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공전주기 3.14일 행성 'π지구' 발견…생명체 서식 기대 못 해 2020-09-22 15:44:09
자료에서 315번째로 찾아낸 행성계라는 의미를 담고있다. 연구팀은 이 행성계가 314번째로 발견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π 지구는 분석 결과, 지구 지름의 0.95배로 태양의 5분의 1밖에 안 되는 M형 별을 초속 81㎞로 돌고있다. 행성의 질량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이지만...
별에 속박받지 않고 움직이는 '떠돌이 행성' 별만큼 많을 수도 2020-08-22 09:50:21
인근을 지나는 별의 중력작용으로 행성계에서 튕겨 나왔거나 갈색왜성처럼 먼지와 가스가 뭉쳐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은 되지만 확실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다. 논문 제1저자인 오하이오주립대 대학원생 샘슨 존슨은 "떠돌이 행성은 별 주변을 도는 천체가 아니기 때문에 기온이 극도로 낮을 것"이라면서 떠돌이 행성이...
[사이테크 플러스] "생명체서식 가능영역내 지구같은 행성 놀랄만큼 많을수도" 2020-08-03 09:20:12
경우를 말한다. 지구에서 39광년 떨어진 외계행성계 '트라피스트-1(Trappist-1)을 연구해온 케인 교수팀은 이곳의 행성 7개 중 3개가 생명체 서식 가능 영역에 있는 점에 착안, 별 주위의 생명체 서식 가능 영역에 행성이 몇 개까지 존재할 수 있는지 밝혀내는 연구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크기의 행성들이...
[사이테크 플러스] '태양형 별과 외계행성 2개' 외계행성계 직접 촬영 첫 성공 2020-07-22 21:00:00
이상이 도는 외계행성계를 직접 촬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 관측이 우리 태양 주위에서 행성들이 형성돼 발전해온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외계행성계의 중심별 'TYC 8998-760-1'은 남십자성 근처 별자리인 '파리자리'(Musca) 방향으로 310광년 거리에 있으며, 태어난...
지구, 행성 충돌로 달 만들때 대기 10~50%만 잃어 2020-07-15 15:26:11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태양계는 물론 다른 행성계의 행성 진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형 충돌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에 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평가됐다. 달은 약 45억년 전 '테이아'라는 화성 크기 행성이 지구와 충돌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때 지구의 대...
[사이테크 플러스]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외계행성 2개 지상 관측으로 발견" 2020-07-06 14:38:28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외계행성 2개가 있는 외계행성계를 처음으로 지상 관측을 통해 발견했다. CNRS 기욤 헤브라드 박사팀은 6일 국제학술지 '천문학 &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에서 프랑스 남부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의 1.93m 망원경에 장착된...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2020-07-02 15:27:12
원시행성계 원반 내에 간극이 생기거나 대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반 내 물질이 고갈될 때 대기를 형성하지 못하고 실패한 행성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항성의 고에너지 복사가 대기의 기체를 이온화해 날려버리는 '광증발효과'가 대규모로 발생했을 수도 있으나 행성 대기의 가스를 모두 사라지게...
'현미경자리 AU'서 10여년 관측 끝에 해왕성급 행성 찾아내 2020-06-25 16:45:02
조지 메이슨 대학 천체물리학 조교수 피터 플라브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외계행성 탐색 위성인 '테스'(TESS)와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처' 등을 이용해 발견한 현미경자리 AU의 행성 관측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현미경자리 AU는 지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
"생후 이틀 이내" 별 주변 먼지 원반서 '후다닥' 행성 만들어 2020-06-19 11:39:02
빛을 관측해 질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원시행성계 원반의 질량이 대형 행성들을 만들 정도로 충분했으며 100만~200만년 된 원반에서 측정된 것보다 10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까지 알려진 2천여개 이상의 외계 행성계 질량과 비교했을 때 이런 행성계를 구성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양이라는 점을...
별빛에 분해되는 행성인가…약 3.3일 주기 외계행성 포착 2020-06-01 15:45:03
Journal Letters) 최신호를 통해 발표했다. DMPP-1 행성계는 고정밀 시선속도 측정법으로 뜨거운 가스에 휩싸여있는 인근 별의 미세한 움직임을 관측해 항성 가까이서 궤도를 돌며 질량을 잃는 외계행성을 찾는 '분산 물질 행성 프로젝트'(DMPP)를 통해 확인됐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2015년에 관측을 시작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