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백승현의 시각] 근로시간 개혁이 헤매는 이유 2023-05-02 18:22:34
근로시간 개혁이 좌초하면서 노동시장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1주 52시간’이라는 규제를 풀어 노사 자율로 근로시간을 정하게 하려던 정부가 여론을 되돌리기 위해 포괄임금제 집중 단속 등 다시 규제의 칼을 뽑은 것이다. 야당에선 이때다 싶어 포괄임금제 금지 입법까지 추진하고 나섰다. 개혁이라 칭하기도...
포괄임금 폐지하면 수당 늘어날까…실제 근로시간 놓고 분쟁 우려 2023-05-01 16:05:35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포괄임금제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들로서는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렵지 않은 직종이어서 포괄임금제가 무효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는지, 어떤 경위와 형태로 포괄임금제를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무효인 경우 추가로 부담하게 될 법정수당 규모를 예측해 임금체계를 개선해야 할지 여부를...
근로자의 날 못 쉰다면…이것 꼭 챙기세요~ [전민정의 출근 중] 2023-04-30 08:00:00
근로'를 부추기는 수단으로 전락한 포괄임금제가 적용되는 회사라면, 근로자의 날에 일하더라도 휴일근로수당을 받기는 더 어렵습니다. 월급이나 연봉에 연장근로, 휴일근로, 야간근로 등의 수당을 미리 계산해 선지급하는 포괄임금제로 근로계약을 한 경우에는 휴일에 일한 경우 휴일근로수당 합계가 50만원 미만이라...
[단독] 野 '포괄임금제 폐지법' 발의…여야 쟁점법안 되나 2023-04-28 17:29:20
민주당은 그동안 포괄임금제가 ‘공짜 노동’을 관행을 부추긴다며 제도 폐지를 주장해왔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포괄임금제라는 잘못된 제도로 사실상 노동시간 연장을 꾀하는, 공짜 근로를 강요하는 제도는 개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포괄임금제 폐지보다는 오남용 방지에 초점을...
이정식 "일주일 최대 근로시간 60시간 넘어설 가능성 낮아" 2023-04-25 19:15:27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장관은 포괄임금제 오남용을 근절해야 한다면서도 제도 폐지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문재인 정부에서도 포괄임금제 오남용 근절 지침을 만들다가 문제에 봉착했다"며 "오남용은 근절해야 하지만, 제도가 없어질 경우 노사 반발과 갈등, 편법과 오남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파견직원 미스김은 회식수당을 지급 받았을까 2023-04-25 17:11:15
논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요사이 포괄임금제가 다시 수면위로 올라와 논의가 진행되면서 근로시간만큼 임금을 못 받는 이른바 ‘공짜 야근’이 생기지 않도록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포괄임금제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다시 한번 근로시간의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법원은 기본적으로 근로계...
내년 50인미만 사업장 중대재해법 적용…중기중앙회 전국 설명회 2023-04-18 12:00:02
포괄임금제 오남용 방지 등 '필수 노동법 및 고용지원 제도'에 대해 안내하고 50인 미만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중기중앙회는 "'필수 노동법 및 고용지원 제도' 강의는 최근 근로시간제도 개편 과정에서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제기된 공짜 야근, 장시간 근로 조장,...
"공무원 하러 왔는데 경찰관 역할이라니…" MZ 직원 '줄퇴사'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3-04-16 15:16:53
위반 사항까지 한꺼번에 점검하기 때문이다. 포괄임금제 특성상 디지털 포렌식 작업을 병행하는 경우도 많다. 고용부 관계자는 "포괄임금제 단속의 경우 근로자의 근로시간 1년 치를 일일이 계산하는 등 꼼꼼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포괄임금제 단속 같은 근로시간 감독만 있는 게 아니다. 임금체불 등 '신고...
"일한만큼 받도록 정당한 보상 추진" 2023-04-13 18:28:21
못 받는 문제, 임금체불과 공짜 야근 등 포괄임금제의 부작용에 맞춰져 있다”며 “보다 철저하고 강도 높은 근로 감독 확대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과 공정한 보상에 대한 국민 신뢰를 축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19일 당정협의회에서 임금체불 근절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당 지도부는 20~30대의 당...
[기고] 주 69시간제라는 '유령' 2023-04-12 18:17:48
52시간)이다. 물론 포괄임금제 오남용, 연차를 쓰기 어려운 기업 문화는 제도의 개혁과 상관없이 개선돼야 할 사항이다. 이번 개정안에 대해 근로시간이 불규칙적으로 되고, 근로자의 건강뿐 아니라 ‘일-생활 균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조치도 함께 취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