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위클리 스마트] '꼬마 파브르'를 초대합니다…과천과학관, 곤충생태관 마련 2018-05-26 10:00:05
등 다양한 절지동물을 관찰할 수 있다. 절지동물은 딱딱한 외골격으로 싸여 있는 무척추동물이다. 과천과학관은 "우리 집안과 공원에서부터 땅속, 물속, 깊은 숲 속까지 곤충이 살지 않는 환경이 없다"며 "우리가 알게 모르게 곤충은 무척 많은 일을 하며, 우리는 그 혜택을 입고 있다. 아마 곤충이 없다면 생태계는 갑자기...
제주 해양도립공원서 불가사리 포식하는 나팔고둥 포착 2018-04-26 16:04:07
등 해양환경 2개 분야와 동물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 연체동물, 절지동물 등 해양생물 4개 분야는 국립공원연구원의 조사연구전용 선박인 연구1호(380t)에서 진행한다. 연구1호의 재원은 길이 46m, 너비 9m, 승선 인원 40명, 최대속력 14.3노트다. 해조류와 해양 어류 분야는 조간대 조사와 잠수조사로 별도로 실시한다....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경제 2018-03-10 08:00:03
"R&D 박차" 180309-0901 경제-0884 19:00 5억2천만년전 절지동물 뇌 모습은…극지연구소, 진화과정 규명 180309-0902 경제-0211 19:03 세화아이엠씨 최대주주 얼라이컴퍼니로 변경 180309-0905 경제-0212 19:10 [연합시론] 미국, 대 한국 '철강 관세' 먼저 푸는 게 맞다 180309-0907 경제-0213 19:12 국민연금공단...
5억2천만년전 절지동물 뇌 모습은…극지연구소, 진화과정 규명 2018-03-09 19:00:00
5억2천만년전 절지동물 뇌 모습은…극지연구소, 진화과정 규명 덴마크·영국 대학교 등과 케리그마켈라 머리구조 공동연구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5억2천만년 전 지구에 살던 원시 절지동물의 두뇌 진화과정이 밝혀졌다. 극지연구소와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영국 브리스틀·더럼대학교, 옥스퍼드 자연사박물관...
"곤충 보러 오세요"…과천과학관 곤충생태관 6일 재개관 2018-03-06 06:00:05
왕지네 등 절지동물을 관찰할 수도 있다. 한편 곤충관 재개관을 기념해 13일부터 4월 29일까지 과학관에서 '곤충아트특별전'이 열린다. 나비 날개로 만든 예술작품과 국내 최대의 말벌집, 비단벌레 표본 등 전시품 2천여 점을 볼 수 있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그 최전선에 '얼굴'이 있다 2018-02-20 15:51:14
정의한다면 얼굴을 가진 동물은 동물계 전체에서 일부다. 갑각류, 곤충류를 포함하는 절지동물과 인간이 속한 척추동물 정도만이 얼굴이 있다. 얼굴을 가진 동물은 소수이며 이들이 가장 고등하다는 점은 무엇을 의미할까. 미국 출신의 유전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인 애덤 윌킨스는 신간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서남해안 갯벌을 가다] ③ 태곳적 신비 간직…고창갯벌 2018-01-21 09:17:15
동물도 256종이 출현했다. 염습지와 펄, 모래에서 184종, 암반 서식지에서 80종이 나왔다. 그 가운데 절지동물이 84종(33%)으로 가장 많고 연체동물은 79종(31%)으로 나타났다. 이 모래갯벌에는 물새 먹이가 되는 바지락과 동죽, 갯지렁이류 밀도가 높다. 평균적으로 대략 90종, 5만2천여 마리나 되는 물새가 서식하는...
[위클리 스마트] 공룡시대 생물, '호박' 보면 안다 2017-12-23 10:00:02
호박 속에 갇힌 동물의 혈액에서 충분한 유전물질을 추출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호박으로 공룡시대에 살았던 고대 생물을 연구하는 연구는 가능하다. 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9천900만년 전 백악기 시대 호박에서 공룡의 깃털과 함께 절지동물인 진드기가 발견된 것이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자연사박물관, 미국...
영화 '쥬라기 공원' 모기처럼…공룡 피 먹은 진드기 발견 2017-12-13 01:00:00
흡혈 절지동물 '진드기'(tick)가 공룡 깃털과 함께 호박에서 발견됐다. 진드기가 공룡이 살던 백악기에도 살았다는 점은 알려져 있었으나, 이렇게 공룡에 기생한 사실이 입증되는 진드기 개체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자연사박물관, 미국 뉴욕자연사박물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진은...
전남 진도군 '매도', 이달의 무인도서 선정 2017-11-30 11:00:01
비롯해 해안무척추동물(16종)과 자포동물(1종), 연체동물(10종), 절지동물(5종) 등 다양한 생물들이 관찰된다. 해안 경사가 심한 매도는 '무인도서의 보전·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준보전 무인도서다. 약 4km가량 떨어진 접도에서 볼 수 있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