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북 제재 중 담배 필터 북한 회사에 몰래 판매…5년간 2천80t 2017-06-29 10:33:06
출항해 중국 다롄항에 도착한 뒤 현지 통관절차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담배 필터를 북한 선박에 옮겨 북한 남포항이나 신의주로 보냈다. 남북교류 및 협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북한과 직접 교역을 하거나 제3국을 단순히 경유해 북한으로 물품을 반입하려면 통일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
중국, 수입 식품·화장품 블랙리스트 공개…한국기업 24곳 2017-06-16 06:15:00
중국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은 최근 3년간 통관이 거부된 적이 있고 불량기록 통보 건수가 규정치를 초과한 기업 명단을 공개했다. 블랙리스트에는 외국 수출업체 211개, 외국 생산업체 203개, 중국 내 수입업체 217개가 포함됐다. 이 중 한국 기업은 생산업체 14개, 수출업체 10개가 들어갔다. 중국 질검총국...
中, 한국산 식품·화장품 또 대거 수입불허…롯데 과자 포함 2017-06-15 09:43:44
불허 품목 중 한국산이 가장 많았다"면서 "증명서류 부적합, 포장 위반, 성분 표시 위반이 대부분이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에서 통관 조사를 강화하는데 화장품 업체들이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어 화장품 협회 등을 통해 고지하고 중국 제도 변화를 주지하고 있다"면서 "특히 영세 업체들이 제대로 준비도 하지...
"오지도 아닌데"…韓라면 터키서 1개 3천원 넘는 '귀한 몸' 2017-05-31 06:37:01
수출 중단"…우연히 섞인 극미량도 불허 "장류 등 다른 식품도 비슷한 처지"…터키 '식품 한류' 무풍지대 (이스탄불=연합뉴스) 하채림 특파원 = 이스탄불에 사는 50대 터키인 주부 벤귀 쉬하즈씨는 최근 한국인 친구가 선물한 인스턴트 라면을 먹고 그 맛에 홀딱 반해 집 주변 대형 마트에서 한국 라면을 찾았다....
중국, 또 한국산 식품·화장품 대거 수입불허 2017-04-27 15:32:48
질검총국이 수입을 불허한 한국산 제품에는 롯데 사탕 600㎏이 포함돼있었다.식품 첨가제가 초과했다는 이유로 통관이 불합격됐다.이밖에 k브랜드의 화장품, h제과의 과자, s식품의 김과 어묵, 아이스크림, 고추장, 음료수, 립글로스, 에센스 등도 수입 불허 대상에 포함됐다.앞서 지난달에는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칠성의...
중국, 한국산 식품·화장품 대거 수입불허 2017-04-27 12:32:51
불허된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중국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이 `2017년 3월 불합격 수입 화장품·식품 명단`을 발표했는데 수입 허가를 받지 못한 466개 품목 중 83개가 한국산이었다. 해당 한국산 식품·화장품만 33t에 달하며 질검총국이 불합격 처리한 전체 수입 식품·화장품 물량의...
中, 한국산 식품·화장품 또 대거 수입불허…롯데 사탕 포함 2017-04-27 11:58:32
3월 질검총국이 수입을 불허한 한국산 제품에는 롯데 사탕 600㎏이 포함돼있었다. 식품 첨가제가 초과했다는 이유로 통관이 불합격됐다. 이밖에 K브랜드의 화장품, H제과의 과자, S식품의 김과 어묵, 아이스크림, 고추장, 음료수, 립글로스, 에센스 등도 수입 불허 대상에 포함됐다. 앞서 지난달에는 롯데그룹 계열사인...
한국, RCEP 협상때 "비관세조치 규제" 목소리 낸다 2017-04-21 15:14:57
중국이 위생규정을 이유로 한국산 화장품의 통관을 무더기 불허한 것도 일종의 비관세조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덤핑 관세나 상계관세와 같은 수입규제와 달리 비관세조치는 타당성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타결 시 파급력이 큰 RCEP 협상에서는 비관세조치의 범위와 문제 발생...
사드 갈등에도 중국의 한국제품 해외직구 '순풍' 2017-04-20 06:35:00
한국산 화장품이 무더기로 통관 불허되는 등 중국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를 활용해 한국산 제품을 즐겨 찾는 것이다. 중국 해외직구족은 한국산 화장품, 의류, 다이어트 용품, 여성용품 등을 주로 샀다. 일본제품은 스킨케어 용품이나 기저귀, 육아용품, 청결용품을, 미국제품은...
[새 정부 과제]⑪ 美·中 G2 파고 넘는 새 통상환경 전략 세워야 2017-04-19 07:00:06
등 주요 소비재의 통관을 무더기 불허하는 등 비관세장벽을 높였다. 우리나라는 WTO 서비스무역위원회에서 사드보복 문제를 공식 제기했지만, 중국 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 "변화하는 통상환경 맞는 전략 필요" = 새 정부는 통상 부문에서 수출 회복 기조 유지, 미·중 통상압박 극복 등 쉽지 않은 과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