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셀트리온, CDMO 자회사 출범…"2030년 매출 1.5조 목표" 2024-12-17 15:24:51
두각을 드러내겠단 전략입니다. 바이오텍이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임상을 하고 허가를 신청하는 절차를 '원스톱'으로 처리해줌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서 회장 발언 듣고 오겠습니다. [서정진 / 셀트리온 회장 : CDO, CRO, CMO를 한꺼번에 서비스를 해줄 수 있는 회사는 아마 론자...
노을, 고체염색 진단 기술 美특허 획득 2024-12-16 18:42:43
물질을 조직검체에 전달한 뒤 그 물질을 검출하는 진단기술이다. 복수의 형광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로, 암 등 질환 여부를 진단하는 조직검사 영역으로 확장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혈액이나 조직을 검사할 때는 액체 염색법이 많이 쓰인다. 하지만 시약으로 염색한 세포를 물로 씻어내고 현미경으로...
K뷰티의 심장 아모레퍼시픽 오산 공장을 가다 2024-12-15 22:11:20
물질은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 원료만 쓴다고 합니다. 아모레퍼시픽은 미국에도 화장품을 수출하는 큰 기업인데요, 창업자인 서성환 회장의 어머니인 윤독정 여사가 동백기름을 만들던 데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윤독정 여사가 서성환 회장과 함께 태평양화학공업이라는 회사를 세워 본격적으로 사업을 키워나갔습니다....
불소화학 권위자 박달조 원장 등 과학기술유공자 신규 지정 2024-12-12 12:00:11
신호전달 기본 물질인 인지질분해효소(PLC)를 처음 분리·정제하고 유전자를 찾아내 세포신호전달 참여 기전을 규명했다. 채영복 이사장은 생리활성 화합물의 새 합성법을 개발해 수입에 의존하던 정밀화학제품 국산화에 기여하고 관련 산업 발전 토대를 마련했다. 또 과학기술인공제회 설립,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조성...
리가켐바이오 ADC 신약…美 1상 계획 승인받아 2024-12-11 17:18:57
후보물질이 미국 임상 1상에 진입했다. 리가켐바이오는 미국 신약개발사 넥스트큐어와 공동 개발 중인 ADC 후보물질 LNCB74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ADC란 암세포를 추적하는 항체에 독한 화학물질을 붙인 차세대 항암신약 기술이다. 강력한 항암제를 암세포에만...
향방 예측 어려운 리퀴드 소비 시대, 주목할 만한 소비 트렌드는? [삼정KPMG CFO Lounge] 2024-12-11 09:47:42
길고, 공유보다는 소유권에 기반한 물질적 소비를 지향하는 경향이 강하던 과거의 솔리드 소비와는 상반된다. 리퀴드 소비가 촉발한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리퀴드 소비 환경에서는 소비자들의 소비 기준이 다양화·고도화되며 세분화된 소비 패턴이 나타난다. 소비 기준이 어느 한 요소에 치우치지 않고 가격, 경험, 효율,...
GC녹십자-동아에스티, 만성염증 신약개발 후속 공동연구 2024-12-09 11:17:15
특정 조직에 전달 가능한 LNP(지질나노입자, mRNA 전달 역할)를 스크리닝, 최적화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도출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고 동물모델에서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GC녹십자는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의 하나로 mRNA-LNP를 선택하고 자체 기술력과 특허를 확보해왔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GC녹십자·동아에스티,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약 공동연구 2024-12-09 09:47:08
유전 물질이다. LNP는 mRNA를 나노입자로 체내에 주입하는 전달 시스템으로 mRNA 기반 약물 개발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이다.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할 수 있는 mRNA를 합성하고 특정 조직에 전달 가능한 LNP를 스크리닝 및 최적화한다. 동아에스티는 GC녹십자가 도출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제노스코 "제2 렉라자 10년內 5개 상용화" 2024-12-08 17:25:36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요 파이프라인(신약 후보 물질)은 ‘ROCK2 억제제’다. ROCK2는 섬유증 발병 과정에서 중요한 신호 전달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김 대표는 “ROCK2 억제제로 두 개의 물질을 만들었다”며 “각각 다국적 제약사에 기술수출할 것”이라고 했다. 첫 번째 물질은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
[사이테크+] "미용 제품 속 미세플라스틱 대체 생분해성 물질 개발" 2024-12-07 06:00:03
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유전자 전달 등 의료 분야에서 가능성을 보인 물질이다. 5가지 후보물질 중 산성 환경에 노출됐을 때 녹는 성질 등 마이크로비드 대체에 가장 적합한 물질을 선택해 현재 클렌저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마이크로비드와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PBAE 기반 마이크로비드를 혼합한 비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