06:00:07
등 양서파충류, 소형 조류를 잡아다가 나뭇가지나 철조망에 꽂아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이 때문에 생태학자들은 때까치를 살피면 주변 생태계 전반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때까치 산란번식은 남산공원이 서울 녹지축 중심으로 다양한 생물종이 안정적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음을 증명한다고 서울시중부공원녹지사업소는...
수달가족 뛰어노는 현대차 울산공장…"생태공장 인증"(종합) 2017-03-15 15:21:06
까닭에 수달이 서식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갖췄다고 대학 측은 소개했다. 한편, 2014년 울산시 생물 종 지표조사에서 태화강에는 어류 73종, 조류 146종, 식물 632종, 포유류 23종, 양서·파충류 30종 등 총 1천여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달은 20∼30마리를 비롯해 너구리, 고라니, 남생이 등 다양한 생물 종이...
DMZ·평화누리길 '숨은 보석' 찾기…경기도, 생태조사 추진 2017-03-09 11:37:51
멸종위기 1급 산양을 비롯해 멸종위기 2급 삵 등 포유류 43종, 양서·파충류 34종, 조류 266종, 육상곤충 2천189종, 담수어류 136종, 무척추동물 351종, 식물 1천854종 등 7개 분야에 모두 4천873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wyshi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리나라 자생생물 20년 만에 4만7천종 파악돼 2017-02-09 12:00:42
포유류 125종, 조류(鳥類) 522종, 양서·파충류 52종, 어류 1천272종으로 구성됐다. 식물은 큰겨이삭 등 외떡잎식물 1천111종, 긴쑥부쟁이 등 쌍떡잎식물 2천998종, 소철 등 나자식물 53종, 개고사리 등 양치식물 293종, 솔이끼 등 선태식물 924종이다. '국가생물다양성 정보 공유체계'(kbr.go.kr)와 '한반도의...
천안 업성저수지 '원앙 서식처'로 탈바꿈한다 2017-02-01 11:53:27
먹이사슬을 유지하기에 필요한 조류와 양서·파충류 실태자료도 파악, 생태계 안정화를 도모하고 곤충서식처, 도심숲 등을 배치해 생태환경을 보존할 예정이다. 수변공간이 정비되면 시민들은 생태학습·모임공간, 생태탐방로, 조류관찰대, 체험논습지를 이용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2020년까지 연차적으로 수질개선사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