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영화 공짜" 경복궁 담벼락 낙서…경찰, 용의자 추적 2023-12-16 10:18:05
접수됐다. 낙서는 붉은색과 푸른색 스프레이로 '영화공짜'라는 문구와 함께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를 연상하게 하는 문구가 반복적으로 큼지막하게 적혀 있다. 경복궁은 조선왕조 제일의 법궁으로 국가 문화재로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 경찰은 인근 폐쇄회로(CC)TV를 토대로 용의자를 추적하는 한편 문화재보호법...
라이엇게임즈, 문화재청에 추가 후원 약정…누적 85억원 2023-12-14 09:00:07
시작으로 2022년 조선 왕실 유물인 '보록'까지 총 6차례의 국외 문화재 환수를 지원했다. 특히 2018년 환수를 지원한 '문조비 신정왕후 왕세자빈책봉 죽책'은 지난 6월 '조선왕조 어보 어책 교명'의 일부로 보물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밖에 문화유산 체험 교육과 각종 보존·홍보 사업을 지원하며...
[칼럼]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기업가정신 2023-12-05 09:29:51
기원인 고려도 마찬가지며 조선왕조 500년의 찬란함도 한때가 되고 말았다. 과거의 가르침은 국가뿐 아니라 기업에도 적용해볼 수 있다. 13년간 휴대전화 시장 1위를 차지했던 '노키아'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휴대전화 사업부를 매각하기 전까지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군림했다. 노키아는 핀란드 국내 총생산의...
日, 고려대장경 세계유산 등재 추진…"막을 명분이 없다" 2023-12-04 09:11:36
요청하는 건 인쇄본이다. 일본이 조선에 고려대장경을 요청한 건 세종실록을 비롯해 기록으로 확인된 것만 60여 차례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 인쇄물은 에도 막부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수집해 조조지에 기증한 것"이라며 "많은 대장경이 왕조 변천과 전란으로 흩어져 없어진 가운데 15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3개...
가죽코트에 선글라스까지…北 김정은·김주애 '시밀러룩' 2023-12-01 09:49:14
우상화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1일 김 위원장이 김주애와 함께 지난달 30일 공군 주요시설을 방문해 "영웅적 인민 공군의 전체 장병들을 축하 격려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9·19 군사 합의 전면 파기 선언으로 남북 간 군사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신 무장'을 강조하...
마음은 유럽을 달린다 [더 라이프이스트-성문 밖 첫 동네, 중림동 이야기] 2023-11-30 16:17:52
순종보다 세 살 어리다. 나라는 망했지만 왕조는 이어졌다. 누군가는 순종의 뒤를 이어야 했다. 영친왕을 순종의 후계자로 만들려는 순헌황귀비의 견제로 오랫동안 외국에 체류하다 귀국했지만 그가 설 자리는 없었다. 그는 술과 여자로 시대를 허비했다. 공인된 자녀만 해도 12남 9녀에 이르러 주색잡기에서는 조선팔도에...
[천자칼럼] 열 살짜리 여장군 2023-11-29 17:36:00
있다. 북한이 김정은의 딸 김주애를 ‘조선의 샛별 여장군’으로 표현했다. ‘조선의 샛별’은 김일성 초기 활동을 선전할 때 사용하던 것이다. 김정은도 ‘샛별 장군’으로 불렸다. 열 살짜리 어린애에게 ‘사랑하는 자제분’ ‘존경하는 자제분’이라더니 이젠 장군이라고 한다. 김주애에 대한 우상화가 속도를 내고 있고...
110년 만에 오대산 돌아온 조선왕조실록 2023-11-09 19:15:45
일본으로 반출됐다가 환수된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과 의궤가 110여 년 만에 오대산으로 돌아온다. 의궤는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국가에 큰 행사가 있을 때 후세에 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그림과 문자로 기록한 책이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9일 강원 평창군 오대산로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사진)에서 개...
[기고]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1세기 '史庫' 역할을 기대하며 2023-11-07 17:43:44
국가기록물이다. 이 방대한 분량의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역사적 사실을 모두 포괄하고 있어 한국학 각 분야 연구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필수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기록의 ‘공정성’ 측면에서도 중국 일본 등 다른 동아시아 국가의 실록보다 월등히 우수하다....
[한경에세이] 세종대왕의 통계기반 의사결정 유산 2023-10-31 18:49:07
조선왕조실록은 세계가 감탄하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기록유산이다. 조선은 왜 6400만 자나 되는 방대한 기록을 남겼을까. 당대사를 기록해 후세에 권계하기 위함이었다. 후세인 우리는 조선왕조실록을 보면서 역사를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지혜와 시대를 뛰어넘는 리더십을 배우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관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