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파 덮친 전남 양식장 저수온 피해 급증…돔류 311만마리 폐사 2018-02-06 09:52:16
폐사했다. 능성어, 돔류, 조기, 쥐치, 숭어 등은 저수온에 취약해 양식 어가에서는 사료 공급량 조절, 영양제 공급 등으로 면역력을 높여야 한다. 피해 어가 가운데 24곳(36.4%)만이 재해보험에 가입해 나머지 어가에서는 피해액에 훨씬 못 미치는 지원을 받게 될 수도 있다.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농어업재해 대책법에...
'북극 한파'에 양식장·축사·농작물 관리 비상…'피해 주의보' 2018-01-26 11:51:07
돔류, 능성어, 조기, 쥐치, 숭어 등 저수온에 약한 양식생물은 일찍 출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추위는 육지의 동·식물도 얼어붙게 한다. 전남도는 가축의 자세가 서 있는 자세에서 움츠린 자세로 바뀌고 몸을 떨거나 오줌을 자주 누면 저온으로 인해 건강에 이상이 생긴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한겨울 가축...
'어류도 추위 피해 이동'…한파에 전남 양식어장 비상(종합) 2018-01-11 14:41:54
특히 능성어, 돔류, 조기, 쥐치, 숭어 등은 저수온에 취약하다. 사료 공급량을 조절하고 비타민·영양제를 공급해 면역력을 높여줘야 한다고 전남도는 당부했다. 저수온에 약한 양식생물은 일찍 출하해야 한다. 송원석 전남도 수산자원과장은 "폭설과 저수온이 겹치면서 양식장 피해 우려가 커졌다"며 "어패류 양식장 월동...
[신간]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2017-12-13 11:04:08
골라 현대인의 관점으로 설명한다. 쥐치에 대해서는 우해이어보에서 "온몸이 쥐와 비슷하나 귀와 네 발의 지느러미가 없다"는 문구를 인용한 뒤 본래는 천대받는 생선이었으나 1960년대 이후 쥐포가 인기를 끌면서 어부들이 선호하는 물고기가 됐다고 이야기한다. 책 뒤쪽에 우해이어보 원문과 번역문을 수록했다. 지앤유....
이상 저온에 폐사할라…경남도 양식어류 1천500만 마리 특별관리 2017-11-28 10:55:25
돔류와 쥐치는 저수온에 취약해 피해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도는 올 겨울에는 대체로 평년과 기온이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기에 따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 양식어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시·군 수산부서와 수산기술사업소 공무원을 저수온 우려 해역별 책임담당으로...
난대림·카트·어류…추석 연휴 골라 즐기는 전남 체험 2017-09-26 14:21:36
수 있다. 남해안에 서식하는 쥐치류, 별가오리, 노랑가오리, 독가시치 등 2만여 마리 물고기와 함께 3D 영상관에서는 실제 바닷속 풍경을 주제로 한 입체영상도 볼 수 있다. 섬진강 어류생태관은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세계의 민물고기 등 92종 7천여 마리를 전시한다. 연휴 기간 섬진강 변 연날리기, 제기차기, 고리...
주꾸미·문어 어획량 급감…포획금지기간 신설 2017-08-27 11:00:09
주꾸미, 말쥐치, 대문어 등에 대한 포획금지 기간 등 관련 조항을 마련해 지난 4월 말부터 6월 초까지 1차 입법예고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제출된 업계 의견을 수렴해 다시 새로운 개정안을 마련해 재입법 예고를 추진하게 됐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한편, 갈치의 경우 1차 입법예고와 마찬가지로 '북위 33도...
고수온 피해 보상 미흡…수산물재해보험 가입 저조 2017-08-10 08:30:01
돔류를 기르는 어가를 제외하고 볼락이나 우럭, 쥐치 등 고수온에 약한 어종을 양식하는 특약 가입대상 어가를 기준으로 하면 가입률은 10% 정도 더 높을 것으로 추정했다. 특약 가입률을 25% 정도로 추산하더라도 75%는 고수온 피해지 보상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지난해에는 고수온 특약 가입 어가가 단...
밥상서 사라지는 국민 생선…자원보호 소비자 동참 절실 2017-08-06 07:00:07
정부 공식통계상 '0'이 됐다. 갈치, 쥐치, 오징어, 멸치 등도 지난해 생산량이 역대 최대치보다 50% 이상 감소한 상태여서 남획이 계속되면 머지않아 우리 밥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정부가 금어기를 정하고 포획금지 체장을 정하는 등 자원보호에 나서고는 있지만 한계가 있다. 어민들의 자율관리 또한 일부의 ...
'물고기도 할딱할딱, 바닷물이 뜨거워'…연안 양식장 초비상 2017-08-05 07:55:00
쥐치 9천여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전복 양식장이 밀집한 전남 완도에서는 전복 1천200만 마리가 고수온 등의 영향으로 죽었다. 당시 어민 피해는 90억원에 달했다. 충남 천수만 가두리 양식장에서는 2013년 고수온으로 500만 마리 가까운 물고기가 폐사하면서 53억원의 재산피해가 났고, 지난해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