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주요 기사 2차 메모](31일ㆍ수) 2018-01-31 14:00:02
태실 및 비' 보물 된다…조선 태실 최초(송고) ▲ 작년 한국영화의 경향은…화제작 10편 다시 본다(송고) ▲ '가야금 명인' 황병기 별세…향년 82세(송고) ▲ 150여년간 행방 몰랐던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 佛서 귀환(송고) ▲ SMㆍJYPㆍ빅히트, 음악유통사업 진출…SK텔레콤과 업무협약(송고) ▲...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보물 된다…조선 태실 최초 2018-01-31 11:34:45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는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이 잘 남아 있고, 유물은 물론 주변 지형도 비교적 잘 보존돼 있어서 한국미술사의 태실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에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psh59@yna.co.kr...
[ 사진 송고 LIST ] 2018-01-10 10:00:00
별채, 한주정사(寒州精舍) 01/10 08:01 서울 전수영 세종대왕자 태실(世宗大王子 胎室) 01/10 08:01 서울 전수영 교리댁 ‘탱자나무 같은 귤나무’ 01/10 08:01 서울 전수영 진사댁 새사랑채의 방 내부 01/10 08:01 서울 전수영 응와종택의‘북비’사립문 01/10 08:01 서울 전수영 경북 성주 한개마을 전경...
[연합이매진] 세월 더께 묻어나는 성주 한개마을 2018-01-10 08:01:15
석물이 파괴돼 남아 있지 않다. 수양대군의 태실 앞쪽에는 왕자가 임금이 되면 태실을 다시 꾸미는 태봉(胎封)의 법식에 따라 거북 등에 비를 올린 가봉비(加封碑)가 세워져 있다. 조선 시대에는 왕실에 자녀가 태어나면 엄격한 의식과 절차에 따라 그 태를 깨끗이 씻은 후 항아리에 밀봉한 뒤 좋은 날과 장소를 정해 전국...
종갓집 형제는 용감했다…마동석·이동휘의 감동코미디 '부라더' 2017-10-17 18:35:09
태실(퇴계 이황 선생 출생지)과 보물 제450호로 지정된 의성 김씨 종택에서 촬영됐다. 장유정 감독은 "요즘 언론을 보면 가슴 아픈 뉴스가 많다"면서 "일상에 지친 분들이 스트레스를 한방에 풀고 호쾌하게 웃으며 따뜻한 감동을 할 수 있는 영화"라고 소개했다. 출연진도 제법 화려하다. 이하늬가 의문의 여인이자 영화의...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4일 조간) 2017-08-14 08:00:03
= 일제가 유린한 '고양 서삼릉 태실' ▲ 광남일보(광주) = 영호남 의병 활동상 기록물 발굴 ▲ 광주일보(광주) = 새정부 출범후 위상도 비전도 흐려졌다 ▲ 전남매일(광주) = '안 출마' 국민의당 내홍 심화 탈당설 솔솔 ▲ 남도일보(광주) = 광주도시철도 2호선 이달말 착공 분수령 ▲ 광주매일(광주) =...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8-13 08:00:08
수익금으로 3년째 선행 170813-0044 지방-0014 06:10 일제 민족정기 유린 현장…고양 '서삼릉 태실' 170813-0066 지방-0019 06:30 울산서 전국산악자전거 울트라 랠리…1천여명 참가 170813-0070 지방-0020 06:37 대구한의대 국가기간·전략산업 인력 양성기관 선정 170813-0075 지방-0001 06:48 서천 갯벌 조개 줍...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8-13 08:00:07
커피 판 수익금으로 3년째 선행 170813-0044 지방-0014 06:10 일제 민족정기 유린 현장…고양 '서삼릉 태실' 170813-0073 지방-0001 06:48 서천 갯벌 조개 줍던 60대 고립됐다 구조돼 170813-0083 지방-0024 07:00 [사람들] 독립투사 증손 이동빈 경위, 남해 지키는 해경 됐다 170813-0091 지방-0025 07:01 행인 치...
일제 민족정기 유린 현장…고양 '서삼릉 태실' 2017-08-13 06:10:00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서삼릉 태실은 일제강점기에 이뤄진 역사 파괴의 현장인 만큼 앞으로 청소년 등의 역사교육 현장으로 활용해 나갈 방침"이라며 "교육을 위해서라도 태실이 복원돼 일반에 상시 개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답사와 사진전 참여는 역사 관계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가비는 없...
"아무렇게나 버리지 마라"…골칫덩이가 된 쓰레기의 재발견 2017-07-18 14:54:19
쓴 '하피첩', 영조 태실의 돌난간 조성 과정을 기록한 책인 '영조대왕 태실 석난간 조배의궤', 해남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이 소장하고 있는 '미인도' 등 쓰레기로 취급돼 버려질 뻔했던 유물 3점도 함께 공개된다. 아울러 설치미술가 최정화와 김종인 서울여대 교수가 쓰레기로 만든 예술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