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설] 자사고·특목고 유지…수월성 강화로 미래 인재 양성해야 2024-01-16 17:46:31
기초학력 저하 속에 ‘코로나 디바이드(격차)’를 넘어 이젠 ‘인공지능(AI) 디바이드’라는 말까지 나온다. ‘교육 복지’라는 게 가능하려면 공교육이 이들 교육 약자를 잘 살펴 낙오자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주체하지 못하는 교육교부금을 보면 돈 없어 못 한다는 말도 못할 판이다. 수월성 강화로 우수 인재를 많이...
고졸 사원이 일냈다…이재용 '최애 직원' 등극한 삼성 명장 2024-01-16 15:00:01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삼성은 학력·성별·국적 등 출신과 무관하게 기술인재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부여해 능력에 따라 핵심인재로 중용하고 있다. 고졸 사원으로 입사해 각자 전문 기술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며 '삼성 명장'까지 오른 직원들도 여럿 있다. 삼성은 1957년 국내 최초로 공채 제도를 도입해...
이재용 "기술인재, 포기할 수 없는 핵심경쟁력…미래 달렸다" 2024-01-16 15:00:01
위한 초격차 기술 개발과 우수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이날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2024 삼성 명장' 15명과 간담회를 갖고 "기술 인재가 마음껏 도전하고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은 사내 기술 전문가 육성을 통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삼성 '명장' 만난 이재용…"기술인재가 핵심경쟁력" 2024-01-16 15:00:00
위한 초격차 기술 개발 및 우수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재용 회장은 명장들이 기술 전문가로 성장해 온 과정 및 애로사항을 들었다. 또 앞으로 제조 경쟁력을 계속 높여 나가기 위한 방안과 미래 기술인재 육성의 중요성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회장은 이 자리에서...
양극화 심하다는데…美 소득불평등은 줄어들었다? 2024-01-15 18:48:50
등 정부의 복지 지원이 없었다면 소득 격차가 꽤 커졌을 것이라는 얘기다. ‘부의 대물림’을 통해 계층이 고착화할 가능성도 크다. 이지은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과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작년 2월 ‘부모의 소득·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1980년대생 중 어릴 적 가구 소득이 상위 10%에...
속도위반 임신도 학력 격차 있나…고졸 여성, 대졸 2배 2023-12-26 21:37:43
비율이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근태 고려대 세종캠퍼스 공공사회학과 교수는 비판사회학회가 발간하는 '경제와 사회' 2023년 여름호(통권 제138호)에 실린 '저출산 시대의 혼전임신 현황과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연구논문에서 "혼인 건수와 혼전임신 비율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266만원 vs 563만원…"꺼릴 만하네" 2023-12-14 10:37:02
미만은 38.4%, 400만원 이상은 20.9%로 각각 나타났다. 최종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 400만원 이상 응답이 39.1%로 더 높고 희망하는 월 급여는 평균 366만2천원이었다. 직업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복수 응답)가 급여 수준(47.4%)이었고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 응답자(356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중소기업 기피 이유 '낮은 연봉'인데…대기업과 2배 격차 지속 2023-12-14 06:01:01
미만은 38.4%, 400만원 이상은 20.9%로 각각 나타났다. 최종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 400만원 이상 응답이 39.1%로 더 높고 희망하는 월 급여는 평균 366만2천원이었다. 직업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복수 응답)가 급여 수준(47.4%)이었고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 응답자(356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복수...
"미디어 리터러시 가장 뛰어난 세대는 30대…70대 이상 최저" 2023-12-10 07:30:01
미디어 비판적 이해 역량,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학력에 비례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미디어 리터러시, 즉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뛰어난 세대는 30대이고,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군산대 미디어문화학과 고흥석...
"中 '청년 하방', 실업난 해결책 못 돼…더 큰 사회문제 야기" 2023-11-09 12:05:07
고학력자라는 것"이라며 "그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블루칼라(생산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아닌 '화이트칼라(사무직 노동자)'"라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에는 중국의 민간 기업이 제공하는 사무직 일자리가 전체 사무직의 80%를 차지했지만, 당국이 첨단정보기술(IT), 부동산, 교육 관련 기업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