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태양에서 63광년 떨어진 별에 한국어 이름 '마루·아라' 붙었다 2023-06-12 16:00:21
외계 행성계는 한반도 기준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날치자리 내에 있다. 태양 질량의 약 0.6배인 항성과 목성보다 8배 무거운 외계행성으로 이뤄져 있다. 항성과 행성의 거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 평균 거리(1AU)의 2500배다. 천체에 한국어 이름이 붙는 것은 2019년 12월 명명된 백두(Baekdu)와 한라(Halla)에 이어 두...
[사이테크+] "우리은하에 생명체 존재 가능영역 외계행성 수억개 달할 듯" 2023-05-30 10:43:12
[사이테크+] "우리은하에 생명체 존재 가능영역 외계행성 수억개 달할 듯" 美 연구팀 "가장 일반적 형태 외계행성의 3분의 1, 골디락스 영역에 위치"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목성 위성 '이오'처럼 화산활동 많은 외계행성 관측 2023-05-18 10:32:08
목성 위성 '이오'처럼 화산활동 많은 외계행성 관측 대기 유지해 기온 낮은 밤면에는 물 존재할 듯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서 약 90광년 떨어진 컵자리에서 목성의 위성(달) '이오'처럼 표면에서 화산 폭발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이 발견돼...
성모마리아와 알라가 한공간에 '아야 소피아'…명소마다 '믹스매치' 2023-05-11 18:31:11
서 있는 풍경은 영화 ‘스타워즈’의 외계 행성 디자인에 영감을 줬을 정도로 독특하다. 새벽녘에는 상공 500m까지 올라가는 열기구에 의지해 이 고원을 체험할 수 있다. 카파도키아는 땅속에서도 자신들을 누릴 기회를 허한다. 이 고원 곳곳엔 로마 시대 때 박해받은 기독교인이 숨어 살던 동굴들이 지하도시를 이룬 채...
웹 망원경이 빗장 푼 미니해왕성 수증기 대기 2023-05-11 15:25:29
없는 행성 이해 실마리 마련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보다 질량이 훨씬 크지만 천왕성보다는 작은 '미니해왕성'은 우리은하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외계행성이지만 태양계 안에는 비슷한 행성이 없어 상대적으로 밝혀진 것이 적다. 하지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지금까지는 들여다보지 못했던...
한국 미시중력렌즈 네트워크, 외계행성 3개 찾았다 2023-05-05 08:00:01
이충욱, 정윤길 박사를 비롯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천문연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을 활용해 목성 크기의 새로운 외계행성 3개를 찾았다고 최근 국제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KMTNet은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에 설치한 망원경 3대로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포착해 외계행성을 탐색...
지구인 존재 이동통신 전파로 선진 외계문명에 노출될수도 2023-05-04 15:11:28
된 기술을 가진 외계문명이라면 쉽게 포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모리셔스대학의 날리니 히랄랄-이수르 부교수는 "케플러나 테스(TESS),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등을 통해 외계행성의 특성에 관해 매일 더 많이 알아가고 있다"면서 "다른 행성에 첨단 외계문명이 존재할 모든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사이테크+] 미리 보는 지구의 최후…美연구팀, 행성 집어삼키는 별 첫 관측 2023-05-04 00:00:00
10배 이하인 행성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밝고 뜨거운 섬광과 이후 관측된 현상은 목성 크기의 행성이 죽어가며 팽창하는 별의 대기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지막 순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며 행성이 별 중심부로 떨어지면서 외부층이 폭발하고 먼지가 서서히 가라앉으면서 이전 상태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고...
웹 망원경이 포착한 수증기 출처 행성인지 별인지 아리송 2023-05-02 14:26:52
한다. 이번 관측을 주도한 애리조나대학의 행성과학자 사라 모란 박사는 "물에 의한 것이 거의 확실한 신호를 포착했다"면서 "하지만 이 물이 행성 대기의 일부인지, 아니면 별에서 나온 것을 보고 있는 것인지는 아직 단언할 수 없다"고 했다. 웹망원경 관련 프로그램 책임 연구원인 존스 홉킨스대학 응용물리학연구소...
'금속' 적은 별이라야 행성 오존층 유지돼 생명체 서식 가능 2023-04-19 11:15:11
갖는다는 것으로, 행성의 보호막인 오존층을 파괴하는 UV-B를 더 많이 내뿜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연구팀은 우주의 시간이 흐르면서 별이 생명체를 만들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외계행성을 가진 많은 별이 지구라는 확실한 생명체 행성을 가진 태양과 비슷한 나이인 만큼 외계 생명체을 찾아낼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