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월드콘도 저당 제품으로"…롯데웰푸드, 빙과 신제품 출시 2025-02-07 08:57:56
설탕 대신 대체당을 넣어, 당류 함량을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세부 분류별 평균값과 비교해 최대 85.7% 줄였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당류 함량을 걱정하는 소비자를 위해 저당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며 "기존 월드콘 바닐라와 티코 밀크초코의 진한 바닐라 향과 우유 풍미는 그대로 구현했다"고 말했다. 롯데웰푸드는...
담배 독성·발암 성분 내년부터 공개 의무화 2025-02-06 17:59:03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담배 유해성분 검사와 공개 절차 등을 규정한 담배유해성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6일 입법예고했다. 2023년 10월 제정된 담배유해성관리법의 올해 11월 시행을 앞두고 세부사항을 마련했다. 시행령에 따라 담배회사들은 내년 2월 이전까지 국내에 판매 중인 담배의 유해검사를 검사기관에...
'깜깜이'였던 담배 유해성분…내년부터 의무적으로 공개 2025-02-06 16:38:24
공개된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의 담배유해성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을 6일 입법예고했다. 이는 2023년 제정된 담배유해성관리법이 올해 11월1일 시행되는 데 따른 것이다. 해당 법은 담배 제조·수입 판매업자가 2년마다 제품의 유해 성분 함유량 검사를 받고 이를 식약처에 제출, 전...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잇따라 '딥시크' 차단 2025-02-06 15:12:54
사용 방침과 관련해 사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딥시크만 별도로 사용을 차단하지는 않고 있지만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경우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른 보안 업무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harris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게시판] 식약처, 의료기기 국제 표준화 회의 국내 개최 2025-02-06 14:49:06
의료기기 국제 표준화 회의 국내 개최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료용 제재 및 카테터 투여기기 분야 국제표준화 작업반 회의를 서울 아트리움 호텔에서 10∼14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국제표준화기구(ISO) 의료기기 표준 제·개정과 국내 개발 기준의 국제표준 등록 가속화를 위해 마련됐다. 미국, 덴마크,...
내년부터 '담배 유해성분' 공개 의무화된다 2025-02-06 10:14:12
등이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담배 출시 이후 1달 내 유해 성분을 검사하도록 하는 등의 담배유해성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을 6일 입법예고했다. 이는 2023년 제정된 담배유해성관리법이 올해 11월 1일 시행되는 데 따른 것이다. 해당 법은 담배 제조·수입...
[게시판] 식약처, 올해 의약품 소량포장 공급 대상 공고 2025-02-06 09:35:25
6일 밝혔다. 의약품 제조·수입자는 의약품 중 정제·캡슐제·시럽제의 경우 수출용, 희귀, 퇴장방지의약품 등을 제외하고 연간 제조·수입량의 10%를 소량포장단위로 공급해야 한다. 이번에 공개된 품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www.mfd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HK이노엔 "위식도 역류질환약 물질특허 심판 2심 승소" 2025-02-06 09:32:29
원 존속기간이 2026년 12월 6일까지였으나 의약품 연구개발 및 허가에 소요된 기간을 인정받아 2031년 8월 25일까지 존속기간이 연장됐다. 이에 제네릭 의약품(복제약) 기업 측은 원 존속기간 만료 직후인 2026년에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케이캡의 최초 허가 적응증(미란성,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을 제외한 3가지 후속...
챗GPT 의료형 개발, 국내 의료 AI·로봇 관련 주 동반 상승 2025-02-06 09:29:36
의약청의 승인을 대기하고 있거나 이미 받은 상태임. - 로봇주: 레인보우로보틱스가 52주 최고가 경신, 하이젠알앤엠도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됐음에도 강세이며, 산업용 모터 개발 기업이나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진출 예정. - 로봇 관련 종목들의 강세는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주목받지 못했던 종목이나...
"中 딥시크는 이제 시작일 뿐…긴장해야" [더 머니이스트-조평규의 중국 본색] 2025-02-06 06:30:05
산업클러스터에 바이오, 의약, 스마트 제조, 우주 기술, 심해 탐사, 양자 컴퓨팅, 통신 분야, 의료 및 제약 분야, 인공지능, 로봇공학, 집적회로 반도체 산업에서 자체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딥시크는 시작일 가능성이 높다미국을 제외하면 중국은 혁신적 첨단기술을 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나라입니다. 미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