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과천과학관, 누리호 성공 기원하며 우주 콘텐츠 공개 2022-06-09 12:00:20
이정모 관장을 비롯해 과학관에서 근무 중인 각 분야 전문가들이 출연해 사회 이슈 속에 담겨있는 과학 요소들을 재밌게 풀어가는 예능 콘텐츠다. 이번 달에는 '방구석에서 누리는 우주여행'을 주제로 대한민국 1호 우주인 이소연 박사의 영상 인터뷰, 월면토 식물재배 실험 등 4편을 공개한다. '선을 넘는...
올 여름엔 '과학 바캉스'를 즐겨보자 2022-06-02 18:06:57
피서를 떠나는 김에 근처에 있는 과학관을 찾아가도 좋다. 국립과학관 5곳(대전, 부산, 대구, 광주, 경기 과천)을 비롯해 종합 과학관만 전국에 29곳이 있다. 자연·생태(40곳), 천문·지질(29곳), 해양(25곳), 우주(9곳), 동물(7곳) 등 주제별 과학관도 많다 과학관 위치와 전시 주제에 관한 정보는 전국 과학관 길라잡이...
[표] 시도별 공공기관 소재지 현황-2 2022-05-23 06:01:04
과학관 │ 부산 │ 기장군 │ ├─────────┼──────────────┼─────┼──────┤ │해양수산부│ 한국수산자원공단 │ 부산 │ 기장군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표] 공공기관 신입사원 초임 추이-1 2022-05-19 06:01:02
│ 국립부산과학관 │ 45,309 │ 44,822 │ 43,601 │ 44,048 │ 43,148 │ ├────────────┼────┼────┼────┼────┼────┤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40,074 │ 41,582 │ 42,182 │ 41,833 │ 43,113 │...
천체사진 공모전 '하트 모양 성운' '크리스마스 트리 은하수' 2022-05-18 09:56:45
명확히 보일 정도로 '고퀄' 이미지를 얻었다. 수상자들에겐 상패와 상금이 수여되며 수상작은 이달 31일부터 8월 말까지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로비에 전시될 계획이다. 심사위원들은 "해마다 응모작 수가 늘고 작품들의 완성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우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단순한 호기심 충족을 넘어...
[표] 공공기관 상임기관장 연봉 추이-3 2022-05-18 06:01:04
│ 국립광주과학관 │122,755 │116,576 │127,969 │133,314 │136,206 │ ├────────────┼────┼────┼────┼────┼────┤ │ 공간정보품질관리원 │ 0│ 0│ 0│105,000 │135,050 │ └────────────┴────┴────┴────┴────┴────┘...
금성과 목성이 겹쳐 보였다! 혹시 행성 충돌? 2022-05-12 13:30:04
주기의 약 3배인 3.3년마다 두 행성은 매우 가깝게 자리한다. 만약 5월 1일 금성과 목성이 겹쳐진 모습을 보지 못했다면 약 3년 3개월 뒤인 2025년 8월 12일까지 기다려야 한다.박대영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팀장 관측천문학과 대중천문학을 공부한 과학문화기획자이자 천체사진가. 지은 책으로는 '우주대체험',...
[표] 공공기관 장애인 채용 현황-3 2022-05-11 06:01:05
과학관 │ 0 │ 0 │ 0 │ 0 │ 0 │ 0 │ ├─────────────┼───┼───┼───┼───┼───┼───┤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0 │ 0 │ 0 │ 0 │ 0 │ 0 │ ├─────────────┼───┼───┼───┼───┼───┼───┤ │...
[표] 공공기관 영업이익 추이-3 2022-05-10 06:01:05
│ 국립광주과학관 │ 2,955 │ 4,116 │ 1,677 │ 12,399 │5,217 │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지원공│ 0│ 2,410 │ 2,202 │ -9,008 │5,240 │ │사│││││ │...
천동설을 무너뜨린 밝은 별, 금성 2022-04-14 12:39:10
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금성이 보름달처럼 둥글게 보이는 현상은 천동설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본 금성의 모습은 그가 지동설을 더욱 확신하는 계기가 됐다.박대영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팀장 관측천문학과 대중천문학을 공부한 과학문화기획자이자 천체사진가. 지은 책으로는 '우주대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