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앱클론, 美 유펜 의대와 혁신 CAR-T 치료제 공동연구 확대 2022-07-28 09:04:00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CAR-T 치료제 연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의과학자다. 앱클론은 2020년 루엘라 교수와 첫 공동연구 과제로, 출시돼 있는 4종의 모든 'FMC63' 항체 기반 CAR-T 치료제 대비 앱클론 'AT101'의 우위성과 차별성 입증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기존 CAR-T...
울산대·유니스트, 의과학자 공동 양성 추진 2022-07-12 18:28:58
시도되는 모델”이라며 “의예과 1학년부터 적성에 따라 의과학자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2학기부터 울산대 의과대학 학부생과 석·박사과정을 대상으로 전공기초 교육을 하는 MD(의사과학자) HST 트랙, UNIST 학부생을 대상으로 임상 중심 교육을 하는 ME(의공학자) HST 트랙을 운영한다. UNI...
제21회 보령암학술상에 양한광 서울의대 외과 교수 2022-06-24 10:31:40
수상자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양한광 교수(서울대병원 암병원장)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양 교수는 위암 분야의 권위자로, 최근 3년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55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위암 치료 분야의 임상과 중개 연구에 매진해온 성과를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이날 서울대 삼성암연구동 이건희홀에서...
제21회 보령암학술상, 양한광 서울의대 교수 선정 2022-06-24 10:22:55
헌신하신 분들의 숭고한 뜻을 되새기고, 연구에 더욱 매진할 수 있도록 응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보령암학술상은 매년 암 퇴치와 국민 보건 향상에 공로를 세운 학자의 업적을 기리고자 한국암연구재단과 보령이 2002년에 공동 제정한 상이다. 지난 200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우호 교수의 제1회 수상을...
[기고] 대학의 혁신과 공유가 필요한 이유 2022-06-08 17:44:17
수 있다. 의과학자와 보건의료인들은 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유례가 드물 정도의 신속한 공조시스템을 구축했고 반응 결과를 공유했다. 본래 피어 리뷰와 논문 발간은 수년 주기로 움직이는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적절한 처치의 탐색과 해결책은 신속한 연구와 산학 협력, 공유라는 바이오의학 및...
장익경 경희대학교 ES 교수, ‘미국심장학회 저명 과학자상(ACC Distinguished Scientist Award)’ 수상 2022-05-10 15:15:11
1987년 보스턴으로 왔다”며 “지난 35년간 하버드 의과대학의 MGH에서 일하고 있다. 운 좋게도 좋은 스승들을 만나, 연구자의 자세와 지식을 배울 수 있었다”며 의사, 학자로서의 여정을 설명했다. ACC 저명 과학자상의 역대 수상자 중, MGH 소속인 임상 분야의 동양인은 장 교수가 처음이다. 그는“...
'빨간약 코로나 99% 박멸'…식약처 "효과 확인되지 않았다" 2022-04-11 10:15:27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의과학자 클라우디오 블라시는 70세 코로나 환자에게 1%의 포비돈 요오드 수용액을 1일 2회 코로 흡입시켰고 같은 용액으로 1분 동안 가글하도록 했는데 그 결과 환자의 체온이 점차 떨어지며 24시간 후에 정상이 됐고 3일 만에 모든 증상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블라시는...
'아산의학상' 시상식…신의철·이정민 교수 수상 2022-03-21 17:24:03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한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에게 3억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임상의학 부문 수상자인 이정민 서울대 의대 영상의학교실 교수에게도 상금 3억원을 전달했다. ‘젊은 의학자 부문’ 수상자인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 교수(37)와 서종현 울산대 의대 영상의학교실 교수는 각각 상금으로 5000만...
멸종된 동물 '사일러신'…유전자 가위로 되살린다 2022-03-11 17:31:33
인체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mRNA 백신 개발을 주도했던 의과학자 드루 와이즈먼 미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는 “mRNA백신은 기본적으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라고 설명했다. mRNA 백신을 개발한 모더나는 최근 지카, 에볼라, 말라리아,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등 15개 바이러스에 대한 mRNA...
올해 아산의학상에 KAIST 신의철·서울의대 이정민 교수 2022-01-24 17:11:33
조영제’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MRI) 검사가 기존 컴퓨터단층촬영(CT)보다 더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간암 진단 국제 가이드라인이 재정립되는 등 간암 조기 진단율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설명이다. 아산재단은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2008년 아산의학상을 제정했다. 시상식은 오는 3월 21일 오후 6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