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쉿! 우리동네] 전통농법 고수하는 천년 역사 완주 '봉상생강' 2018-03-10 11:00:01
생강의 유래를 추정했다. 세종실록지리지와 동의보감, 택리지 같은 문헌에도 '생강은 우리나라에서 오직 전주부에서 생산', '생강은 전주 것이 으뜸'이라는 내용이 보인다. ◇ 전통농법 고수…'최초 생강 재배지' 자부심 지킨다 봉동읍에서 생강 재배에 종사하는 완주군민은 전통 농업을 고수하며...
'목포의 눈물' 애잔한 포구… 영욕의 500년 속으로 '시간 여행' 2018-03-04 15:19:30
강제윤 시인의 새로 쓰는 '섬 택리지'<14> 다도해 2000개 섬으로 통하는 길목 목포와 고하도(上)유달산 올라 다도해 보면 꽉 막힌 가슴이 ‘뻥’쇠락한 소읍같은 목포 원도심엔 남도의 맛·멋·흥 ‘속살’ 그대로 목포는 통로다. 내륙과 다도해 2000여 개 섬을 이어주는 허브. 호남선 종착지인 목포는 끊어진 남북...
[여행의 향기] 출렁다리 건너야 만날 수 있는… 전남 강진의 유일한 유인도 2018-02-11 15:02:21
시인의 새로 쓰는 '섬 택리지'<13> 겨울 섬 여행의 백미 가우도광주샘·만덕산·다산초당… 곳곳에 다산 정약용의 흔적이청자타워 가는 길목에 있는 당숲엔 후박나무 군락 이루며 신성한 기운 가득트레일·짚트랙·낚시체험 등 레저 다양 감성돔·키조개 해산물 먹거리 풍성 출렁다리에 대한 사랑이 뜨겁다. 우리가...
[여행의 향기] 거친 바람에 당당히 맞서 성곽처럼 우뚝 솟은 돌담… 오랜 은둔에서 벗어나다 2018-01-28 15:07:18
강제윤 시인의 새로 쓰는 '섬 택리지'<12> 한국의 이스트섬 완도군 여서도300년 역사의 돌담 그대로 보존 산비탈 따라 돌밭에 구들장 논 펼쳐져패총·고인돌·손으로 파낸 성혈바위 선사시대 때 사람 살았던 흔적들 남아여호산에서 바라본 다도해 풍경 '장관' 완도·청산도·보길도·한라산까지 뚜렷 한국의...
안대회 교수 "한국 대표 고전 목록 제작 서둘러야" 2018-01-16 16:16:41
택리지' 등 한국 고전 20여 종을 추려 간행했으나, 학계에서 두루 인정하는 정전의 목록이 만들어진 적은 없었다. 안 교수는 "정전화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보유하고 오랜 경험을 축적한 연구기관이 주관해 치밀하고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추진해야 한다"며 "정전을 정하면서 번역과 주석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고...
[여행의 향기] 8100만년 전 공룡들이 노닐던… 바다 한 가운데 '모래섬' 2018-01-14 14:40:53
강제윤 시인의 새로 쓰는 '섬 택리지'<11> 한반도의 쥬라기 공원 여수 사도이순신 장군이 바라본 '거북바위' 여전히 그 자리 지키고 서 있네 전남 여수에 있는 사도 갱번(바닷가를 뜻하는 사투리), 썰물의 때가 왔다. 오늘도 사도 어머니들은 갱번 갯바닥에서 갯것을 채취하는 중이다. 어머니 한 분이 고둥과...
[여행의 향기] 뭍을 사무치게 그리워한 먼 바다 '외딴 섬' 2018-01-01 14:44:26
강제윤 시인의 새로 쓰는 '섬 택리지'<10> 한국 최서남단 섬 가거도황금어장 파헤친 '모진 外風'… 꿋꿋하게 견디니 다시 평화가… 가게 산 무너져 평지나 되라 강물이나 몰라져서 육로나 되라 백년을 살자고 기약한 그 사람 금년도 못 살고 이별이 들었네 가거도라 앞 강에 일중선이 뜨고 정든 님 술잔에 잔...
[여행의 향기] 후삼국 바다를 주름잡은 '능창장군의 전설'… 몽고군도 못꺾은 '압해도 민초'의 항전 정신 2017-12-03 15:51:29
강제윤 시인의 새로 쓰는 '섬 택리지'모세의 기적? … 여긴 아예 바다가 사라졌다!…'갯벌 섬' 가란도엔 自然 닮은 할머니가 살더라<9> 이야기를 품은 섬 압해도·가란도섬들은 모두 이야기를 품고 있다. 비록 볼품없거나 이름이 없어도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이야기의 샘이 마르는 법이 없다. 전라남도 신안군...
[쉿! 우리동네] 탄생 50주년 맞는 '호반의 도시' 춘천 2017-11-18 11:00:03
없던 강 마을이었다. 이중환은 택리지(擇里志)에서 평양과 더불어 수계에 자리 잡은 고장 가운데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춘천을 꼽았다. 그만큼 춘천은 오래전부터 수향(水香)의 고장으로 알려졌다. 춘천은 고대 맥국의 도읍지를 시작으로 영서북부지역의 중심도시로 발전해 왔다. 북한강을 통한 문물과 산품의 집산이 그...
[연합이매진] 백제부흥군 숨결 가득한 내포문화숲길 2017-11-14 08:01:10
지역을 뜻한다. 조선 시대 지리서인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충청도에서는 내포가 가장 좋다. 공주에서 서북쪽으로 200리쯤에 가야산이 있다. 가야산의 앞뒤에 있는 10개 고을을 함께 내포라 한다. 지세가 한 모퉁이에 멀리 떨어져 있고 또 큰 길목이 아니므로 임진(壬辰)과 병자(丙子)의 두 차례 난리도 여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