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제임스웹 망원경에 '별의 화려한 죽음' 포착 2023-08-04 15:15:40
제임스웹 망원경에 '별의 화려한 죽음' 포착 2천600광년 밖 고리성운 고해상도 촬영 "항성 생애주기·우주물질 등 더 깊이 이해"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우주를 향한 '인류의 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이번에는 별의 죽음을 어느 때보다 선명하게 포착했다.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인류의 눈 바꿨다" 제임스웹 1주년…'별의 탄생' 사진 공개 2023-07-13 12:06:08
눈 바꿨다" 제임스웹 1주년…'별의 탄생' 사진 공개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우주 사진이 처음으로 인류에 공개된 지 1년째 되는 날을 기념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별이 탄생하는 순간을 담아낸 사진을 공개했다. NASA는 12일(현지시간) 웹사이트에 "JWST가 촬영한...
'우주전쟁' 승자는 스페이스X..."사실상 독점" 2023-07-07 17:34:14
원웹은 소유즈를 사용하다 스페이스X의 주력 로켓 팰컨9로 갈아탔고, 지난 1일 발사된 유럽우주국(ESA)의 우주망원경 유클리드도 팰컨9를 이용했다. 항공사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합작법인인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 프랑스 위성발사 기업 '아리안스페이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잘 나가는 머스크의 스페이스X…"우주발사체 시장 사실상 독점" 2023-07-07 17:14:54
원웹은 소유즈를 사용하다 스페이스X의 주력 로켓 팰컨9로 갈아탔고, 지난 1일 발사된 유럽우주국(ESA)의 우주망원경 유클리드도 팰컨9를 이용했다. 항공사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합작법인인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 프랑스 위성발사 기업 '아리안스페이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사이테크+] "웹망원경, 빅뱅 5억7천만년 후 태양 900만배 블랙홀 포착" 2023-07-07 05:00:01
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3개의 블랙홀은 웹망원경 이전에는 너무 흐릿해 관측되지 않았다"면서 "지금까지 초기 우주 천체 연구는 대부분 이론적이었는데 웹망원경을 통해 비로소 극히 먼 거리의 블랙홀과 은하를 관측하고 정확히 측정하는 게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JWST 관측 데이터를 초기 블랙홀이 어떻게...
'유럽 자존심' 아리안5 로켓 발사…27년 임무끝 고별비행 2023-07-06 09:56:51
인류 최초의 혜성탐사선 '로제타'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등을 우주로 실어 날랐다. 아리안그룹은 지난 1973년 개발에 들어가 1979년 첫 번째 발사체인 아리안 1 로켓을 발사했으며 현재는 차세대 아리안 6 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아리안그룹은 아리안 6 로켓을 연내 첫 번째 시험 발사한 뒤 내년부터 상업용 발...
우주의 95% '어둠의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종합2보) 2023-07-02 02:34:31
보조 장비와 망원경을 합한 전체 선체의 높이는 약 4.7m, 폭은 3.5m이고, 망원경의 지름은 1.2m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보다는 훨씬 작다. 유클리드는 2029년까지 '가시광선 관측기'(VIS)와 '근적외선 분광계·광도계'(NISP) 두 가지 관측 장비를 이용해...
'우주의 어둠'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종합) 2023-07-02 01:07:07
보조 장비와 망원경을 합한 전체 선체의 높이는 약 4.7m, 폭은 3.5m이고, 망원경의 지름은 1.2m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보다는 훨씬 작다. 유클리드는 2029년까지 '가시광선 관측기'(VIS)와 '근적외선 분광계·광도계'(NISP) 두 가지 관측 장비를 이용해...
'암흑우주 비밀을 찾아서'…유클리드 망원경 우주로 2023-07-02 00:30:01
망원경의 이름을 고대 그리스 수학자로 '기하학의 아버지'인 유클리드에서 따왔다. 유클리드는 앞으로 한 달간 비행해 지구에서 약 15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점(L2)에 도착, 7개월간의 시험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제2 라그랑주점은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뤄 우주망원경이 안정적으로 우주를 관측할...
[사이테크+] "웹망원경, 외계행성 원반서 '메틸 양이온' 첫 포착" 2023-06-27 07:30:00
"웹망원경, 외계행성 원반서 '메틸 양이온' 첫 포착" 佛 연구팀 "1977년부터 존재 예측 메틸기 태양계 밖에서 처음 발견"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오리온성운 내 행성이 형성되고 있는 원반(disk)에서 성간(interstellar) 화학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