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세계적 관점서 본 1919년…22∼23일 역사NGO세계대회 2019-07-21 15:07:55
주제 발표를 한다. 신주백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은 '1919년과 3·1운동'에 대해 논하고, 가쓰무라 마코토(勝村誠) 일본 리쓰메이칸대 교수는 민족자결주의에 대한 일본 국내의 인식 변화를 설명한다. 이어 쑨커즈(孫科志) 중국 푸단대 교수와 산딥 쿠마 미쉬라 인도 네루대 교수는 각각 '아시아 민중 각성의...
양금봉 충남도의원 "이상재 선생 서훈 등급 상향해야" 2019-07-09 14:16:52
시기에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민권운동가, 청년운동가로 활동한 인물이다. 개화운동에 참가해 서재필·윤치호와 함께 독립협회를 조직하고 만민공동회를 개최하는 한편, 조선기독교청년연합회(서울YMCA의 전신) 회장으로서 물산장려운동과 소년연합척후대(보이스카우트의 전신) 운동·학생청년회운동 등을 주관했다. 양...
재불 독립운동가 홍재하, 사후 60년만에 공적 인정 2019-07-05 06:00:05
정식으로 인정받게 됐다. 4일(현지시간) 국내 독립운동사학계와 홍재하 선생의 차남 장자크 홍푸안(74·프랑스 생브리외 거주)씨에 따르면, 정부는 홍재하 선생의 프랑스에서의 독립운동 공적을 심사해 최근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기로 결정했다. 홍재하는 독립운동을 하다 일제의 탄압을 피해 러시아, 북해,...
"성평등 포용사회를 향해"…내일 '양성평등 주간' 기념식 2019-07-03 12:00:03
대전지역회의 부의장과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자문위원이 각각 국민포장을, 낙태죄 위헌소송에 참여해 헌법불일치 결정을 끌어낸 김수정 변호사, 성폭력 수사 등에 밝은 박은정 서울중앙지검 검사가 대통령 표창을 나란히 받는다. 여성독립운동사 복원에 힘을 써 온 심옥주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장이 국무총리 표창을,...
[신간] 잊기 좋은 이름 2019-07-01 16:10:44
소설 서문에서 주창한 '경이로운 현실'에서 비롯된다. 이런 영향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를 비롯한 수많은 남미 작가에게로 이어졌다. 소설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처음 혁명을 일으키고 독립을 쟁취한 아이티의 역사를 해방운동사 관점에서 다뤘다. 조구호 옮김. 문학동네. 196쪽. 1만2천원. leslie@yna.co.kr...
파리서 韓독립운동 세계사적 관점서 조명하는 국제학술대회 2019-06-26 05:30:00
교수의 '한국독립운동사료로서의 러시아 자료들과 20세기 초반의 도서관 컬렉션' 등이 발표된다. 이번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리베르타스는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한국학자들을 중심으로 2017년 12월 결성된 학회로, 한국과 프랑스의 독립운동사학자들이 함께 모여 한국의 독립운동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이념논쟁으로 번진 김원봉…"서훈보다 재평가 중요"(종합) 2019-06-14 12:10:03
체포됐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반병률 한국외대 교수는 "김원봉 서훈은 현실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고, 정치적 갈등으로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다"며 "서훈보다는 김원봉이 독립운동 과정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국민이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 교수는 "그동안 1930∼1940년대 ...
이념논쟁으로 번진 김원봉…"서훈보다 재평가 중요" 2019-06-14 10:46:36
체포됐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반병률 한국외대 교수는 "김원봉 서훈은 현실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고, 정치적 갈등으로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다"며 "서훈보다는 김원봉이 독립운동 과정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국민이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 교수는 "그동안 1930∼1940년대 ...
[게시판] 14일 국회도서관서 '최운산 장군' 학술 세미나 2019-06-11 10:08:17
독립군의 무기와 최운산'이란 주제로 제4회 학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반병률 한국외대 사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할 이날 세미나에서는 신주백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봉오동전투 및 청산리전투 당시 독립군 지형의 재구성-대한군무도독부를 중심으로), 신효승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1차 세계대전...
"봉오동전투는 독립군 결속력 부족 노출한 싸움" 2019-06-06 12:32:08
거둔 첫 승리라고 서술한다. 아울러 독립군 사기가 높아지고, 조직도 정비됐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그런데 이렇게 긍정적인 평가는 온전히 역사적 사실에 부합할까. 우리는 봉오동전투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신주백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은 계간지 역사비평 최신호에 기고한 글 '봉오동전투,...